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얼굴 빨개지는 아이 ㅣ 장자크 상페의 그림 이야기
장 자크 상뻬 지음, 김호영 옮김 / 별천지(열린책들) / 2009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다름을 긍정하는 공감
마르슬랭은 얼굴이 수시로 얼굴이 빨개지지만 정작 얼굴이 빨개져야 할 순간에는 빨개지지 않는다. 친구들이 얼굴에 대해 계속 질문하자 마르슬랭은 점차 친구들을 피하고 혼자가 된다. 그때 르네가 이사를 온다. 르네는 재채기를 하는 습관이 있어서 바이올린을 연주할 때 어려움을 겪는다. 얼굴색과 재채기가 마음대로 되지 않는 두 아이는 서로를 깊이 이해하고 둘도 없는 친구가 된다.
그림이 만화컷으로 되어 있어 깨알같은 재미가 곳곳에 숨어 있다. 심각한 장면까지도 유머로 승화하는 저자의 재치가 돋보인다. 르네의 재채기 소리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면 저자가 얼마나 세심한지도 알 수 있다.
다른 이들과 다르다는 이유로 스트레스를 받는 마르슬랭은 우리의 자화상이다. 모든 인간이 같을 수가 없는데, 그 다른 점을 우리는 감추거나 누르고 산다. 언젠가 그 다름이 드러날 때 사람들은 이상한 시선으로 보고 우리는 불행해진다. 그러나 나의 다름을 이해하는 단 한 사람이 옆에 있다면 그 한 사람만으로도 불행은 사라지고 그만큼 행복이 내 곁에 머무른다.
마르슬랭과 르네가 서로를 만나지 못했다면 어떻게 성장했을까. 과연 멋진 어른이 될 수 있었을까.
어른이 되어 다시 만난 그들은 동심을 회복하고 변치 않는 우정을 이어간다. 그리고 그들의 아이들도.
한 번 만들어진 희망이 계속 이어지는 영속성의 발견은 미래를 긍정하게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