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과 소설가 - 오르한 파묵의 하버드대 강연록
오르한 파묵 지음, 이난아 옮김 / 민음사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과 소설가
오르한 파묵



가벼운 에세이만 연속 읽는다는 건, 어쩌면 좋아하는 분야이지만 역효과를 내기도 해요. (요즘 그래요 제가.) 한동안 에세이, 또는 가볍게 읽을 수 있는 소설과 얇은 분량의 이야기들을 탐욕스럽게 탐색했습니다. 그러다 우연히 다음 책으로 어떤 책을 읽을까 하며 책장을 빼꼼히 바라보다가 우연히 이 책이 저의 시선에 들어왔습니다. 사실 저는 이론, 강연 부분에 대해서는 조금은 거부감이 있어요. 아무래도 익숙치 않은 분야이기도 하고, 저에게는 난해함 그 자체였으니까. 당연하다고 생각할지도요.



하지만 묘하게 이 책을 읽을지 말지 고민하면서 집어들고는 후루루룩 책 페이지를 넘겨보니, 은근한 '끌림'이 느껴집니다. 딱딱한 문체가 아닌 누군가와 조근조근 이야기를 하듯 대화체로 쓰여있어서, 거부감 없이 흥미가 생기기 시작했던 것 같아요. 이 책은 소설가 오르한 파묵이 하버드 대학교에서의 강연록이에요. 그렇다고 해서, 그러니까 대화체로 흥미롭게 쓰여졌다고 해서, 이 책이 전체적으로 쉽게 읽히지만은 않아요. 또한 그렇다고 해서 우리와 같은 평범한 독자에게 어렵게 읽히거나 난해함으로 가득하지도 않답니다. 제가 느꼈던 건 대체적, 아니 정말 흥미롭게 읽었다는 점이에요.





내게 소설의 가치는 우리로 하여금 소박하게 세계에 투사할 수 있는 중심부를 찾아 나서게 만드는 힘에 있습니다. 더 간단하게 말해, 소설의 진정한 가치는 우리에게 삶이 바로 이런 것이라는 느낌을 얼마나 이끌어 내느냐에 따라 평가되어야 합니다. 소설은 삶에 관한 우리의 중심 사상에 호소해야 하고, 그러한 기대 아래 읽혀야 합니다. (11쪽) 우리는 소설을 읽는것에 대해 깊숙히 생각해 보지 않아요. 그냥 텍스트의 흐름에 따라, 읽어가지요, 자신의 머릿속에서 어떠한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지, 어떠한 변화를 겪고있는지 모른답니다. 하지만 어떠한 소설을 접하느냐에 따라 , 삶의 방향, 의미, 생각의 변화를 느끼게 만들어요. 오르한 파묵은 소설과 소설가의 가장 중요한 포인트를 대부분 삶의 의미(가치)에 대해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소설은 기본적으로 시각적 문학입니다. 소설은 주로 우리의 시각적 지능, 즉 사물들을 눈앞에 떠올리고 단어를 머릿속에서 그림으로 전환하는 능력에 호소하여 우리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다른 문학 장르와 비교했을 때, 소설은 우리의 평범한 인생 경험과 때로는 알아차리지도 못했던 감각에 대한 기억에 의존한다는 것을 우리 모두 알고있습니다. (92쪽)





시는 그림과도 같다. 어떤 것은 가까이에서 보면 사람에게 영향을 끼치고, 어떤 것은 멀리 떨어져서 보면 영향을 끼친다. 어떤 그림은 어두운 구석을 좋아한다. 어떤 그림은 비평가의 날카로운 평가를 두려워하지 않으므로 꽤 밝은 곳에서 감상해야 한다. 어떤 그림은 한 번에 마음에 들어오고, 어떤 그림은 열 번 정도 보았을 때 사람에게 즐거움을 안겨 준다. - 호라티우스 [시론] (95쪽) 이 시론의 한 구절을 읽으면 가만히 곱씹게 됩니다. 비록 시와 그림을 비유한 글이지만. 소설 또한 마찬가지가 아닐까 생각이 들어요. 순문학 뿐 아니라 다양한 장르의 소설들을 읽다보면 그 속에는 이렇듯 다양한 감각들을 이끌어 냅니다. 이 말의 의미를 다시 생각해 본다면 소설가들이 글을 쓸때 자신이 머릿속으로 상상했던 그 무엇의 이미지를 어떠한 단어를 선택해 적절히 잘 표현하냐에 달라지겠지요. 상상의 이미지를 가장 어울리는 단어를 찾아 내고 표현할수록. 독자로 하여금 이렇게 다양한 느낌과 감각으로 작가가 생각한 이미지를 고스란히 흡수 할수 있을 테니까요.





이 책은 어떻게 소설 읽어야 하는가 하는 것보다는 대부분이 소설 쓰기에 대한 이야기로 중점을 두고 채워져 있어요. 그렇다보니 소설가들이 글을 쓸때 일어나는 생각, 행동, 관점, 등의 상당히 많은 부분을 말해주고 있지요. 어찌보면 오르한 파묵 , 자신만의 생각과 주관으로 쓰여진 글이기 때문에 지극히 주관적일 수도 있지만 다른면에서는 객관적인 관점일 수도 있는듯이 느껴진답니다. 그런 이유가 어쩌면 이 책의 텍스트 속에는 많은 작가들과 (아직 내가 접해보지 못한 작품) 수많은 작품들을 예시로 들어 설명하고 , 자신의 생각들을 꾸밈없이 전해주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해요. 그렇기에 다른 한편으로는 이 책은 오르한 파묵,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고 쓴 자신만의 소설론으로 여겨질수도 있으나, 글을 쓰는 사람이 아닌 , 평범한 (소설을 좋아하는 분들이라면) 독자들이라도 한번쯤 읽어 보기에는 매우 유용한 부분들이 깨알같이 숨어 있답니다. 또는 소설들을 읽을때 생각의 가치, 또다른 의미, 또한 읽는 것에 대한 틀을 잡아주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기도 하고요.



장르 소설을 읽을 때는 삶의 의미와 관련된 기본적인 문제를 묻는 존재론적인 긴장감으로 지치지 않기 때문에 훨씬 편하게 느낍니다. 사실 우리는 모든 것이 어디에 있는지를 아는, 마치 집에 있는 듯한 안전하고 평온한 기분을 느끼기 위해서 장르 소설을 읽습니다. 위대한 순문학 소설을 찾는 이유는 세상에서 길을 잃은 듯이 느끼고 삶의 의미를 알려 줄 지혜를 갈구하기 때문입니다. 자신이 속해있는 우주와의 관계가 단절된 현대인은 스스로 나아갈 바를 찾기 위해 소설을 읽습니다. (154쪽)





오르한 파묵은 이 책을 소설 이론을 분석하고 논쟁을 벌이기 위해 쓴 것이 아니라 합니다. 그는 소설가로서 살아오면서 그동안의 경험과 자신의 소설 쓰기에 관한 내용들로, 자신의 개인적인 관점을 표현하기 위해 쓰였다고 합니다. 22살의 그가 화가의 길을 버리고 소설가로서의 길을 가겠다는 확고한 결심에서 주변의 지인들은 독자층이 한정된 나라에서의 소설가가 된다는 그에게 "오르한, 사람은 스물두 살 때 인생을 알수 없단다, 나이를 좀 더 먹고 인생을, 사람들을, 세상을 경험해 봐" 라고 말합니다. 그말에 오르한은 이렇게 말하고 싶었다고 합니다. "소설은 우리가 인생을, 사람을 알기 때문에 쓰는 게 아니에요. 다른 소설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 같고 그와 같은 방식으로 써 보고 싶기 때문에 쓰고 싶은 거라고요!" 라고 말이지요.



지금에 오기 까지 그는 ,오랜 시간동안 인생에서 마주친 사물과 삶과 세계에 대해, 자신이 살고 있는 곳에 대해 표현하기 위해 그는 책 속에서 꾸준히 언급했던 '소박한'과 동시에 '성찰적인' 소설가가 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는것 같습니다. 앞서 말했듯이 비록 쉽게 읽히는 책도 아닌, 때로는 약간의 집중력도 필요로 하는 책이지만, 깔끔하게 정리가 잘 되어 있고, 독자로 하여금 거부감이 생기지 않을 만큼의 재미와 깊이감도 느껴집니다. 200 페이지가 채 안되는 얇은 책이지만, 개인적으로는 오르한 파묵, 그의 소설을 쓰는 것에 대한 내면을 조금 엿볼 수 있었던 계기가 되었던듯 싶어요, 또한 소설과 소설가, 그리고 독자에 관한, 그동안 책을 읽으면서 생각해보지 못했던 많은 부분들을 일깨울 수 있던 기회였기도 했고요. 왠지 지금까지와는 다른 느낌과 재미로 소설을 즐길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웃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