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가속 파괴적 승자들
김광석.설지훈 지음 / 와이즈베리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엇이 경제를 이끄는가. 아니 정확하게는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에서 어떤 사람들이 승자로 남을 수 있는가? 이 물음에 답을 하기 위해 두 명의 전문가가 모였다. 한 명은 '경제 읽어주는 남자'로 잘 알려진 김광석 교수, 그리고 다른 한 명은 한국디지털경제학회이 설지훈 이사다. 두 명의 저자는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하는 지금, 그 흐름을 이해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또 변화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친절하게 설명한다.

 

'규모의 경제'가 가고 '속도의 경제'가 왔다. 규모의 경제 원리는 그동안 기업 경영의 근간이었지만, 이제 단순히 규모가 크다는 이유만으로 경제의 성장을 장담하기 어려워졌다. 하지만 사회가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아이디어가 자본을 압도하고, 노동력을 능가하고 있다. 그렇다면?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는 변화를 선도하는 기업이 살아남는다. 저자들은 이러한 형태를 '초가속 시대'라고 명명했다.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폭발적으로 커지는 그야말로 초가속화된 시대. 초가속화는 거의 전 영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모든 산업이 파괴되고 있다. 금융업, 교육업, 건설업, 농림어업 모두 초가속의 변화가 일고 있다. 어떤 기업도 예외일 수 없다. 전통 기업도 빅테크 기업도 속도 전쟁에서 예외란 없다. 그 누구도 승리를 자신하지 못한다. 1등 기업에게 자부심은 오히려 독이 된다. 머뭇거리는 순간 소비자들은 다른 플랫폼으로 이동한다.

<초가속 파괴적 승자들>, 9p

 

<초가속 파괴적 승자들>에서는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변화를 선도하는 힘을 기르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하는지 친절하게 설명한다. 특히 테슬라,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아마존 등 '테크 자이언트' 기업들이 기존의 생태계를 어떻게 파괴했는지 살펴보고, 넷플릭스나 우버처럼 상식을 파괴하는 테크 스타트업들도 살펴본다.

 

2장에서는 총 6가지의 파괴적 물결을 소개한다. 산업의 패러다임이 디지털로 전환됨에 따라, '비대면화', '탈경계화', '초맞춤화', '서비스화', '실시간화', '초실감화'라는 여섯 가지 경로로 변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각각의 개념과 현황을 상세하게 소개한다. 마지막 장에서는 초가속화 되고 있는 사회에서 구체적인 계획을 어떻게 수립해야 하는지 조언한다.

 

디지털 시대에 소비의 표준을 만드는 것은 기업이 아니라 소비자이다. 끝없이 소비자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소비자들이 원한다면 언제든 기존의 것을 파괴하고 새로운 것을 창조할 수 있는 기업이 되어야 한다.

<초가속 파괴적 승자들>, 241p

 

저자들은 말한다. 기술은 이미 끊임없이 고도화되고 있기 때문에, 언제든 새로운 기술을 배울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고. 빠르게 변하는 산업 지형에서 필요한 인재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열심히 사는 것이 아니라, 빠르면서도 정확한 방향성을 갖고 움직여야 한다고 말이다. 기업을 경영하지 않더라도, 경제를 구성하는 일원으로서 여러모로 배울 점이 많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