스탠퍼드 수학공부법 - 스스로 답을 찾는 힘
조 볼러 지음, 송명진.박종하 옮김 / 와이즈베리 / 2017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수학을 좋아하는 사람이 있을까? 도대체 왜 이 말도 안 되는 학문을 공부해야만 좋은 대학을 갈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을 하던 시절이 있었다. 머리끝부터 발끝까지 수학 DNA가 1도 없는 내게 수학을 배우는 수업 시간은 그야말로 고문이었다. <스탠퍼드 수학공부법>은 수학을 지독히 싫어하는 학생들을 가르치는 선생님&지도자, 그리고 이미 포기했지만 약간의 후회가 남는 나같은 사람들에게 권해주고 싶은 책이다. 


책의 서문에 저자는 '마인드 세트'의 힘에 대해서 소개하는데, 결과적으로 책의 내용을 지배하고 있는 것이 바로 이 '마인드 세트'이다. 그렇기 때문에 마인드 세트가 무엇인지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이다. 


"캐럴과 그녀의 연구 팀은 수년간 모든 사람들이 마인드 세트, 즉 배움에 대한 핵심적인 신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관련 데이터를 수집해 왔다. 성장 마인드세트를 가진 사람들은 열심히 노력하면 점점 더 똑똑해질 것이라고 믿는다. 반면 고정 마인드세트를 가진 사람들은 어떤 일이나 사물에 대해 어느 정도는 배울 수 있지만 자신의 기본적인 지적 수준을 바꿀 수 없다고 믿는다." (7p)


결국 저자는 '마인드 세트'를 통해 수학을 대하는 태도, 학습 경로 등을 바꿔서 스스로 답을 찾고자 하려는 목적으로 책을 집필한 것이다. 저자의 이력도 화려하다. 스탠퍼드 대학교 수학교육학과 교수인 조 볼러(Jo Boaler)는 수학에 대한 영감을 자극하는 데 필요한 자료와 아이디어를 교사와 학부모에게 제공하기 위한 온라인 학습 사이트 유큐브드(www.youcubed.org)의 공동 설립자이다. 특히 영국에서는 수학 교육계의 퀴리 부인으로 인정받으며 영국교육 연구협회로부터 최고 박사에게 주어지는 상도 수상했다고 한다. 


우리는 흔히 수학을 잘하는 사람들에 대해서 '아, 수학 머리가 좋구나'라고 생각하지만 조 볼러에 따르면 그렇지 않다. 


"모든 사람들이 똑같은 두뇌를 가지고 태어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믿고 있는 것처럼 '수학 두뇌' 또는 '수학적 재능'과 같은 것은 없다. 어느 누구도 수학을 아는 채로 태어나지 않고, 수학을 배울 능력이 부족한 채로 태어나는 사람도 없다. 불행하게도 너무나 많은 사람들이 '영재'는 타고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27p)


저자는 고정 마인드세트를 가진 학생들이 수학을 쉽게 포기할 가능성이 높은 반면, 성장 마인드세트를 가진 학생들은 어려운 일이라도 끈이 있게 계속해 나간다고 밝혔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고정 마인드세트가 성장 마인드 세트로 바뀔 수 있고, 그럴 때 학습이 현저하게 긍정적이며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고 한다!!) 


그렇다면 도대체, 수학을 포기하지 않기 위해서, 수학을 잘 하기 위해서 마인드세트를 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저자는 '공평한 전략'을 통해서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1. 모든 학생에게 높은 수준의 내용을 제공한다.

2. 수학에서 성과를 낼 수 있는 사람이 따로 있다는 생각을 바꾼다. 

3. 학생들이 수학에 대해 깊이 생각하도록 격려한다. 

4. 공동 작업을 하도록 가르친다. 

5. 여학생과 유색인종 학생들이 수학, 과학을 배우도록 더 많이 격려하기

6. 숙제 없애기 


저자는 성장 마인드세트 수학 경로는 학생들에게 성취와 행복, 자기 존중감을 가져다 준다고 역설한다. 이런 성장 마인드세트 수학 경로를 세워줄 수 있는 사람들이 바로 교사와 학부모, 지도자들이라고 강조한다. 특히 '실패하면 안 된다', '망치면 안 된다', '수학을 잘하는 사람은 재능이 뛰어난 일부다', '재능 있는 사람은 쉽게, 노력하지 않고도 성공할 수 있다'는 잘못된 생각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것이다. 


수학이 창조적이고 아름다운 학문이라는 것과, 그런 수학을 싫어하지 않고 그 자체를 온전히 받아들일 수 있게끔 하기 위해서는 '성장 마인드세트'를 해야 한다고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