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클 샌델, 중국을 만나다 - 중국의 눈으로 바라본 마이클 샌델의 ‘정의’
마이클 샌델.폴 담브로시오 지음, 김선욱.강명신.김시천 옮김 / 와이즈베리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첸잉이는 학생들이 센델의 책 <정의란 무엇인가>

중국어 번역본을 미친 듯이 읽는 모습을 보았다.

"이는 부분적으로는 서양 철학이 중국에서는 거의 가르쳐지지 않았던

사실 때문인 듯합니다"라고 첸잉이는 설명했다.“

 


전세계에 '정의' 열풍을 불러 일으킨 마이클 샌델의 신작 <마이클 샌델, 중국을 만났다>가 출간되었다. 마이클 샌델은 27살이라는 최연소 나이에 하버드 대학교 교수가 되었고, 자유주의 이론의 대가인 존 롤르스이 정의론을 비판한 책을 발표하면서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바 있다. 그의 수업은 20년 동안, 그리고 지금까지도 학생들 사이에서 최고의 명강의로 꼽히고 있다. 그런 그가 이번에 새로 출간한 저서인 <마이클 샌델, 중국을 만나다>는 중국 철학 연구자들이 그의 이론과 저작을 동양 철학의 시각으로 분석한 평론과 그에 대한 샌델의 답변을 모은 것이다.

 

나는 내 가족, 내 도시, 내 부족, 내 민족의 과거로부터 여러 가지 빚, 유산, 정당한 기대와 의무까지 상속받는다. 이러한 것들이 내 삶 가운데 주어진 것들과 나의 도덕적 출발점을 구성한다. 이것이 나 자신의 인생에 도덕적 특수성을 부여하는 것의 일부를 이룬다. 그런데 이런 유형의 주장은 인간 존재가 본래부터 사회적이다라는 것만 논증할 뿐 우리가 사회적이어야 한다고는 말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무엇보다 '본성'이 인간이 본래부터 갖고 있는 어떤 것들 혹은 생물학적으로 어떤 것을 향하는 성향들을 의미한다면, 우리가 본성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하는 것조차 우리의 본성 안에서이다.(49p)”

 

책은 크게 다섯 파트로 구분되어 있는데, '정의, 조화 그리고 공동체', '시민의 덕과 도덕 교육', '다원주의와 완벽: 샌델과 도가 전통', '자아관: 샌델과 유가 전통' 그리고 마지막 장은 '샌델이 답하다'로 이루어져 있다. 책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 소제목만 보더라도 책의 개략적인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데, 흥미로운 점은 마이클 샌델이 분석한 서양의 '정의'를 동양의 철학자들의 어떤 관점으로 분석했는지 들여다 볼 수 있다는 점이다.

 

서양 철학의 중요한 개념인 '정의'가 동양 철학에서는 어떻게 받아들여 졌는지, 동양 철학과 서양 철학 간의 여러 문제들을 탐구하고 논의한 결과물은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아홉 명의 중국 철학 연구자들이 정의론을 대표하는 존 롤스와 샌델의 '정의론'을 집중 분석하고, 이를 동양 철학에 빗대어 분석한했다는 점도 흥미롭다. 서양 철학에서의 '정의'는 동양 철학에서의 '조화'로 옮겨질 수 있는데, 이는 유가 사상의 핵심 개념이기도 하며, 중국을 비롯해서 유교 문화권 사회를 구성하는 중요 요소 중 하나이다. 그래서 9명의 중국 철학 연구자들은 '정의''조화'의 측면에서 바라보는 관점을 취한다.

 

최종 생각은 이렇다. 중국 철학과 서양 철학 사이의 상호 학습을 위한 어떤 프로젝트든 어떤 비대칭성을 인정하는 데서 시작해야 한다. 내 친구이자 하버드대학교의 전 동료였던 뚜웨이밍은 언젠가 중국은 학습하는 문명이고, 서양은 가르치는 문명이라고 말한 적이 있었다. 그는 이것을 서양을 칭찬하는 뜻으로 말한 것이 아니었다. 그가 말하고자 한 것은, 세계의 다른 곳에 교훈을 주고 있다고 여기는 사회는 어떤 오만에 빠져 있다는 사실이었다.(380p)”

 

마이클 샌델은 서양 철학과 동양 철학 중 그 어떤 것이 더 훌륭하다고 이야기 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는 동양 철학 연구자들의 답변에 위와 같은 대답을 내놓았다. 그의 답변을 읽어 내려가다 보면 서양 철학과 동양 철학은 완전히 반대의 개념이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오히려 같은 개념을 다르게 표현할 뿐, 개념 자체는 동양과 서양이 크게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마이클 샌델, 중국을 만나다>는 우리 한국 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클 것으로 생각한다. 과거부터 한국과 중국은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어, 많은 영향을 주고 받았다. 중국과 우리가 함께 공유한 철학 중 하나가 바로 '유가 사상'으로, 국가를 구성하는 데 있어서 가장 큰 뿌리가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중국의 철학 연구자들이 분석하는 '정의'(동양에서의 '조화')는 우리에게도 그리 먼 개념이 아니다. 책은 단순히 동양과 서양의 철학 개념들을 나열하지 않고, 우리가 현재 가장 소중하게 생각해야 할 가치가 무엇인지, 또 회복해야 할 가치는 무엇인지 스스로 생각하게 만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