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종의 기원 ㅣ 드디어 다윈 1
찰스 로버트 다윈 지음, 장대익 옮김, 최재천 감수, 다윈 포럼 기획 / 사이언스북스 / 2019년 7월
평점 :
<종의 기원>만큼 유명한 책이 있을까? 이 책은 우리가 지금은 당연하게 생각하는 ˝진화˝라는 개념을 처음으로 집대성한 책이다. 물론 진화라는 개념을 다윈이 처음으로 떠올린 건 아니다. ‘종이 변한다‘는 개념은 이미 그 이전에도 경험적으로 알려졌으며, 다만 그 원리를 납득할 만하게 설명하지 못했을 뿐이다.
책의 초반부에선 각종 비둘기에 대한 얘기가 자꾸 나오는데, 다윈이 살던 19세기 영국에선 비둘기, 닭 등 각종 가축을 교배해서 새로운 품종을 만들어내는 게 유행이었다(우리가 아는 대부분의 강아지 종들도 이때 생겨난다).
합리적인 사람이라면 여기서 어떤 아이디어를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 즉 사람이 인위적으로 품종을 개량할 수 있다면, 자연도 그렇게 할 수 있으리라는 단순한 아이디어다. 즉 ˝자연선택˝의 개념이다.
다윈은 비글호 20대 중반에 떠난 비글호 탐사에서 갈라파고스의 핀치새들을 발견하게 된다. 이 핀치새들은 부리 모양이 각기 달라서 처음에 다윈은 각기 다른 종이라서 생각했으나, 근연종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 이후 어떤 영감을 받는다. 어쩌면 이들이 같은 종에서 출발하지 않았을까? 비둘기를 교배해서 각기 다른 외형적 특성과 습성을 갖는 비둘기종들을 만들 수 있는 것처럼 자연도 그렇게 할 수 있지 않을까?
‘자연이 변이를 축적시킴으로서 종을 분화시킬 수 있다‘는 생각은 우리에겐 너무 당연하게 들리지만 그 당시에는 그렇지 않았다. 먼저 종교적인 도그마가 ‘종은 영원불변의 것‘이라는 개념을 강요했기 때문이고, 지금처럼 과학적 도구(지질학, 생물학적)들이 발달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지질학자였던 다윈이 쓸 수 있었던 과학적 도구는 지층에서 드물게 발견되는 화석들 정도였다.
길어봤자 100년을 사는 인간의 눈으로는 오랜 시간을 거쳐 종이 분화한다는 걸 믿기 힘들다. 당연한 일이다. 물이 돌을 뚫을 수 있을까? 100년을 지켜본다 한들 거의 뚫을 수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돌은 물을 뚫지 못하는가? 오랜 시간이 흐른다면 뚫을 수 있고, 진화적 시간대는 그런 긴 시간대를 상정한다.
그렇다면 자연이 어떻게 종을 분화시키는지 구체적으로 알아보자.
1. 생물은 생존 가능한 수보다 더 많은 개체를 낳는다.
2. 각 개체들 간에 생존 투쟁이 벌어진다.
3. 돌연변이가 일어나 약간의 형질적 변화가 생긴다.
4. 환경에 더 잘 맞는(살아남은) 개체들이 후손을 남기며 변이가 축적된다.
5. 아주 오랜 시간이 흐른다.
6. 종이 분화된다.
여기서 핵심은 ˝변화를 동반한 계승˝이다. 변이가 없다면 자연선택은 아무것도 할 수 없다.
생존 투쟁은 거의 기후 요인으로 인한 것이라고 다윈은 말한다. 이는 우리 시대의 기후 위기를 떠올리게 하는데, 약자에게 기후 위기가 진정 위협인 것처럼 전체 생물 종에서도 또한 그렇다.
자연 선택은 형질 분기와 대량 멸절을 야기한다. 새로운 종이 분기되려면 ‘빈 곳(니치)‘이 있어야 한다. 한 종이 있는 자리에 다른 종이 생길 수는 없는 것이다. 공룡이 멸종하지 않았으면 포유류는 진화할 수 없었을 것이다. 공룡에게 다 잡아먹혔을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에겐 다행스럽게도 기후 변화로 공룡이 멸종하고, 그 빈자리를 포유류가 채운 것이다. 이를 보면 생물의 역사는 멸종과 진화를 반복해왔음을 알 수 있다.
가장 심각한 경쟁은 ˝가까운 관계에 있는 근연 형태들 간의 경쟁˝이라고 말하는데, 이는 단순히 같은 종 내의 투쟁 뿐만 아니라, 약간의 변이를 거친 종-아종 간의 투쟁이 가장 격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우리가 진화의 ‘중간 다리‘를 보지 못하는 이유는 이러한 근연 형태들 간의 경쟁으로 인해 근연종들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인간의 근연종 중 인간(homo) 속에 속하는 것은 호모 사피엔스가 유일하다. 그 이유는 침팬지와 인간을 이어주는 ‘중간 다리‘들은 근연종 간의 격렬한 투쟁으로 인해 다 사라졌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인간은 인간 속에 속한 유일한 종이 되었다.
또한 어떤 종의 평균 개체수를 결정하는 것은 ‘먹이‘보다는 ‘얼마나 잡아먹히냐‘의 문제라고 말하는데, 이를 인간사회에 적용시켜보면 왜 인구가 그렇게 폭발적으로 늘어났는지를 깨닫게 한다. 인간은 최상위 포식자이기에 잡아먹힐 일이 없다. 또한 기술발전(특히 농업 분야)을 통해 식량 문제를 해결했기에 인구가 줄어들 일이 없는 것이다.
<종의 기원>을 읽다 보면 왜 ˝사회 진화론˝이 나왔는지 이해가 가능한데, 개체가 모여 사는 사회란 결국 생물학의 영역에 포함되기 때문이다. 다윈의 책을 읽으며 <총균쇠>가 많이 떠올랐는데, 결국 <총균쇠>가 주장하는 굵직한 큰 틀은 다 <종의 기원>에서 따온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예를 들어 총균쇠의 기본 주장은 ‘밀집된 경쟁으로 인해 경쟁력을 획득한 유럽이, 경쟁이 덜한 다른 문명을 멸종시켰다‘로 요약할 수 있는데, 이는 정확히 <종의 기원>에 나오는 내용이다.
<종의 기원>에서는 대륙(특히 유라시아 대륙)의 종이 더 많은 경쟁에 노출됨으로써 생존투쟁에 강한 종이 된다고 말한다. 그리하여 대륙종과 섬종이 만났을 때 섬종이 멸종되는 이유를 설명한다. 이러한 논리를 북반구와 남반구 종들 간에도 적용 할 수 있는데, 북반구에는 남반구보다 육지가 더 많기에, 북반구는 남반구에 비해 대륙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북반구 종들이 남반구 종들보다 더 강한 생존투쟁력을 갖게 되어, 북반구 종들이 남반구 종들을 멸종시킨 것이다.
자연이 비정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엄밀히 말해 자연에는 아무런 감정도 없으며(가치중립적), 투쟁에서 진 쪽은 그저 사라질 뿐이다. 이를 사회의 차원에 적용한 게 바로 사회 진화론이다. 사회 진화론은 강대국의 논리로 이용되었는데, 이는 진화가 가진 개념, 즉 ˝살아남기 위해서는 투쟁(경쟁)을 피할 수 없다˝와 ˝개방과 경쟁을 통해 경쟁력을 획득해야 살아남을 수 있다˝가 정확히 강대국이 약소국을 침략할 때 쓰는 논리와 같기 때문이다.
하지만 진화는 경쟁을 통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며, 경쟁을 피해 새로운 환경을 찾아나선 생물에 의해서도 이루어지는 것이다.
우리가 흔히 하는 착각으로, ˝진화는 진보다˝가 있다. 하지만 진화에는 방향성이 없다. 그저 환경에 대한 적응이 있을 뿐이다. 생물 간 투쟁으로 꽉 찬 수중에서 벗어나 뭍으로 올라온 생물처럼, 진화에는 그저 환경에 적응해 살아남기 위한 발버둥이 있을 뿐이다.
경쟁을 하든 안 하든, ˝삶의 본질은 변화˝라는 것에는 차이가 없다. 즉 삶의 본질은 변화이며, 그 변화는 결국 자신에게 주어진 소중한 생명을 이어나가기 위한 염원이 아닐까 생각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