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
위화 지음, 백원담 옮김 / 푸른숲 / 2007년 6월
평점 :
품절


어느, 잉여스러운날. 영화를 보려고 이대 캠퍼스에 방문했던, 긴 기다림에 지쳐, 잠시 서점에서 문득 집어들었던 소설 <인생> 사실은 '허삼관 매혈기'를 구입할까, 했지만, 왠지 강렬한 빨강 표지가 내 마음이 더 끌렸네요. 얇기도 했던게 한 몫 했지만 말입니다. 그리고 책을 구입 한지 며칠이 지난 후에야, 손에 집어 들게 되었습니다. 큰 감흥없이 슬슬 읽어 내려가기 시작했는데, 이 소설, 쉽지 않네요. 그 쉽지 않다는 것이 이해력이나, 난해함이 아닌 , 심장을 짓누르듯 묵직하고 무거움으로, 다가 왔다는 것입니다.

 

특이했던 점은, 한 사내의 일인칭 시점이 아닌, 자신의 과거 이야기를 '나'에게 들려주는 방식으로 전개 된다는 점이지요. '나'는 한 노인(푸구이)의 한 평생의 이야기를 들으며, 자리를 뜨지 못합니다. 결국, 이 소설을 읽는 나 역시도, 텍스트에 고스란히 시선을 담아 , 묘하게 빠져듭니다. 한량으로, 그리고 망나니 같은 젊은 시절의 부잣집의 도련님이었던 푸구이는, 집안 모든 재산을 탕진하고, 결국은 가난한 농부로 전락해 버리고 맙니다. 그는 결국 , 모든걸 잃고 난후 , 큰 뉘우침과 깨달음을 얻지요. 하지만 푸구이에게 시련은 그것으로 끝나지 않는듯 합니다. 엄청난 시련과 고통, 그리고 어찌 이렇듯 한 사내의 인생이 기구할까 싶을 정도로, 푸구이의 삶은 참으로 참혹하고, 비참할 정도로 절망 스럽습니다.

 

이야기는 단순히 푸구이의 삶, 그러니까 푸구이의 가족사를 이야기 하지 않습니다. 푸구이의 이야기는 단순한듯 무덤덤히 '나'에게 들려주는 , 그러니까 이제는 소 한마리와 함께 살아가는 늙은 노인에 불과하지만, 그의 '인생' 이야기 속에는 중국 역사가 고스란히 담겨있기도 합니다. 중국 역사에 관해서는 문외한 나에게도 , 설핏설핏 어렵지 않게 보여지기도 한 그들의 역사들은 한편으로는 역사소설로도 가히 충분해 보이기도 합니다. 소설<인생>은 원제 '살아간다는것'이란 제목에서도 알수 있다시피,  초점이 '살아가는...'것에 대한 의미 맞춰져 있습니다.

 

내 한 평생을 돌이켜 보면, 역시나 순식간에 지나온 것 같아. 정말 평범하게 살아왔지. 아버지는 내가 가문을 빛내기를 바라셨지만, 당신은 사람을 잘못 보신게야. 나는 말일세, 바로 이런 운명이었던 거라네. 젊었을 때는 조상님이 물려준 재산으로 거드름을 피우며 살았고, 그 뒤로는 점점 볼품없어졌지. 나는 그런 삶이 오히려 괜찮았다고 생각하네.

 

이렇게 자신의 이야기를 무덤덤히 , 무감정스럽게 이야기 할수 있었던 것 또한, 절망이란 존재함이 아닌, 사람들은 살아간다는 것 자체를 위해 살아가는 것이라는 것이라고 받아 들였기 때문일지도요. 또한 어떤 것을 위해 살아가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말하고 있다고 믿는다고 생각했기에. 그의 엄청난 , 좌절과 절망을 이겨내고, 결국은 모든것을 있는 그대로 , 포용하고 받아들임이 아니었을까 합니다.

 

그러니까 결국, 현재의 우리에게, 이 소설은 '살아가는것'에 대해 또다른 깨달음을 주고 있어요, 과거와 미래, 그리고 지나간 고통과 슬픔이란 모든 감정에 매달리며 , 놓아주지 못한채, 자신을 스스로 채찍질 하고 삶의 의미 자체에 안주하지 않음에 충고를 하고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자신의 지나간 파란만장했던 인생을 이야기 하면서 , 살아간다는 것이 얼마나 강하고 아름다운 것인지 알려주고 있는 것이지요. 나에게 전해주는 푸구이의 진솔한 이야기의 끝에는, 결국 뭉클함으로 가슴으로 울림이 그대로 스며 들어요, 텍스트가 전해주는 그 덤덤한 문체로 인해 저 자신 또한 덤덤하게 , 그의 이야기를 듣고 , 읽고 있었을 뿐이였지만, 결국은, 가볍지 않은 이야기임에, 곱씹고 또 곱씹으며, 먹먹함으로 오랫동안 후유증으로 남아있을듯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