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 직업 알랭 드 보통 인생학교 new 시리즈 6
The School Of Life 지음, 이지연 옮김 / 와이즈베리 / 2018년 10월
평점 :
절판





혼자서 세상을 바꾸지는 못할 테고, 당초 꿈꾸었던 환상적인 커리어는 어느새 옆으로 밀려날 것이다. 하지만 스스로 자부심과 품위를 가지고 일하고 있는 것을 알 테고, 반짝이지는 않아도 조용히 성숙한 눈으로 바라보면 아주 현실적으로 '그만하면 이 직업을 사랑한다'고 말할 수 있다. 그것만 해도 굉장한 성취다.”

 

교복을 벗고 사회에 나와 만나게 된 사람들에게 가장 많이 들은 질문 중 하나는 '직업이 무엇인가요?'였다. 사람들은 종종 직업을 자신을 드러내는 가장 확고한(혹은 확실한) 도구로써 이용하기도 한다. 한국 사회에서는 특히 그렇다. 직업에 귀천이 없다고 하지만, 때로는 세상의 그 어떤 장벽보다 높게 느껴지는 순간이 오기도 한다. 이처럼 직업은 누군가의 현재를 그리고 앞으로를 보여주는데, 과연 우리는 자신의 직업을 사랑한다고 말할 수 있을까?

 

유럽의 지성으로 손꼽히는 작가 앨랭 드 보통이 설립한 인생학교에서는 '마음의 평온을 유지하는 능력'을 삶의 화두로 꼽고, 여러 가지 분야의 문제를 함께 공유하고 생각해보는 작업을 하고 있다. 인생학교 시리즈 제6권인 <인생 직업>은 어떻게 하면 나 자신을 더 잘 이해하고, 나에게 딱 맞는 직업을 찾을 수 있는지에 대한 가이드를 제시한다.

 





<인생 직업>의 한국어판은 '직업을 대하는 자세', '천직을 찾기 어려운 이유'를 설명하는 1장과 2장을 시작으로 '내가 즐거운 직업 찾기'를 소개하는 방법론적인 3, '올바른 직업 선택의 장애물'을 가려내는 혜안을 길러주는 4, 마지막으로 '직업 문제로 고민하는 이들에게' 따뜻한 조언을 해주는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자신이 하고 있는 일에 대한 불만이 매우 높거나, 자신의 직업이 하찮아 보이는 상태에 있는 독자라면 5장부터 읽기를 추천한다. 따뜻한 조언으로 인해서 그래도 마음이 차분해지며, 자신의 직업을 되돌아볼 수 있는 상태에 이르기 때문이다. (참고로 '직장''직업'의 개념은 많이 다른데, 필자는 직업은 사랑하지만, 오조오억을 주더라도 직장은 사랑할 수 없다고 뼈저리게 느끼고 있다. #회사망해라)

 

그러나 안타까운 현실은 그 어느 직업이든 문제점은 있다는 사실이다. 우리는 그저 홀딱 빠진 그 직업의 지루하고 걱정스럽고 화나는 측면을 제대로 알아내지 못한 것뿐이다. 한두 달 시험 삼아 그 직업을 가질 수 있다면 금세 깨닫게 될 것이다. (211p)

 

대한민국에서 주입식 교육을 받아온 사람들이 겪는 문제 중 하나는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는지 모른다'는 것이다. 그 거대한 문제는 직업의 선택까지 영향을 미치는 데, 바로 자신이 어떤 일을 좋아하는지 모르는 사태에 다다른다. <인생 직업>에서는 바로 이런 문제를 가진 사람들을 위해 자신이 어떤 일을 좋아하는지 찾는 방법부터 차근차근 알려준다.

 

가장 중요한 점은 자신의 커리어 계획은 쉽게 내놓지 못할지라도 나의 마음은 필요한 자료는 이미 다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으니, 시간을 내서 일부러 관련 증거를 모으고 목록을 만들고 고민하고 분석해야 한다는 것이다. , 자신의 마음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라는 것인데 이 '마음의 소리'라는 명제는 알랭 드 보통의 인생학교 시리즈에서 많이 다루는 내용이기도 하기 때문에 한번 습득을 해두면 두고두고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스킬이기도 하다.

 

'어떤 직업을 가질 것인가'라는 질문에 접근할 때는 자신감을 가지고 그에 대한 확실한 답이 이미 내 안에 있다고 믿어야 한다. 하지만 너무 빨리 결론을 도출하려고 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내 안에 있는 답을 알려줄 데이터가 보통은 정확히 조사되거나 분류된 적이 없기 때문이다. (50p)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찾는 과정은 생각만큼 어렵지 않다.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고 왜 좋아하는지, 어떤 일을 했을 때 흥분했었는지 사소한 기억부터 떠올리는 것이다. (물론 기억력이 좋지 않은 필자의 경우엔 고통스러운 작업이다.) 이렇게 수집한 감정들을 서로 연결하고 일반화시키는 단계를 거친 후, 자신에게 만족감을 주는 것을 더 자세히 검토하는 작업에 돌입해야 한다. 특히 즐거운 감정뿐만 아니라 '부러움'의 감정, 더 나아가서 부끄러움을 느꼈던 감정 등 여러 감정을 복합적으로 수집하고 관찰해야 하는 것이 중요한 포인트이다.

 

누군가가 우리에게 '직업이 뭐예요?'라고 물었을 때,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얼굴로 자신의 직업을 말하는 경우는 사실 드물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직업보다는 '현재의 직장'에 불만을 품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조금 더 깊고 그리고 넓게 보는 시각을 키운다면, 그리고 자신에게 어울리는 진짜 직업을 찾는 다면 우리의 삶은 지금보다는 더 풍요로워질 것이다. 지쳐서 퇴근하는 날들 속에서도 '그만하면 이 직업을 사랑한다'고 말할 수 있는, 그런 직업을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