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과 소설가 - 오르한 파묵의 하버드대 강연록
오르한 파묵 지음, 이난아 옮김 / 민음사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윙크하는 표지가 유쾌한 오르한 파묵의 <소설과 소설가>. 그가 말하는 독자와 소설, 소설가에 대한 이야기.



1. 소설을 읽을 때 우리 머릿속에서 무슨 일이 일어날까?


"소설은 두 번째 삶입니다"로 시작하는 첫 번째 파트는 제목처럼 소설을 읽을 때 우리 머릿속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해 얘기한다. 소설 속 풍경에 빠져들고, 주인공들의 감정을 이해하고, 그 안의 이야기들을 진짜로 받아들일 때를. 그리고 그 모든 것이 자연스럽게, 의식하지 않고 이루어지는 독자를 '소박한 사람'으로 텍스트의 인위성과 현실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것에 마음을 빼앗기고, 소설을 쓸 때 사용되는 방법과 소설을 읽을 때 우리 머릿 속에서 일어나는 일에 특별하게 관심을 두는 독자를 '성찰적인 사람'으로 구분한다. 이것은 꼭 독자만이 아니라 소설가에게도 해당되는 얘기라고 파묵은 말한다.

나는 소박한 독자일까, 성찰적인 독자일까? 책을 읽는 내내 그리고 책을 읽고 나서도 생각하게 되는 이야기였다.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해야지! 하는 생각도 했고.

파묵은 또한 이 파트에서 우리 머릿속에서 일어나는 일들 중 중요한 것들을 몇 가지 열거하는데 그 부분을 특히 꼼꼼히 읽게 됐다. 의식하지 않는 사이에 소설을 읽으면서 우리가 행하는 일들이라니! 그리고 다음번에 책을 읽을 때에는 조금 의식해서 이 부분들은 신경써서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2. 파묵 씨, 당신은 이런 것들을 정말로 경험했나요?


소설을 읽을 때 '어떻게 작가는 이런 생각을 했을까. 혹시 직접 겪은 일은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두 번째 파트는 바로 그런 생각이 드는 독자들을 위한 이야기이다. <소설과 소설가>가 더욱 흥미롭게 읽히는 것은 작가가 자신의 경험담을 적당히 섞어서 얘기하기 때문인데 오르한 파묵은 이번 파트에서 자신의 책 <순수 박물관>의 주인공 케말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리고 소설은 완전한 허구도, 완전한 실재도 아니기 때문에 힘이 있는 것이라고 얘기한다. 지금까지 소설은 허구의 이야기, 상상 속의 이야기로 배워왔었기 때문에 왠지 머리를 망치로 맞은 느낌이랄까. 물론 현실보다 더 현실같은 소설들도 많지만 기본적으로 소설=허구란 공식 아래 책을 읽어왔었기 때문에 유심히 읽게 된 파트였다.



3. 소설의 캐릭터, 플롯, 시간

4. 단어, 그림, 사물

5. 박물관과 소설

6. 중심부


이 네 파트는 소설 읽기를 즐거워하는 사람이라면 굉장히 재밌게 읽을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이 책이 전부가 그렇지만 특히 이 부분들은 작가 본인은 물론 여러 작가들과 명작들의 예를 들어가면서 설명하기 때문에 이 작가는 이렇게 작품을 썼구나, 이 작품은 이렇게 쓰여졌구나에 대해 알 수 있어서 좋았다. 특히 오르한 파묵이 <내 이름은 빨강>에 대해서 얘기할 때, 읽은 작품이 그 소설 밖에 없어서인지 더 반가웠고:D 아직 읽어보지 못한 소설들은 꼭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렇게 필독도서목록은 늘어만가고...


개인적으로 이 소설은 어떻게 씌여졌을까, 작가들은 어떤 방식으로 글을 쓸까, 이 캐릭터는 어떻게 나온 것일까 등등 소설 창작에 대해 궁금한 점이 많았었는데 이 책을 읽고 많이 해소가 된 것 같다. 오르한 파묵이 말한 "어쩌면 지금 나는 직업상의 비밀을 너무 많이 털어놓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작가협회에서 제명당할지도 모르겠군요!"라는 말이 농담이 아닌 것 처럼 들릴 정도:D 개인적으로는 다 얘기해줘서 고마워요!란 심정.


책을 좀 더 잘 읽고 싶은 사람, 글을 좀 더 잘 쓰고 싶은 사람 모두에게 추천해주고 싶은 책. 이번 주말 다시 한 번 이 책을 읽을 생각이다. 한 번만 읽기엔 너무 아쉬워서. 이번에 읽을 때는 옆에 작은 노트 하나를 펼쳐놓고 공부하듯이 읽어봐야지. 정말 공부하고 싶게 만들어주는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