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에 관한 모든 것
피에로 마틴.알레산드라 비올라 지음, 박종순 옮김 / 북스힐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 세계에서 나오는 어마무시한 쓰레기들은 모두 어디로 가는 것일까? 가깝게는 쓰레기 매립지나 처리장을 생각하겠지만, 놀랍게도 우리가 버리는 쓰레기들은 상상하지도 못하는 곳에 가 있다. 산, 바다, 대기는 물론이고 달과 우주에까지. (에베레스트 산에도, 달에도, 북극에도 인간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있다고 한다.)

<쓰레기에 관한 모든 것>은 인간이 만들어내는 모든 종류의 쓰레기들이 현재 어디에 있는지, 또 그것들이 어디에 도달하는지와 그로 인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을 이야기 한다. 인간이 정상적인 배출 과정으로 버리는 쓰레기 뿐만 아니라 불법으로 버려지는 수많은 쓰레기들.


오늘날 에베레스트는 약 12톤(추정치)의 쓰레기로 덮인 쓰레기 적치장 같은 곳이 되었다. 심지어 이것이 가장 심각한 문제도 아니다. 화장실이 없기 때문에 등반가는 눈에 구덩이를 파서 생리적 현상을 해결하고 끝난 뒤에는 그것을 눈으로 덮는다. 매년 700명 넘는 등반가와 가이드가 이런 식으로 문제를 해결해, 시간이 흐르면서 엄청난 양의 대변과 소변이 에베레스트에 쌓이게 되었다.


인간이 버리는 건 포장재 뿐만이 아니다. 음식물 쓰레기, 플라스틱, 인간의 배설물까지! 현재 지구는 인간이 배출하고 있는 온갖 쓰레기로 인해 오염되고 있고, 이것들을 음식, 공기 등을 통해 고스란히 받아들인 인간의 몸에도 오염된 물질이 축적되고 있다. 저자는 발상의 전환을 통해 쓰레기 문제를 조금이나마 해결할 수 있다고 이야기 한다. 특히 쓰레기를 단순히 문제의 차원이 아닌 '자원'으로 해석하는 관점이 흥미롭다.

저자가 소개한 해결방법 중 하나는 '순환경제'다. 간단히 말하면, 순환경제는 농부였던 우리 조상의 가치로 되돌아가자는 것이다. 조상들은 더 적게 사고, 더 적게 낭비하고, 거의 버리지 않았다. 대신에 그들은 순응하고, 대체하고, 음식물 쓰레기는 동물들의 사료나 비료로 활용하고, 여전히 사용할 수 있는 부서진 물건은 고쳐 썼다. 이런 행동 때문에 그들이 덜 행복했을까? 그렇지 않다.


어떻게 그리고 어디에 폐기물을 안전하게 저장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어야 할 과제이다. 동시에 똑같이 중요한 또 다른 문제가 제기되어 연구자들로 하여금 수십 년 동안 고심하게 만든다. 어떤 방법으로 후세들에게 이 저장소들의 존재와 그 위험을 알릴 것인가?


기술의 발달은 필연적으로 쓰레기를 생산한다. 우리는 예전보다 더 많은 것들을 누리면서 살고 있지만, 우리가 누리는 만큼 인류의 후손들도 같은 것을 누릴 수 있다고 누구도 장담할 수 없다. 바다에 떠다니는 플라스틱 쓰레기는 바다에 버려진 쓰레기의 10%에 불과하다. 나머지 90%는 깊은 심해에 가라앉아있다. 오염된 바다에서 잡은 물고기를 먹은 우리의 후손들이 과연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을까? 우리는 쓰레기를 적게 만들어야 하고, 만들어진 쓰레기는 재사용하고, 재활용하며, 회수해야 한다. 그게, 우리의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