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50 - 은근한 불로 노릇하게 부쳐 먹는 한국의 슬로푸드
손성희 지음 / 시드페이퍼 / 2011년 1월
평점 :
품절


 

설연휴가 다가올쯔음 책한권이 도책했다. 명절하면 떠오르는 음식 <전> 에 관한 레시피가 한가득 실려있는 얇디 얇은 책. 사실 전 종류를 무척 좋아하는것도 아니지만, 그래도 왠지 비가 보슬보슬 내리는 날, 괜시리 내 기분까지 덩달아 보슬보슬 가랑비처럼 흠뻑 적셔지는 그런날 모락모락 피어오르듯 달달한 동동주와 노릇노릇하게 부쳐진 해물파전이 간절해지기도 한다. 전 종류가 50가지나 되나? 하며 의아해 휘리릭 뒤적여본다. 사실 뭐 많은 전 종류를 살아오면서 접할 일도 없지만, 그렇다고 다양한 종류를 먹어보지 못했으니, 조금만 먹으면 느끼함에 고개를 설레설레 도리질 까지 하니 말이다. 제일 대표적으로 '전'하면 김치전과 파전이 아닐까 싶다. 사실 개인적으로 파전보다 김치전을 무척 좋아한다. 느끼함을 싫어하는 나로서는 나른한 휴일, 가끔 엄마가 만들어 주시는 김치저는 개눈감추듯 앉은자리에서 뚝딱 하기 바빴던듯하다.  



정말 생각치 못했던 많은 종류의 전들이 소개되어있다. 들어보지도 못한 연근전, 움파산적,육원전, 표고새우완자전, 매생이전, 연어깨전, 조갯살달래전, 참나물전, 메밀묵전, 냉이우렁전, 주꾸미탕탕이전, 무다시마전, 닭살견과류전, 감자명란치즈전, 마늘종홍새우전,제육숙주전, 라이스채소전 등등 정말 수많은 전들이 나열되듯 깔끔한 음식 사진들과 함께 레시피 또한 간결하면서 잘 따라 만들수 있도록 되어있었다. 본문을 들어가기전 전의 필수요소인 기름과 가루에대해 세세히 알려주니 이 책을 펴낸 분의 세세하고 섬세한 배려심을 느끼기도 한다. 기름의 종류인 "올리브유, 포도씨유, 카놀라유, 해바라기씨유, 참기름과 들기름"의 특성과 적절한 사용법 그리고 "밀가루, 부침가루, 튀김가루"의 알지못했던 특성과 설명이 잘 나와있는듯하다." 늘 전을 만들때면 부침가루를 많이 쓴듯하다. 아마 음식에 문외하다 보니 제일 많이 쓰이는 것이 정답일거라고 늘 생각해 왔기 때문일듯.  

 


전은 평상시엔 일상으 반찬 이지만 비오는 날엔 파전으로, 명절에는 산적요리로 상황에 따라 트랜스포머처럼 특별한 변신이 가능하다. 뻔한 파자마 파티 대신, 메인 재료 하나만 있으면 간단한 레시피로 뚝딱 만들어 낼수 있는 전 덕분에 친구들과 타임머신을 타고 추억여행 제대로 다녀왔다(71쪽) 요즘은 서양화된 우리의 식습관으로 인해 인스턴트나 패스트 푸드가  많아지고, 쉽게 접할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정작 우리음식들은 점점 가볍게 접할수가 없는 왠지 간식거리라기보다는 간단히 먹기엔 불편하고 한끼 식사로 해결해야 할듯한 음식들이 대부분인듯 하다. 이 레시피책을 보면서 조금만 더 노력하고 생각한다면 햄버거나 피자 못지않는 사랑받는 음식이 될텐데... 라는 아쉬움이 꽤 많이 남는다. 아이들 건강에도 그리고 부모님의 간단한 간식거리로도 좋을듯한 정말 다양하기만하다.  


잔치에서 전이 빠지면 섭섭하듯, 전에 술이 빠지면 왠지 허전해 저의 개인적인 취향과 호기심에서 전과 곁들이면 좋을 술의 궁합도 소개했습니다. '젼=막걸리'라는 익숙한 공식을 깨트리고 국적 불문한 다양한 술들을 담았습니다. 맛있는 제철 음식이 모두 전의 재료가 되다보니 전통주, 사케, 와인, 맥주, 칵테일 등 세상의 모든 술과 잘 어울리더군요 (여는 글) 오롯이 전에 대한 레시피뿐 아니라 전 종류에 따라 어울리는 술도 추천해 주고있다. 오로지 파전엔 동동주+막걸리뿐이라고 생각했던 내 고정관념을 한 번에 깨주듯이 말이다. 이렇게 많은 전 종류 중에서 유독 곶감전과 양파전, 고추전이 유달리 내 식욕을 자극한다. 아무래도 생소한 여러 다른 전 보다는 눈에 익는 , 그리고 내가 좋아하는 고추와, 양파이다보니 사진속 음식을 보며 괴로움에 몸부림 친다. 이 레시피 책은 왠지 꼭 한권쯤 가지고 있어야 할 필수 소장 책이 아닐까 생각이 든다. 언제든 다양한 장소에서 다양한 모임에서 빛을 발해줄테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