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름다운 아이 ㅣ 독깨비 (책콩 어린이) 22
R. J. 팔라시오 지음, 천미나 옮김 / 책과콩나무 / 2012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아름다운 아이> R.J.팔라시오
아이에게 주어진 최고의 가치
『아름다운 아이』라는 제목이 얼마나 역설적인지는 책을 한 장만 읽어봐도 알 수 있다. 고작 10세의 나이에 어거스트는 자신의 얼굴을 보자마자 고개를 돌려버리는 사람들에게 익숙하다. 외모지상주의에 대해 말하는 게 아니다. 그 반대다. 이 책은 평범하지 않은 사람에 대한 차별을 말하고 있다.
선천적으로 장애를 지니고 태어난 어거스트는 열 살이 될 때까지 학교에 가지 않았다. 부모의 설득으로 학교에 가게 된 어거스트는 편견에 가득 찬 시선 속에서 학교생활을 시작한다. 중간에 좌절하기도 하고 갈등도 있었지만, 어거스트는 주위 사람들의 도움을 받아 한 학년을 무사히 마친다. 그리고 종업식에서 모든 학생과 학부모들의 박수를 받으며 메달을 받는다.
다른 아이들에게는 평범한 학교생활이 어거스트에게는 힘겨운 도전이었다. 아이들은 어거스트를 못난 존재로 보았고, 어른들은 어거스트를 불쌍한 존재로 보았다. 그런 시선들 속에서 어거스트가 할 수 있는 일이란 흔들리지 않고 자신을 오롯이 세우는 것뿐이었다. 그건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일이었고, 주위의 도움이 필요한 일이기도 했다. 어거스트는 생물학적 최초의 접점인 가족과 사회학적 최초의 접점인 친구의 도움으로 세상의 매서운 시선을 이겨낸다.
하지만 아무리 많은 시간과 도움이 주어진다고 해도 견디는 건 본인이다. 어거스트의 저항은 언제나 고통을 품고 있다. 아이러니하지만 그렇기에 그 몸짓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준다.
‘무릎 꿇는 나무’라는 이름을 가진 나무가 있다. 캐나다에서 미국으로 길게 뻗은 로키산맥 해발 3,000미터 지대에서 사는데, 폭풍과도 같은 매서운 바람을 맞아 반듯하게 자라지 못하고 무릎을 꿇은 것처럼 구부정하게 옆으로 자라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그런데 세계적으로 유명한 바이올린은 바로 이 ‘무릎 꿇는 나무’로 만든다. 나무의 재질이 견고해서 소리의 공명이 아름답기 때문이다.
고통의 시간을 이겨낸 어거스트는 누구보다 ‘아름다운 아이’가 된다. 아이가 올바르게 성장하는 것, 그것은 아이에게만 희망을 주는 이야기가 아니다. 어른에게도 큰 자부심을 안겨준다. 어려운 환경의 아이가 제대로 성장하는 사회란 제대로 된 사회일 테고, 그 사회는 어른들이 만든 것이니 말이다. 그러니 어거스트는 아무리 큰 박수를 받아도 부족하다.
아이들이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은, 공부도 효도도 봉사도 아니다. 바로 ‘성장’이다. 아이들의 성장이야말로 이 사회가 발전할 수 있다는 희망인 셈이다.
그렇다고 해서 아이들이 맞지 않아도 될 바람을 일부러 맞게 해서는 안 된다. 감동은 한 번으로 족하다. 어른들이 편견과 차별을 끊임없이 지워나갈 때, 아이들은 더더욱 큰 성장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