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통
앙드레 드 리쇼 지음, 이재형 옮김 / 문학동네 / 2012년 6월
평점 :
품절
모든 결핍은 욕망으로 발현된다. 그리고 욕망은 사랑과 더불어 위태롭게 존재한다. 재채기만 해도 소문 날 것 같은 한적한 마을에 남편을 잃고 정착한 테레즈와 아들 조르제의 비극적 이야기다. 사회적 테제는 인간의 욕망을 억압하지만, 끝내 그 억압을 떨쳐내는 욕망이 더러 있다. 그런 욕망은 종종 파국을 향해 치닫는다. 테레즈의 욕망이 그러했다. 홀로 외롭던 테레즈의 사랑은 정당하였으나 아들 조르제는 그것을 용납하지 못한다. 아들의 욕망은 어머니의 욕망을 끝내 허락할 수 없었던 것일까. 욕망과 사랑의 동거는 과연 가능한 것인가. 위태로운 질문은 그저 고통스럽다.
어떤 사랑이든 자기 마음을 인정하느라 보내는 최초의 시간은 축복받은 시간이다. 특히 자신의 감정을 헤아리는 데 그다지 익숙하지 못한 존재들에게는.(84면)
이야기는 비극으로 끝난다. 전쟁이라는 시대적 비극 아래, 엇갈린 욕망은, 서로에게 깊은 상처를 남기면서 어머니와 아들은 불의의 사고로 파국을 맞이한다. 소설은 주로 밤에 진행된다. 어둠의 음울함은 강력한 메타포로 이 소설을 지배한다. 알베르 까뮈는 이 소설에 대하여 이렇게 썼다.
<고통>은 내 마음 깊은 곳에 단단하게 묶여 있던 매듭을 풀어주었고 속박에서 나를 놓아주았다.
까뮈의 <이방인>은, 이 소설에 빚진 바가 있을 것이다. 조르제는 <이방인>의 청년 뫼르소의 어떤 고독과 닮아 있다. 허나 뫼르소는 그 고독을 의연하게 물리친다. 소설을 읽는 내내, 뫼르소가 생각났다. 그리고 유년 시절 나의 고독과 욕망도 생각났다. 그러나 나는 뫼르소처럼 의연하지 못했다. 그래서 아프다. 어머니의 욕망을 끝내 허락하지 않는 나의 욕망, 그래서 이 소설은 나에겐 슬픔으로 기억될 것이다. 이토록 아름다운 문체로 그려낸 슬픔이 못내 원망스럽다. 조만간 까뮈를 다시 읽어야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