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5  

 사람이든 동물이든 힘든 시절이 필요하다. 그 시절을 겪어야만 좀 더 성숙해지니까. 일의 필요성을 느끼고, 고통을 참고 이겨 내는 방법을 깨닫기 때문이다. 

p26  

 야생 동물의 자유를 알아야만 사람도 진정으로 자유로울 수 있다는 것. 그 사실을 사람들은 왜 모를까? 귀여워서 갖고 싶을수록 놓아 주어야 한다. 동물은 야생에서 스스로 살아갈 때 가장 행복하고 아름답기 때문이다.

p35

 ...인간도 고양이 못지않게 우는 경우가 다반사인데다 이 계에서 가장 시끄러운 생물이 인간이라는 점까지 생각해 보면 억울해 땅을 칠 노릇인 것이다. 도무지 이 몸이란 짐승이란 역시 먹고사는 것을 제일로 여기는 처지, 먹고사는 일로 따지자면 어느 짐승의 먹고사는 일이 가장 중요한지는 누구도 간단히 말할 수 없는데도, 자기들만 살아갈 가치가 있다는 듯 아무데나 눈을 흘기는 인간들이 승하는 세게란 단지 시끄럽고 거칠 뿐이니 완파되는 편이 좋을 것이다.

p49

...사람이 바늘구멍만 한 구원의 여지도 없는 곤경에 빠졌을 때 신화는 갑자기 우리 앞에 그 신비의 문을 활짝 열고 그곳의 주인이 되라고 유혹한다.  

p78

불초자식: 아버지의 덕행이나 사업을 이어받지 못한 자손

읍참마속; 큰 목적을 위하여 자기가 아끼는 사람을 버림을 이르는 말

p82  

...차를 몰면서 알게 된 건 내가 이 세상에서 하나뿐이면서도 특별한 존재는 아니라는 점이다. 밀리는 길 위에서는 더욱 그렇다. 꼭 나같은 인간들이 비슷비슷한 차 안에 앉아서 비슷한 생각을 하고 있다는 느낌이 들 때, 그럴 때는 환장할 것도 같고 주눅이 들기도 한다. 그래서 내게는 친구가 적고 적은 친구나마 잘 만나지도 않는다. 같은 인간끼리 모여서 우글거리는 게 싫은 것이다. 나는 차창을 열고 한숨을 쉰다. 한때 친구가 삼태기로 퍼 담을 정도로 많았던 시절도 있었다. 그런데 느닷없이 비가 떨어진다. 조그만 빗방울이 차창에 맺힌다.

p103

추호: 가을철에 털갈이하여 새로 돋아난 짐승의 가는 털. 매우 적거나 조금인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p107

...사람들이 움직이는 이유는, 그리고 살아가는 이유는 모두 다 거창해야만 하고 분명해야만 하는 것일까. 꼭 그래야만 하는 것일까. 왜 자신으로서는 절실한 이유가, 문제가 타인들에게는 하찮고 우습고 그래서 짜증나는 것이 될까.

p116

만시지탄: 시기에 늦어 기회를 놓쳤음을 안타까워하는 탄식

p124

데탕트: 적대 관계에 있던 두 진영이나 국가들 사이에 지속되던 긴장이 풀려 화해의 분위기가 조성되는 상태, 또는 그것을 지향하는 정책

p142

 "고딩이 되니까 심리적으로 쫓기나 봐. 이렇게 컴퓨터나 들여다보게 되고 책이 손에 잘 안 잡혀."

 윤호는 솔직하게 말했다. 누나와의 대황에서 내숭을 떨고 싶지도 않고 그럴 필요도 없다. 그만큼 누나는 윤호를 잘 알고, 또 무언가 일방적으로 요구하는 사람이 아니니까.

......

 "그래, 그럴 때가 있겠지. 책을 읽어야 한다는 것도 부담이 되면 곤란하겠지. 자연스럽게 흥미와 열정이 되살아날 때를 기다리는 것이 맞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