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삶은 홀수다
김별아 지음 / 한겨레출판 / 2012년 10월
평점 :
소설가 김별아의 산문집. 한겨레신문에 연재될 때, 챙겨 읽던 글들이다. 작가에겐 미안하지만 난 그의 소설을 읽은 적이 없다. 하지만 챙겨 읽었던 글들을 굳이 사서 곁에 두는 이유는 자명하다. 난 그의 글이, 그의 고민을("잡설, 독설, 객설이 범람하는 세상에서 무슨 말을 할까를 고민하기보다 무슨 말을 하지 말아야 할까를 고민했다.") 잘 지켜낸 지혜라고 생각하는 까닭이다. 덕분에 그의 소설도 읽고 싶은 마음이 생겼다.
"외로워서 그리운 게 아니라 그리워서 가만히 외로워져야 사랑이다."(17면)
"별로 중요하진 않지만 덧붙여 한 가지 밝혀두자면, 나는 좌파도 우파도 아닌 '자파(自派)'다. 그러니 경계할 것도, 안심할 것도 없다.(...) 인간이라는 아름답고도 끔찍하며, 위대하고도 초라한 존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빈손이 필요하다. 오직 그러한 인간을 재료이자 과제로 삼는 작가라는 존재로 살기 위해서는 빈손이 절실하다. 빈손은 현실을 재단하지 않는다. 인간을 심판하지 않는다. 소유의 움켜잡음을 위해 헛손질을 하지 않는다. 나는 오로지 '자파'인 작가로 살기에 이렇게 텅 빈 채로 충만하다."(213-214면)
"그러하기에 세상의 중심은 권력자도 아니고 재벌도 아니고 힘든 사람, 어려운 이웃이어야 마땅하다. 타인의 아픔을 돌아보고 보살필 줄 알아야 내 아픔도 이해받고 존중받을 수 있다. 징검다리의 공감은 동정이라기보다 연민이다. 중증장애인을 자녀로 둔 엄마들의 분투기 <담장 허무는 엄마들>의 한 구절처럼, 연민이되 '그 고통만 안타깝게 여기는 연민이 아니라 모든 사람에게 고통이 있다는 걸 아는 데서 나오는 연민'이다."(218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