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속사회 - 쉴 새 없이 접속하고 끊임없이 차단한다
엄기호 지음 / 창비 / 201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와 타자의 자리 바꾸기


단속사회에서는 '노동자를 꿈꾸지 않는 사회'를 소비만 중요시하고 노동을 경시하는 사회에서 연장된 학교 교육의 결과로 보았다. 사회 속의 개인보다 개인이 속한 사회를 살펴본 것이다.


단속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키워드를 뽑으라면 발견이라 하겠다. “반경 10마일의 산책 가능한 거리 안에 있는 경치와 인간의 칠십 평생, 이 두 가지의 공통점은 좀처럼 익숙해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헨리 데이비드 소로우의 말이다. 발견하는 과정은 여행뿐 아니라 사람과 사회에도 적용된다. 발견이 실종되고 확인만 되풀이하는 현대사회는 마치 고인 물처럼 느껴진다.


발견을 하기 위해서는 일단 나와 타자간의 접촉이 필요하다. 접촉은 하되 나는 특정한 한 주체로서 존재해야 하며, 타자에게 전적으로 빨려들어가지 않아야 한다. 단속사회에서 만남은 다만 내적 성숙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는 의 확장이라 말한다. ‘가 되는 과정의 연속이 곧 진정한 관계의 확장이라는 것이다. 만남에서 타자를 도구화하는 것이 아니라 타자와의 자리 바꾸기, 즉 고통의 공감이 이루어질 때 단절은 사라질 것이다.


저자는 곁을 주는 말하기 방식으로 이 책을 썼다고 했다. 그러나 객관성을 해치는 듯한 다소 감정적인 어조나 산만한 구성이 좋은 소재에 비해 설득력 있게 다가오지는 않았다. 그래도 그 안에 들어가 있는 수많은 사례와 단상으로 인해 이 책은 읽어볼 만한 것이 되었다. 단, 분석보다 공감하며 읽기를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