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단한 공부_내 삶의 기초를 다지는 인문학 공부법(윌리엄 암스트롱 지음|윤지산 외 옮김|유유2012년)

책 홀림길에서_헌책 안에서 새로 살다(최종규 지음|텍스트|2009년)

훔쳐가는 노래_창비시선 349(진은영 지음|창비|2012년)

그래도라는 섬이 있다(김승희 지음, 김점선 그림|마음산책|2007년)

살아야 하는 이유(강상중 지음|송태욱 옮김|사계절|2012년)

이야기해 그리고 다시 살아나(수잔 브라이슨 지음|여성주의 번역모임 '고픈' 옮김|인향|2003년)

노동 없는 민주주의의 인간적 상처들(최장집 지음|폴리테이아|2012년)

회심의 변질_초대교회의 회심을 돌아보다(알렌 크라이더 지음|박삼종 외 옮김|대장간|2012년)

당신들의 기독교_환상의 미래와 예수의 희망(김영민 지음|글항아리|2012년)

가난하게도 마옵시고 부하게도 마옵소서(크레이그 블룸버그|IVP|2012년)

불멸의 지휘자(안동림 지음|웅진지식하우스|2009년)




















1. <단단한 공부>는 독서법에 대한 자료를 모으던 중 눈길이 갔던 책이다. 성공에 이르는 쉬운 공부법을 말해야 잘 팔리는 세상에, 도리어 이 책은 공부엔 왕도가 없다고 선언한다(21면). 공부는 단단해야 한단다. "공부하는 법을 배운다는 것은, 공부가 불쾌하고 부담스러운 것이라는 생각을 버리고, 공부를 '들판에 있는 짐승'과 차별화하는 최고의 재능을 이끌어 내기 위한 건설적이고 헌신적인 힘으로 여기는 것이다."(서문, 19면) 따라서 공부법은 어린아이나 청소년, 대학생들만의 것이 아니다. 평생 인간다운 존재가 되기 위한 열정과 헌신이어야 한다. 인문학의 어원이 '인간다움(후마니타스)'이라 할 때, 이 책은 제대로된 '인문학 공부법 입문서'라고 할 수 있다. 좋은 책이다. 이 책을 읽으면, 공부하기 위한 사소하고 섬세한 도움도 받을 수 있으며(특히 4장의 독서법과 8장의 글 쓰는 법은 매우 유용하다.), 무엇보다 공부에 대한 용기를 얻게 된다는데 큰 유익이 있다. 공부를 해야만 할 것 같고, 공부를 기꺼이 하고 싶게 만드는 책이다.


2. 최종규의 책은 모름지기 헌책방에서 사야한다. 그래야만 할 것 같다. 이 책은 지난 10일 신촌의 "숨어있는 책"에서 샀다. 오마이뉴스의 오연호 대표 기자는 최종규를 이렇게 말한다. "아스팔트를 달리면서도 그 아래에 있는 흙을 생각한다는 그는 '지독한' 사람이다. 너무 지족해서 너무 멋진 사람." 최종규는 늘 삶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묻는다. 이 책은 헌책방을 다니며 만난 91권의 책에 대한 연서이다. 그러나 책에 관한 책이라고 부르기엔, 뭔가 부족하다. 그는 "책은 종이 안팎에 두루 있다"고 적는다. 책은 그에게 삶을 살아가는 방식이다. 그의 표현을 빌리면, 책 읽기는 사람 읽기이며, 삶 읽기이다. "사랑하는 만큼 읽기를 하면서, 아끼는 대로 쓰기를 이어갈 것"이란다. 그래서 그의 글을 읽는 내내, 조바심 내며 사는 나의 가슴은 고즈넉한 위로를 받는다. 새삼 그가 고맙다. 


3. 진은영 시인의 <훔쳐가는 노래>는 "시사인"이 선정한 시 부분 올해의 책이다(추천위원 부문). 함돈균 교수는 선정의 변을 이렇게 말한다. "요약컨대 이 시집은 정치도 문학도, 삶도 예술도, 행동도 사유도, 시민과 시인의 그 어느 한쪽도 포기하지 않으려는 실험의 산물이다."("시사인 행복한 책꽂이", 41면) 그리고 심보선은 시집의 뒷표지에 이렇게 썼다. "만약 가난한 시민들과 슬픈 시인들로 이루어진 공동체가 있다면, 그들이 진은영의 단어들을 작은 돌처럼 주머니 안에 넣고 다닌다면, 가끔 그것들을 꺼내 양식으로 삼을 수 있다면, 장담컨대 그들은 행복할 것이다." 하루에 한 편씩만 읊조릴 각오, 이 시집을 대하는 나의 자세이다



















4. 지난 12월 19일 이후 김승희의 책을 찾아 내 서가를 샅샅이 살폈는데 찾지 못했다. 그러다 잠시 잊었는데, 헌책방에 갔다가 우연히 만나 다시 가져왔다. 아마 이 책은 나의 서가에 두 권이 되었을 것이다(찾지 못한 책을 찾는다면). 시인 김승희의 수필집이다. 희망이 필요한 사람에게 힘내라고 말하고 싶을 때, 긴요할 것이다. 한 권은 나를 위해 남겨두고, 다른 한 권은 언젠가 긴 절망에 빠진 그이를 위해 준비해 놓겠다. "그래도라는 섬에서/그래도 부등켜안고/그래도 손만 놓지 않는다면/언젠가 강을 다 건너 빛의 뗏목에 올라서리라,/어디엔가 걱정 근심 다 내려놓은 평화로운/그래도 거기에서 만날 수 있으리라."


5. 강상중의 책은 오래 전 사두었다가 이제서야 갈무리했다. <고민하는 힘>과 비슷한 느낌 때문에 그랬을 것이다. 입사할 때부터 떠날 생각을 했고, 떠날 각오를 갖고 투쟁하듯 일했는데, 그럼에도 막상 떠난 후 몰려드는 피로감, 허무함, 좌절감은 어찌해야 하는지 몰랐다. 강상중은 윌리엄 제임스를 인용하며, '건전한 마음'으로 보통의 일생을 끝내는 것보단, '병든 영혼'으로 두 번째 삶을 다시 사는 '거듭나기'의 인생이 더 중요하다고 말한다(121면). 강상중의 텍스트를 읽는 내내 고개 끄덕이며 공감했지만, 그것과 만나는 나의 삶의 해법은 무엇인지 잘 모르겠다. 솔직히 그렇다. 불안과 좌절을 넘어서는 생각의 힘, 난 그것에 쉬이 동의하기 힘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텍스트는 여타 다른 위로의 책과는 결이 다르다. 깊고 곧고 단단하다. 


6. 민주주의 논거의 중심엔 언제나 최장집이 있다. 이 책은, 그 논거의 면면들을 사려 깊게 들여다 본다. 그래서 아프고 속상하다. 경향신문에 연재했던 글들 중심으로 엮었다. 책의 완성도는 많이 아쉽다(그럼에도 난 그의 사인본. 그걸로 됐다!). 


7. 수잔 브라이슨의 책은 지난 달 CBS 신동주 PD님의 추천으로 읽었다. 마침 헌책방에서 이 책을 다시 발견하고 한 권 더 사둔다. 선물할 거다. 다음은 페이스북에 썼던 글. 


"수잔 브라이슨의 책 <이야기해 그리고 다시 살아나>를 단숨에 읽었다. 죽음 직전까지 이르게했던 끔찍한 성폭력의 '트라우마'를 극복해 나가는 저자의 지난한 과정을 마음 조리며 읽어갔다. 이 책은 무엇보다 '이야기'와 '관계'로 규정되는 '나'의 존재론에 대해 또다른 성찰과 통찰을 갖게한다. 이제 난, 누군가의 고백을 들으며, '이제 그 트라우마에서 좀 벗어나렴'이란 말, 쉽게 할 수 없을 것 같다. 이 단순한 사실은 절망스럽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 희망이기도 하다. 절대 잊혀지지 않는 트라우마와 더불어 살아가는 방법을, 조금이나마 알 것 같기 때문이다." 


8. 서평 쓰기 위해 읽었던 책은 <가난하게도 마옵시고 부하게도 마옵소서>, 읽고나니 서평을 쓰고 싶었던 책은 <회심의 변질>과 <당신들의 기독교>. 크레이그 블룸버그의 책엔 찬사와 아쉬움이 두루 남는다. 그의 책을 제대로 읽되 그 한계를 정확히 인지할 때, 우리에겐 희망이 있을 것이다. 알렌 크라이더와 김영민의 책은, 절망이란 단어를 너무 쉽게 말하는 우리의 감수성을 여지없이 깨뜨린다. 우리는 아직 충분히 절망하지 않았으며 제대로된 희망도 아직 갖지 못했다. 이 책들에 관한 더 자세한 이야기는 나중에 서평 씉 잡지들이 나온 다음에. 


9. 안동림의 책은 헌책방에서 발견하여 일단 사둔다. 즉 사치품이라고 할 수 있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