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처받지 않을 권리 다시 쓰기 - 자본주의를 가로지르는 인문학 로드맵
강신주 지음 / 오월의봄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제목인 <상처받지 않을 권리>는, 자본주의를 살아가며 ˝상처받지 않을˝ 수 있는 권리가 우리에게 있음을 말한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우리가 상처받기 쉬운 이유는, 무엇이든 돈으로 환원할 수 있고 교환가능하다는 생각 때문이 아닌가 싶다. 사실 많은 것을 돈을 주고 살 수 있다. 우리 각 개인조차 노동력이라는 잣대에 의해 평가받고, 어딘가에 속하며, 연봉을 비교하고, 그것에서 자신의 가치를 확인하려 한다. 그리하여 삶을 살며 돈이 없으면 불행해 하고, 있어도 더 갖지 못한 자신을 자책하며, 더 가진 사람을 미워하며 자신의 돈과 비교하며 불행해한다.

비교하는 것은 얼마나 쓸데없는 일인가? 누구나 각자 다 하나뿐인 조합이니, 엄밀히 말하면 비교 자체가 불가능한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많이 생각한 주제는 바로 ˝허영˝이었다. 우리가 무언가를 사려고 할 때 그것이 정말 필요해서 사기보다는, 다른 사람과 구별되기 위해서 사는 경우가 있다. 옷을 예로 들어보자. 따뜻한 옷은 육체적 필요에 의한 것이지만, 남들과 다른 옷은 정신의 필요에 의한 것이다. 나는 후자의 경우를 허영에 의한 소비라고 생각한다.

나는 예전부터 허영은 나쁜 것이라고만 생각했다. 단어 자체의 느낌이 그렇지 않은가, 마치 헛된 미망을 쫓는 듯한 기분이 든다. 하지만 인간은 기본적으로 허영을 가진 존재다. 허영이란 정신의 굶주림이다. ˝다른 사람이 찬양하는 특성을 마치 자신의 본성(본질)인 것처럼 여기는 마음˝에서 허영이 나온다. 그렇기에 허영의 다른 말은 ˝인정욕구˝이다.

우리는 남의 인정을 받기 위해 열심히 노력한다. 그렇다면 허영이란 단순히 헛된 미망은 아닌 셈이다. 허영은 그 자체가 변화의 원동력이 될 수 있다.

하지만 허영이란 기본적으로, 자신의 가치를 남의 인정에서 찾는다는 데에 문제점이 있다. 남이 내게 칭찬을 하든 비난을 하든, 그 말 자체에 흔들릴 필요가 있을까? <초역 부처의 말>을 읽으면서 가장 마음에 드는 구절이 바로 ˝바라지 않는다˝ 였는데, 이는 남에게서 인정을 바라지 않음을 의미한다.

허영은 그림자와 같다고 생각한다. ‘나‘라는 실재가 있다면, 그림자는 빛의 각도에 따라 길어지기도, 짧아지기도 한다. 그림자는 대강의 형상을 드러낼 뿐, 그것이 곧 나의 본질은 아닌 것이다.

다른 사람과 구분되고 싶어하는 마음, 이것은 인간의 근본적인 마음이다. 하지만 구분되고 싶어한다는 것은, 역설적으로, 본질적으로는 다르지 않음을 감추려는 시도다. 즉 인간은 모두 같은 존재이기에 달라지고 싶어한다.

남의 인정을 바라지 않고, 자신에게 주어진 삶을 살아내는 것.
남과 비교하지 않고 자신의 몫을 살아낸다는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봄눈 풍요의 바다 1
미시마 유키오 지음, 윤상인 외 옮김 / 민음사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요아키에게 환희를 안긴 것은 불가능이라는 관념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달리는 말 풍요의 바다 2
미시마 유키오 지음, 유라주 옮김 / 민음사 / 202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 사람보다 무서운(아름다운) 것은 없다‘는 미 의식을 극대화하면 결국 할복자살을 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달리는 말 풍요의 바다 2
미시마 유키오 지음, 유라주 옮김 / 민음사 / 202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에 미시마 유키오가 할복해서 죽었다는 얘기를 들었을 때, ‘무슨 그런 또라이가 다 있나‘하는 생각을 했다. 하지만 그의 작품들을 읽은 지금은 생각이 조금 달라졌다. 미시마(히라오카) 상은 ˝그다운 삶˝을 살다 간 것이다.

알면서도 맞이하게 되는 파국이 있다. 우리에게는 죽음이다. 누가 어떤 식으로 죽든, 그게 자기 마음에 드는 방식이면 그만이지 않을까 싶다. 그렇기에 자신의 앎과 행동을 일치시킨 그에게 어렴풋한 존경심마저 든다.

하지만 미시마 유키오의 사상은 이웃나라의 시선으로 봤을 때는 곱게 보이지 않는다. 또한 합리적인 시선으로 보려고 해도, 전혀 합리적으로 보이지 않는다.

나는 미시마 상을 ˝누에˝에 비유하고자 한다. 그의 삶 자체는 고치를 만드는 곤충과 같다. 벌레가 만드는 직물에서 우리는 아름다움을 엿본다. 좋은 주제에 아름다움이 없는 것보다는, 차라리 저열한 주제나마 아름다움이 있는 게 나은 걸까?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확실한 것은 내가 <달리는 말>을 읽으면서, 이 소설이 끝나지 않기를 바랐다는 것이다. 그리고 <가면의 고백>을 사며 전작에서 느꼈던 것과 같은 감동을 다시 느끼기를 바란다는 것이다.

소설가로서 이 정도면 좋은 삶이 아니었을까 싶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논어 (무삭제 완역본) 현대지성 클래식 23
공자 지음, 소준섭 옮김 / 현대지성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말 잘 듣는 사람 만드는 데 치중하는 유치한 사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