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날 내가 죽었습니다 (반양장) 반올림 1
이경혜 지음 / 바람의아이들 / 200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연히 도서관에서 눈에 띄어 빌려왔던 것입니다. 청소년문학 이라는 표시를 보니 많은 학생들이 찾는 소설같군요. 이 소설을 읽으며, 잠시 나의 학창시절을 떠올려 보았습니다. 나의 치기어린 삶은 ,과연 그 수많은 고민과 생각, 그리고 상처들을 제대로 치유하고 지금의 성장에 이르렀던 것일지.. 기억이 나질 않네요. 그 시절 나는 어떤 생각을 하며 살아왔었던 것인지.. 이미 너무 자라버린 성인이 된 '나'는 이미 많은 것을 잊어버렸고 잃어버렸습니다. 내 기억조차도.

 

이 소설은 그렇게 청소년들의 고민, 상처, 슬픔,후회 등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제목에서 처럼 재준이는 절친한 친구 유미에게서 선물로 받은 일기장에 일기를 쓰기 시작합니다 첫 장에 "어느날 내가 죽었습니다. 내 죽음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라는 글로 시작합니다. 섬뜩하지요. 유미가 이 일기장을 재준의 엄마로 부터 건네받고 읽기 시작한 것은 재준이가 이미 하늘나라로 간 다음이었으니까요. 유미는 선뜻 일기장의 다음 페이지를 넘기지 못합니다. 재준이의 엄마가 그러했던 것처럼.. 겁이 났던 것이겠지요. 자신의 죽음을 미리 예견했던 것처럼 그렇게 무덤덤하게 쓰인 텍스트는 읽는 저에게도 섬뜩했습니다. 비록 불의의 사고로 세상을 떠난 재준이지만, 자신의 죽음을 이미 알고있었던 것이었을까... 그렇게 의문과 궁금증으로 시작되는 이야기는 다시 재준이가 사고를 당하기 전, 생전의 모습을 유미의 기억을 통해 고스란히 되살아 납니다. 소설 <어느날 내가 죽었습니다>는 청소년(성장)소설 답게 그 시기에 많이 겪는 고민과 방황 속에 파묻힌 자신들의 삶을 보여줍니다. 늘 밝고 순수한 재준이에게도 가정에서의 소통의 단절 그리고 괴리감으로 부모에게서 많은 불편함을 느낍니다. 유경이 또한 가족의 불화로 '어른'에 대한 불신과 반항심으로 가득찬 아이로 점점 변해 버리고 말았습니다. 이 소설은 '어느날 내가 죽었다' 가정하에 자신이 겪어야 하는 현실적인 문제들을 다시 한번 되집어보고 되돌아보는 계기를 만듭니다. 그렇게 현실적 문제들, 그러니까 동생과의 다툼이나 부모에게서의 꾸지람, 학교생활의 어려움과 고민들은 자신의 죽음에 비하면 소소하리만치 작은 에피소드에 불과하다는 생각을 하며 스스로 치유를 하는 것이지요. 이렇게 소설은 자신만의 독특한 방법으로 스스로의 고민이나 문제들을 해결하는 방향을 보여주며 , 성장소설 다운 풋풋함과 순수함 역시 그대로 녹아들어 있습니다. 

 

이 소설은 거의 10년 전에 쓰여졌음에도 그때나 지금이나 여전히 청소년에 관련된 심각한 문제들은 여러 매체를 통해  끊임없이 보여지고 있습니다. 청소년들의 반항과 폭력, 그리고 집단 따돌림등은 단순히 학교 교육 문제가 아닌, 가정 교육이 얼마나 중요한지 이 소설을 통해 , 다시금 보여 줍니다. 청소년에서 어른이 되어가는 지금의 시기는, 죽음과 삶의 경계선이 뚜렷해지는 중요한 순간이기도, 자아 정체성을 찾아가는 시기입니다. 그러한 부분에서 이 소설은 아이들과 어른 사이의 소통, 이해의 중요성을 다시금 부각 시키지요. 이미 어른이 되어버린 내가 이 소설을 읽으면서 비록 한창 성장하는 아이들의 내면의 세계를 다 받아들이고 이해할 수는 없었겠지만, 같은 또래의 아이들에게는 꽤나 와닿는 부분들의 많을듯 하기도 하군요. (많은 청소년들이 필독서로 읽을만큼) 부모의 입장에서 한번쯤 읽어봐도 좋은 소설이지만, 자신의 아이들에게도 한번쯤 읽어보라 권해줘도 괜찮은 성장 소설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