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6
...인생을 총 4단계로 나누고 싶다. 각 단계를 '만일'기준으로 나누어 보자. 1단계는 태어나서 1만일을 사는 27세까지이다. 2단계는 다시 1만일을 살아서 55세까지이다. 3단계는 82세, 4단계는 100세가 된다.
p53
반도체가 순수함보다는 약간의 불순물이 섞여야지만 좋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처럼, 인간관계에도 확실히 모순점이 있다. 인간관계에서도 확실히 모순점이 있다. 인간관계에서 고민스러운 건 반드시 옳은 것이 틀린 것을 이기는 것만은 아니라는 점이다. 회사에서 열심히 묵묵히 일하고 실적을 많이 내면 인정받고 승진하고 성공할 수 있다고 생각한 적인 있었다. 그런데 직위가 올라갈수록 이것이 전부가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논리적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부분이 인간관계에서 존재한다. ....
p62
...평소에 과거 결과를 기술 문서화 하는 방법, 지적재산권으로 권리화 하는 방법, 발표 능력 등을 키워야 한다.
p84
...제프리 무어의 마케팅 이론에 '캐즘'이라는 용어가 있다. 이 단어는 원래 지질용어였다. 지각변동 등의 이유로 인해서 지층 사이에 큰 틈이 생겨 서로 단절되어 있는 상태를 뜻한다. 시장에서도 이러한 캐즘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회사의 실적 악화에 매우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p91
6시그마는 DMADOV(문제정의- 측정- 분석- 설계- 최적화- 검증) 방법론을 사용하고 있는데 일의 본질을 꿰뚫지 못하면 실패하고 만다. 먼저 일의 본질을 파악해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Define(문제정의) 단계이다. 해야 할 일을 정하는 단계이다. 문제가 무엇인지 알아야지 일을 분석하고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p94
...트리즈는 창의적 문제해결 이론으로 창의성도 학습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 출발한다. 문제가 발생한 근본 모순을 찾아내 이를 해결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방법론이다. 주어진 문제에 대하여 얻을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결과를 정의하고, 그 결과를 얻기 위해 관건이 되는 모순을 찾아내어 그 모순을 극복할 수 있는 해결책을 생각해내도록 하는 방법이다.
p150
인공지능이 대신 할 수 없는 인간만의 능력을 갖춰야 한다. 인간에게는 자연스러운 능력이지만 스스로 문제를 찾고 해결하는 것은 인공지능이 할 수 없다. 인공지능에게 일을 시킬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문제를 찾고 정리하는 능력이다. 근본적이고 깊이 있는 생각을 가져야 하는데, 결국은 '왜'를 찾는 노력이다. 창의적인 사고방식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짊누을 던지는 능력이다.
독서가 인간의 고유 능력, 즉 협업 능력, 소통 능력, 비판적 사고력, 창의력 등을 키울 수 있는 핵심 도구이다. 특히 책을 읽고 요약하고, 저자의 주장에 비평하고,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고, 그것을 글로 남길 수 있다면 더욱 좋다.
p151
인공지능을 잘 활용하려면 코딩 능력을 필수로 갖추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상과 생각을 컴퓨터에 전달해야 하는데 코딩은 컴퓨터에 일을 시키기 위한 언어이다. 인공지능은 파이선 언어를 사용한다. 인공지능은 공대생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음대생은 작곡에 쓸 수 있고, 동양철학과 학생은 고문서에 적힌 어려운 문장을 해독하는 것에 활용할 수 있ㄷ. 이제는 전공과 관계없이 인공지능을 이해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인공지능을 경쟁자가 아닌, 동반자로 보는 생각의 전환이 필요하다. 인공지능은 내가 모르는 특정 분야의 전문지식을 도움받는 친구로 여기면 된다. 인공지능 시대에서의 인재는 더욱더 인간적이어야만 한다. 인간미를 겸비한 사람만이 인공지능에 대체되지 않고 살아남을 수 있다....
p159
코딩을 한다는 것은 글을 쓰는 과정과 똑같다. 어떤 내용의 글을 쓸 것인지를 고민하고 생각하는 것이, 코딩에서는 동작시키고자 하는 하드웨어 시스템의 기능, 성능을 정하고 어떤 일을 시킬 것인지를 정하는 일과 같다. 생각이 정해지면 글로 옮기면 되고, 글을 쓰면서 생각이 제대로 표현되지 않으면 몇 번이고 수정하게 된다. 이것이 코팅에서 오류(버그)를 고치는 것과 같은 의미이다.
p161
...코딩교육에서의 핵심은 코딩 그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다. 수학적, 과학적 소양을 토대로 문제를 설정하고 그것을 해결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찾는 알고리즘을 탖는 교육이 우선 되어야 한다. 창의적 아이더어와 상상을 구현하면서 문제해결 능력도 키울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책 읽기, 글쓰기를 통해서 생가하는 힘을 기르는 것은 기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