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아이 독깨비 (책콩 어린이) 22
R. J. 팔라시오 지음, 천미나 옮김 / 책과콩나무 / 2012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아름다운 아이> R.J.팔라시오

아이에게 주어진 최고의 가치

 

아름다운 아이라는 제목이 얼마나 역설적인지는 책을 한 장만 읽어봐도 알 수 있다. 고작 10세의 나이에 어거스트는 자신의 얼굴을 보자마자 고개를 돌려버리는 사람들에게 익숙하다. 외모지상주의에 대해 말하는 게 아니다. 그 반대다. 이 책은 평범하지 않은 사람에 대한 차별을 말하고 있다.


선천적으로 장애를 지니고 태어난 어거스트는 열 살이 될 때까지 학교에 가지 않았다. 부모의 설득으로 학교에 가게 된 어거스트는 편견에 가득 찬 시선 속에서 학교생활을 시작한다. 중간에 좌절하기도 하고 갈등도 있었지만, 어거스트는 주위 사람들의 도움을 받아 한 학년을 무사히 마친다. 그리고 종업식에서 모든 학생과 학부모들의 박수를 받으며 메달을 받는다.


다른 아이들에게는 평범한 학교생활이 어거스트에게는 힘겨운 도전이었다. 아이들은 어거스트를 못난 존재로 보았고, 어른들은 어거스트를 불쌍한 존재로 보았다. 그런 시선들 속에서 어거스트가 할 수 있는 일이란 흔들리지 않고 자신을 오롯이 세우는 것뿐이었다. 그건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일이었고, 주위의 도움이 필요한 일이기도 했다. 어거스트는 생물학적 최초의 접점인 가족과 사회학적 최초의 접점인 친구의 도움으로 세상의 매서운 시선을 이겨낸다.


하지만 아무리 많은 시간과 도움이 주어진다고 해도 견디는 건 본인이다. 어거스트의 저항은 언제나 고통을 품고 있다. 아이러니하지만 그렇기에 그 몸짓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준다.


무릎 꿇는 나무라는 이름을 가진 나무가 있다. 캐나다에서 미국으로 길게 뻗은 로키산맥 해발 3,000미터 지대에서 사는데, 폭풍과도 같은 매서운 바람을 맞아 반듯하게 자라지 못하고 무릎을 꿇은 것처럼 구부정하게 옆으로 자라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그런데 세계적으로 유명한 바이올린은 바로 이 무릎 꿇는 나무로 만든다. 나무의 재질이 견고해서 소리의 공명이 아름답기 때문이다.


고통의 시간을 이겨낸 어거스트는 누구보다 아름다운 아이가 된다. 아이가 올바르게 성장하는 것, 그것은 아이에게만 희망을 주는 이야기가 아니다. 어른에게도 큰 자부심을 안겨준다. 어려운 환경의 아이가 제대로 성장하는 사회란 제대로 된 사회일 테고, 그 사회는 어른들이 만든 것이니 말이다. 그러니 어거스트는 아무리 큰 박수를 받아도 부족하다.


아이들이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은, 공부도 효도도 봉사도 아니다. 바로 성장이다. 아이들의 성장이야말로 이 사회가 발전할 수 있다는 희망인 셈이다.


그렇다고 해서 아이들이 맞지 않아도 될 바람을 일부러 맞게 해서는 안 된다. 감동은 한 번으로 족하다. 어른들이 편견과 차별을 끊임없이 지워나갈 때, 아이들은 더더욱 큰 성장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완벽한 가족 상상도서관 (다림)
로드리고 무뇨스 아비아 지음, 남진희 옮김, 오윤화 그림 / 다림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인공이 시험에서 낙제를 한 이유가 결국 주제다. 결말을 읽기 전에 그 이유를 추측해보는 것도 재미 중 하나. 다만 결점을 더해도 훌륭한 가족이라 갈등을 조금 더 강하게 보여주어도 좋았을 텐데 하는 아쉬움은 있다. 완벽함을 추구하다 멀어지는 가족들이 어떻게 가까워지는지 보여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가 나인 것 사계절 아동문고 48
야마나카 히사시 지음, 고바야시 요시 그림, 햇살과나무꾼 옮김 / 사계절 / 200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성장소설과 추리소설의 중간에 위치하는 구성이 헐거운 느낌이 있으나 마지막 한 방이 크다. 부모가 자녀의 양분이 아니라 벽이 되는 환경에서 아이들은 어떻게 행동하는가. 오래 전 작품이라 시대적 상황을 고려하고 보면 좋을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노인과 바다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78
어니스트 헤밍웨이 지음, 김욱동 옮김 / 민음사 / 201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노인과 바다』는  쉽고, 편하다.

 

쉽다는 건 독해 면에서 그러하다. 어려운 단어가 없다. 문장은 마치 아이에게 들려주듯 친절하고, 플롯은 길을 잃을 염려가 없이 단순하다. 그래서 어휘가 주는 의미보다 이야기가 주는 의미에 더 몰입할 수 있었다.

 

 편하다는 건 분위기가 그러하다. 소년은 노인을 다정히 보살피고, 노인은 소년을 조심스레 대한다. 젊은 어부들은 놀리기도 하지만, 나이든 어부들은 걱정해 주고, 마르틴은 음식을 준다. 작은 어촌의 순박한 환경이 거기 있다. 게다가 감정표현, (아이를 믿음직스럽고 다정하게 바라본다거나, 제비갈매기를 가엾게 생각한다거나, 고기가 몰리기 때문에 기분이 좋다거나) 배배 꼬이지 않고 단순하게 표현되는 감정은 일부러 노력하지 않는 한 독자의 머리를 아프게 만들지 않는다. 노인이 고난을 대하는 태도 역시 그렇다. 거기에는 다툼이 없다.

 

마치 동화 같았다. 노인과 바다를 읽고 가장 먼저 든 생각은 그것이었다. 쉽고, 편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전반적으로 꿈을 꾸는 듯한 분위기가 있다. 노인이 꾸는 사자의 꿈도 그렇고, 모든 사물 심지어 다친 손이나 하늘의 달별해에게까지 인격을 부여하여 말을 건네는 행동도 그렇고, 특히 허풍인지 진실인지 구분이 되지 않는 팔씨름 이야기가 그렇다. 24시간 동안 계속했다는 팔씨름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 순간 거대한 청새치를 잡은 것도 허풍이 아닐까라는 의심을 잠시 했다. 의심을 접은 것은 소년의 신뢰를 배신하고 싶지 않기 때문이었다. 그렇잖은가. ‘노인이란 그런 의심이 가능케 만든다.

 

바로 그 노인이 여태 누구도 본 적이 없는 크기의 청새치를 잡아서 끌고 온다. 가시밖에 남지 않은 청새치를 보면 그가 겪은 혹독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불굴의 의지와 같은 거창한 말로 수식하는 건 어울리지 않는다. 그는 긴 세월 동안 생활로 굳어진 일을 숙명처럼 묵묵히 해낸 것이리라. 숙명은 때로 굴레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그것을 통과하기란 녹록치 않다. 그것을 알아주는 소년이 있었기에 노인이 소요한 세월은 무가치하지 않은 것이 된다. 소년에게서 위로를 받는 건 비단 노인만은 아닐 것이다.

 

아버지라 하면 보통 등을 연상하지만, 나는 아버지의 두 다리를 떠올린다. 집에 오면 무협소설을 읽는 것이 낙인 아버지의 다리는 앙상하다. 고된 일에 다치고 흉터진 맨살이 고스란히 드러난 두 다리는, 묵묵히 걸어온 아버지의 긴 세월을 보여 준다. 노인의 햇볕에 탄 반점이나 손의 묵은 상처처럼, 또는 디마지오의 발뒤꿈치에 생기는 뼈돌기처럼. 교훈적인 면면은 동화같다는 인상을 한층 강하게 만들어 주지만, 그것은 어쩌면 각박한 현대에 내가 살고 있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이 작품을 한 단어로 정의하라면 아마도 옛날이야기라고 하겠다. 지금은 자취가 없는 할머니가 할아버지가 들려주는 이야기 같다고, 노인의 혼잣말은 마치 추임새 같아서, 내내 자장가를 듣는 듯했다고. 또는 연애편지라고도 하겠다. 노인이 세상에 건네는 말들은 달콤한 밀어 같아서 달이 영향을 미칠 때에도 바다가 아름다워 보였노라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흰 개
로맹 가리 지음, 백선희 옮김 / 마음산책 / 2012년 8월
평점 :
품절


인종차별을 쉽게 상징화한 `개`와 그 개를 지켜보는 저자의 쉽지 않은 시선이 교차한다. 교육이란 조련과 무엇이 다른가, 역사와 함께 흐른 증오는 어떻게 치료해야 하는가, 목적과 수단의 구분은 어디까지 가능한가. 격조 높은 문장과 함께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