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스트 그렌스 형사 시리즈
안데슈 루슬룬드.버리에 헬스트럼 지음, 이승재 옮김 / 검은숲 / 201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참, 끔찍하다.

 

제가 이 소설 초반을 지날 무렵 느꼈던 감정 이였습니다. 그 이유는 연쇄살인범(아동성범죄자)인 '룬드'의 끔찍한 범행을 읽은 직후였지요.  이 소설은 불행했던 자신의 어린시절을 자신의 딸(마리)에게 되물림 하고 싶지 않았던 이혼남 프레드리크, 그에게 있어 딸 마리는 자신이 살아가는 유일한 이유였을지도 모릅니다. 그런 자신의 생명같은 딸이 어느날 연쇄 아동성폭행범 '룬드'에게 싸늘한 주검을 당하게 되고 말지요. 이야기는 이렇게 시작됩니다. 이 소설을 읽다보니 여타 비슷한 느낌의 소설이 몇권 읽은듯 합니다. 자식을 위한 복수, 가족의 복수. 뭐 그런 장르의 것들을 말이지요, 예를 들면 일본소설인 <방황하는칼날> 이나 <천사의 나이프> 등이 어렴풋 떠오르기도 합니다. 이번 소설 <비스트> 역시 그렇게 비슷한 스토리로 흘러가나. 생각을 했지요.

 

하지만 이 소설은 참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합니다. 여타 추리, 스릴러 미드(미국드라마)를 보는 듯한 느낌 입니다. 다양한 인물이라기 보다는 어찌보면 연관성 없어 보이는 인물들의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애매하게 왠지 연관없어 보이는 그들의 삶의 이야기들이 결국엔 커다란 하나의 고리에 세부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알게되지요. 사실 중반을 지나 후반으로 접어들면서까지도 지극정성으로 아끼던 딸을 잃은 프레드리크의 마음을 조금도 이해하지 못했던것 같습니다. 그렇겠지요. 아무래도 저는 아직 미혼이였고, 자식에 대한 사랑이 얼마만큼인지 감을 잡기 어려웠습니다. 또한 그렇다보니 자식을 잃은 슬픔도 전혀 전달되지 않았고요, 다만! 연쇄살인범 룬드의 살인방법이 참으로 잔인하다! 라는 것에 몸서리가 쳐졌습니다. 오롯이 활자를 읽음으로써 상상되는 그 잔인함과 끔찍함이란 공포스러움이 절로 느껴졌으니 말입니다. 그 대상이 어린 소녀, 겨우 5~6살 가량의 가냘픈 아이들이 였다는 것에 더욱 치가 떨렸습니다. 룬드가 어린 소녀들을 바라보는 시선과 그 소녀들을 표현하는 룬드만의 생각들은 참으로 경악스럽기까지 하네요.

 

그렇게 끔찍하리만치 주검을 당한 자신의 딸 시신을 보면서 프레드리크는 모든 것을 놓아버린듯 보입니다. 자신의 삶까지도 어떻게 되든 말이지요. 오롯이 목적과 목표는 하나일 뿐, 그것은 바로 자신의 딸을 끔찍한 주검으로 몰아간 살인범 '룬드'에게 복수하는 것 뿐입니다. 그렇네요, 결국은... 결국은 이렇게 연쇄살인범에게 복수를 함으로써 이야기는 마침표를 찍는구나.. 라고 단순하게 생각했습니다. 무심하게 책 페이지를 넘기며, 수순에 따라 결말도 단순하게 마무리 되겠지 라고 말이지요, 허나 그렇지 않았습니다. 이 소설의 마지막 장을 덮으며 저는 결국 분노하고 말았습니다. 감정없이 읽어내려가던 이 한권의 소설이 마지막 장을 덮으며 결국 그 몇 페이지 사이에 저에게 격한 감정과 안타까움을 안겨 주었습니다. 결국 마지막 장을 덮으면서 초반에 느꼈던 '끔찍하다' 라는 감정은 '분노'와 '짜증스러움'이 겹쳐지듯 느껴졌습니다.

 

무엇이 저에게 이토록 분노를 느끼게 해주었을까요? 복수, 범죄, 단죄, 사법제도, 짐승... 이 한 권의 소설에서 느낄수 있는 수많은 단어들의 감정들이 있습니다. 위에 말한 것처럼 말이지요, 무엇이 정의 인것인지, 무엇이 옳은 것인지, 저 역시 딜레마를 느끼게 됩니다. 결국 이 소설은 초반 어느 한번의 어떠한 실수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겪게된 상처와 고통, 그리고 슬픈 악몽같은 결말을 안겨줍니다. 은근한 반전이라고 할수도 있겠지만, 왠지 '반전'이라는 단어를 쓰기에는 결말이 너무 참혹하고 분노스럽습니다.

 

<비스트>를 읽으면서 , 참 리얼리티한 표현에 , 어쩌면 세세하고 꼼꼼하다고 까지 느껴지기도 했던 이유가 공동 작가 중, 헬스트럼의 경험에서부터 나온 것이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그 역시 유년시절 적지않은 상처를 입은탓에 범죄(?)로 인해 경찰서를 들락거렸던 이력이 있다고 합니다. 그런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쓰여진 소설이겠지요. 이 소설 역시, 사법제도의 문제, 그리고 정의 보다는 법을 우선시 하는 잘못된 제도를 또다른 시선으로 보여주려 했던게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유럽소설이라 조금은 다른 문화적 차이로 인한 공감대 형성을 못하는게  아니였을까 싶었지만, 이런 아동성범죄에 대해서는 여전히 어느 나라든 똑같은 문제를 안고 있고 있는듯 싶습니다. 늘 심심치 않게 소재로 다뤄지는 범죄 관련 이야기들이 책 속 이야기로만 끝났으면 좋겠다는 생각(바람)을 잠시 해보기도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