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해 말 정치적인 격변 상황에 연대체는 새로운 가능성의 틈을 열었다. 2016년 6월 20일 결성된 ‘가습기살균제 참사 전국네트워크(가습기넷)’는 11월 5일부터 진행된 박근혜 정권 퇴진 촛불시위에 참여해 피해자 중심의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는 서명 운동을 벌였다.87) 촛불시위 정국에서 가습기살균제 피해자의 목소리는 더없이 적극적이었다.
누구나 환경재난의 피해자가 될 수 있지만 현실에는 재난을 겪지 않은 사람이 훨씬 많다.
정치 참여의 효용은 내 삶이 당장 바뀌지 않는 한 감지하기 어렵다.
연구 조작으로부터 5년 뒤 검찰이 확인한 바는 이렇다. 옥시는 서울대 연구진에 2억 5000여 만 원, 호서대 연구진에 1억여 만 원 규모의 연구를 발주했다. 두 연구 보고서는 옥시의 살균제로 흡입독성시험을 반복했을 때 대조군과 노출군에서 사망한 동물이 없었고 임상적으로 특이한 증상 또한 없었다고 했다. 물론 거짓이었다. 연구진은 데이터를 고의로 조작하거나 누락해 살균제의 독성을 축소하며 기업에 유리한 쪽으로 결과를 왜곡했다.
기업과 결탁해 과학적 불확실성을 만드는 과학자는 대중과 시민사회의 공분을 산다. 사람들은 언제나 안전한 제품, 건강에 해가 되지 않을 제품을 쓰길 원한다. 기업이 생산하는 제품이라면 마땅히 안전할 것이라는 무언의 약속을 믿고 소비 생활을 한다. 생각보다 많은 기업이 과학을 무기로 제품의 안전성을 흐리며 판매 활동을 이어 갔다는 사실은 충분히 지탄받을 만하다. 가습기살균제 참사와 관련된 전문가를 분석한다는 나의 말에 현장의 사람들이 비난받아 마땅한 옥시 청부과학자들을 떠올린 것도 무리는 아닐 것이다.
이 책은 가습기 살균제 사건을 다룬다. 1994년부터 2011년까지 팔린 가습기 살균제는 그야말로 재난이다.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사회적 재난 중 가장 많은 사망자가 발생했고(약 1700명), 그것도 겨우 추정치일 뿐이다. 부상자나 집계되지 않은 사람들은 셀 수도 없다. 17년 동안 독약을 팔았음에도 아무도 그걸 알지 못했다는 게 너무 마음 아프다. 다시는 이런 일이 없어야 할 것이다. 그렇기 위해서는 아주 작은 가능성이라고 하더라도 사람의 생명/건강과 관련해서는 철저하게 따져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생명은 분할할 수 없는 것이기에, 하나를 잃으면 전부를 잃는 것이기 때문이다. 재난 상황에서 국가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인지에 대해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된다.
달리기 할 때 오디오북을 듣는 걸 좋아한다. 이 책도 그렇게 오디오북으로 접하게 되었는데, 듣다 보니 너무 좋아서 읽어서 한 번 더 봤다. 손웅정 씨는 전직 프로 축구선수다. 손흥민 씨의 아버지로만 알고 있을 수도 있는 그의 이야기를 듣다 보니 왜 손흥민 씨가 그렇게 훌륭한 인성을 갖고 있는지 알게 되었다. 손웅정 씨는 29세에 무릎 부상으로 이른 은퇴를 하게 된다. 그 후 가장으로서 이런저런 일을 다 하는데, 노가다를 하면서 주변에서 수근대는 소리가 신경쓰였다고 한다. 하지만 이내 마음을 다잡는다. ’날 때부터 프로 선수였던 것도 아닌데 … 일이 창피한 게 아니라 그걸 창피해 한 게 창피한 거였다‘, ’살아가는 길이 하나뿐인 것도 아닌데, 왜 당당하고 떳떳하지 못했나’. 이 부분은 볼 때마다 눈물이 난다. 그 힘든 시기를 이겨낸 것도 존경스럽지만, 자신만의 삶을 살아가는 떳떳함이 느껴지기 때문이다. 자긍심은 스스로 높이는 것이라는 그의 말처럼, 오늘도 나만의 삶을 살아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