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와 할머니 - 사라지는 골목에서의 마지막 추억
전형준 지음 / 북폴리오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묘연을 따라가니 인연이 생겼다. 웃는 날이 많아졌다.

공모전에 탈락한 날도 고양이를 따라간 곳에서 이런 풍경을 만났다.

<고양이와 할머니>


 




할머니와 고양이의 사진으로 가득한 이 책의 저자가 고양이의 사진을 찍게 된 계기는 참 독특하다. '왜 고양이를 찍는가'라는 물음에 철학적이거나 거창한 답이 필요할 것 같았지만, 결국엔 '귀여워서요.'라고 머쓱하게 대답했다는 작가의 전언. 우리나라에 애견, 애묘인의 인구가 약 1,000만명으로 추정된다고 하니, 작가도 어쩌면 그들 중 한명이겠거려니, 고양이를 좋아하는 사람 중 한명이겠거려니 했는데, 책장을 넘길수록 그가 단순히 고양이만 좋아하는 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정말로 그랬다. 은은히 풍겨 오는 따뜻한 밥 냄새, 선선한 아침 공기, 잠이 저만치 달아나는 진한 커피, 그리고 고양이들. 대단할 것 없는 소소한 일상의 조각들이었지만 이보다 더 확실한 행복은 없을 것 같았다.

<고양이와 할머니>

 

작가는 길고양이의 사진을 찍기 시작하면서 그들을 챙겨주고 보살펴주는 누군가에게도 주목하기 시작했다. 바로 길고양이를 친자식만큼 아끼는 할머니들. 자식들을 다 서울로 보내고 부산의 재개발 지역에서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는 할머니들에게 고양이들을 때로는 자식으로, 때로는 친구로 위안이 되곤 하는데 작가는 바로 할머니와 고양이의 '관계'에 주목했다. 고양이들이 어떻게 할머니의 집으로 오게 됐는지, 또 정작 본인이 아플 때에는 켜지 않는 보일러를 왜 고양이를 위해 켜게 됐는지, 왜 굽은 등으로 생선의 잔뼈와 내장을 손질하는지. 할머니의 일상에 단비처럼 젖어든 고양이들의 삶, 그리고 고양이로 인해 조금은 더 웃을 날이 많아진 할머니들의 삶에 주목한 것이다.

 






찐이는 할머니가 손에 쥐가 날 만큼 주물러 주면 그제야 잠을 잔다고 한다. 요즘 따라 계속 잠을 깨우고 잠을 못 잘 만큼 애교를 부린다는 찐이. 요 며칠 계속 감기 기운이 있으셨던 할머니에게 아프지 말라는 찐이의 마음인 듯 싶다.

<고양이와 할머니>

 

의지할 수 있는 누군가가 있다는 건 정말 큰 축복인데, 작가가 만난 할머니들에게는 고양이가 가장 큰 위안이자 의지할 수 있는 존재다. 고양이에게도 할머니는 세상에서 가장 따뜻한 울타리인 것처럼 말이다. 책 속에는 세상 어느 집사(?) 못지 않게 극진히 고양이를 돌보는 할머니들과 할머니들의 보살핌을 받는 고양이들의 이야기가 담겨있다. 찐이의 할머니는 찐이 걱정을 많이 하면서 멀리 봄 소풍을 떠나셨고, 하나의 할머니는 여전히 껌딱지인 하나를 수족처럼 챙긴다. 동거묘가 아닌 길고양이들의 사료까지 챙기는 할머니도 있다. 지금도 어디에선가, 고양이와 할머니는 친구처럼, 가족처럼 서로를 의지하면서 추운 겨울을 따뜻하고 나고 있지 않을까.

 

ps. 책장을 넘길 때마다 절로 미소짓게 만드는 할머니들과 고양이들의 사진은, 작가가 독자들에게 건네는 크리스마스 선물같다.

 











































책속의 한 할머니는 작가에게 이렇게 묻는다.

어쩌다 이 작고 작은 얄궃은 것들에 정이 들었느냐고.

작가의 대답은 굳이 듣지 않아도 알 수 있겠다.

세상에 있는 이 작고 작은, 얄궃은 것들이

따뜻한 겨울을 보내길 바라는 분들에게 권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