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 없는 사람을 그리는 아이들
후지와라 토모미 지음, 김소연 옮김 / 기파랑(기파랑에크리) / 2005년 9월
품절


관대한 육아론을 주장하는 사람들 중에 남자가 많은 이유는 그들이 육아현장에 있지 않기 때문이다. 아이중심이 되면 될수록 엄마의 자기희생은 늘어난다. 그 결과, 남자들은 아이가 어떻게 자랄 것인지 말하기 이전에 엄마가 그것을 견뎌 낼 수 있는지 생각하기 어려운 것이다.

다나카 키미코는 이런 지적도 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극단적으로 아이중심적 육아가 확산되고 있다. 보통 부모들이라면 분명히 기진맥진할 것이다. 생명력 넘치는 아기들은 대부분 태어나는 순간부터 욕구를 충실하게 주장하기 때문이다.'

갓난아이에게 배려란 없다. 자신의 욕구만 주장한다. 그 욕구를 항상 들어주다 보면 욕구는 한없이 계속된다. 아이의 욕구는 충족될지 모르지만 아이는 인내를 영원히 배울 수 없을 것이다.-96쪽

"육아에 할애하는 시간이 길수록 엄마들이 피로를 느낀다는 것을 알 수 있지요."
"1980년대 이후 폭발적으로 육아시간이 길어졌어요. 그게 이젠 한계에 달한 게 아닐까요?"
"어떤 엄마가 이렇게 말했어요. 요즘 육아는 압박육아라고요."
"압박면접이라는 말이 있는데 요즘 엄마들은 육아에 쫓긴다는 말이군요. 스킨십 육아는 일종의 압박육아라고 볼 수 있겠네요."-105쪽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