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37
..."반드시 잠이 들지 않더라도 잠자리에 누워서 눈을 감고 편히 쉬기만 해도 수면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이때도 수면 중과 마찬가지로 외부의 정보를 차단하지 않으면 효과가 적기 때문에 잠자는 공간의 조명(시각) 이나 음악. 라디오(청각), TV(시각. 청각) 등은 꺼 두는 것이 좋다.
p49
"기억이란 신경회로의 역학적 움직임을 알고리즘으로 사용하여 시냅스의 연결 강도 공간에 외부의 시공간 정보를 전사하여 입력함으로써 내부 표현이 획득되는 것이다."
p50
기억은 뇌에서 신경회로에 저장되는데, 이때 같은 뉴런이 다른 기억에도 사용된다. 하나의 신경회로에 하나의 기억밖에 저장되지 않는다면, 기억의 용량이 상당히 제한되기 때문이다. 뇌는 뉴런을 중복 사용함으로써 신경회로에 많은 기억을 저장한다. 그 결과 하나의 신경회로에 다양한 정보가 동시에 섞여서 기억으로 존재하게 된다. 이렇게 한데 섞여서 저장된 정보는 당연히 상호작용을 일으킨다. 인간의 기억이 애매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그래서 인간은 자주 착각을 일으키고, 시간의 경과와 함께 기억이 흐려지거나 변하기도 하는 것이다.
그러나 기억의 애매함에는 바람직한 면도 있다. 기억이 애매하기 때문에 어느 날 문득 어떤 일을 계기로 지금까지 생각지도 못했던 서로 다른 기억들이 갑자기 연결되면서 새로운 아이디어가 번뜩일 수 있는 것이다. 인간이 가진 상상력과 창조력은 바로 이 원리에서 비롯된다.
단, 신경회로에 많은 양의 정확한 지식이 기억으로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결코 획기적이거나 독창적인 아이디어는 떠오르지 않는다. 발명이나 발견, 히트 상품의 개발 등은 신이 모든 사람에게 부여한 재능이 아니다. 평소의 학습과 정보 수집의 습관이 만들어낸 결과다.
p99
SCAMPER
S:substitute? 다른 것으로 대체하면 어떨까?
C: combine? 결합시키면 어떨까?
A: adapt? 응용하면 어떨까?
M: magnify? Modify?확대하거나 수정하면 어떨까?
P: put to other uses?다른 용도로 쓰면 어떨까?
E: eliminate? analyze?삭제하거나 분해하면 어떨까?
R: rearrange? Reverse?순서를 바꾸거나 반대로 하면 어떨까?
p127
...'어퍼메이션(affirmation)'이란 당신의 꿈과 목료를 실현하기 위해 의식적으로 행하는 긍정적인 자기 설득의 화술을 말한다. 낯설고 어려운 일에 도전할 때, 먼저 그 일이 성공했을 때의 모습을 머릿속으로 상상하면서 과거완료형으로 'OO가 되었다'며 실제 행동에 앞서 소리 내어 말하면 소망하고 목표하는 일이 쉽게 실현된다는 것이다.
인간의 뇌는 '안정화'를 지향하는 속성이 강하다. 그래서 자신이 이미 말한 일에 대해서는 말한 그대로의 상태를 유지하려고 작용한다.
p128
...어떤 일에서든 성공한 경험이 적거나 5단 넘기에 번번이 실패한 아이라면 아무리 긍정적인 어퍼메이션을 시도해도 '나한테는 무리야'또는 '전에도 실패했는걸'과 같은 마음의 벽에 가로막혀 무의식중에 실패로 이끌리게 된다. 이러한 마음의 벽을 '멘탈 블록'이라고 한다. 이미 몇 차례나 5단을 넘지 못한 아이에게 무리하게 과거완료형으로 "나는 5단을 뛰어넘었다"며 어퍼메이션을 시도하면 아이의 잠재의식 속에서 거부감이 생긴다. 그 결과 자신이 몇 번이나 "나는 5단을 뛰어넘었다"고 말했는데도 불구하고 번번이 실패한 까닭은 '5단을 뛰어넘는 일은 어렵기 때문'이라고 마음속에 각인시키고 만다. 그러면 멘탈블록은 더욱 강해지고 결국 아이는 더 이상 뜀틀을 넘을 수 없게 된다.
성공한 경험이 많은 사람에게는 과거완료형의 어퍼메이션이 소망을 실현하는 가장 빠른 지름길이다. 그러나 실패한 경험이 더 많거나, 이미 몇 차례 시도했지만 뜻대로 되지 않았던 일에 재도전하는 경우라면, "나는 지금 5단을 뛰어넘고 있다"처럼 현재진행형의 표현이 멘탈블록의 저항감을 줄이는 데 효과적일 수 있다. 꼭 한 번 시험해 보기 바란다.
p136
당신은 이미 그 꿈과 목표를 현실화하는 데 필요한 모든 조건을 갖고 있다. 충분한 시간과 자금과 상품과 기술과 인맥과 협력자까지 모두 마련되어 있다. 그러니 무조건 많이 바라고 요구한다.
p145
또 생각한 것을 말로 나타내려면 성대나 얼굴의 근육을 사용해야 한다. 잠재의식은 그 일 역시 기억한다. 게다가 소리 내어 말하면 그 내용이 귀를 통해 다시 한번 뇌로 들어간다. 똑같은 정보라도 생각만 하는 것에 비해 몇 배나 더 많이 뇌로 입력되어, 뇌의 안정화 지향을 한층 더 촉진시킨다.
당신도 다음 훈련을 통해 '내가 원하는 나'로 변신하기 위한 어퍼메이션(긍정적 자기 암시) 문구를 만들고, 이를 소리 내어 다짐한 다음 잠자리에 드는 습관을 들이기 바란다.
p182
...채워야 할 잠을 다 채우지 못하면 우리 건강에 언젠가 갚아야 할 '빚'으로 남는다. 초롱초롱한 눈빛으로 밤낮없이 바라만 봐도 가슴 벅찰 것 같은 우주에서도, 우주라는 특성과 우주선의 환경 때문에 수면 장애를 겪는다고 한다. 지구를 벗어나도 잠에서는 벗어날 수가 없는 모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