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톨스토이와 도스토옙스키의 경우
톨스토이는 보여주기, 도스토옙스키는 설명하기 비중이 높다.
비율은 그때그때 다를 수 있다. 진짜 현실에 존재하는 듯한 인물로 매력적인 이야기 만드는게 관건.
- 구도와 등장인물 잡기
미리 설계도, 인물, 사건등 이야기의 뼈대잡기. 등장인물 스케치, 그 다음에 한 챕터챕터 설정. 진행되는 사건 인과관계 중심으로 구성해 넣기.
다른 방법은 생각나는 대로 쭉 쓰기
'개연성'과 '연결성'을 생각하면서 인물, 사건에 계속 의심 품고 의문 던지기
- 인간사에 대한 관심
그게 다 소재/
- 첫소설을 쓰려거든

자기가 속한 세계가 절절해서 재미있어지기 쉽다.

가까운 이야기라 두려울 수 있지만 그래도 주변 사람 투영은 어떤 경우나 일어날 수 있다.

03. 쓰는 마음

- 수상의 기억

작갇ㄹ이 다들 이 일로 돈을 못 번다고 한다는

- 거절메일1

작품을 거절당했으나 사회적으로 작가로 유지되는 일

- 거절메일2.

깔끔한 그래서 냉정한 거절 메일에 못난 자신을 쓰게 된 작가

- 꿈

운동, 식물, 심리학 공부, 피아노가 위안을 주는 생활 무너지려고 할 때 어떤 식으로든 루틴 만들기

악몽 견뎌내기, 동아줄 활동. 내가 뒷통수를 맞아 힘들 때 내가 했던 많은 일들 그 중에 종이접기도 있었다. 애들 종이접기 책을 첫장부터 따라접기도 했었지.

- 2년 후

2년 동안 출간을 못했구나. 원고거절 사례를 뒤쫓는 취미? 어쩌면 이토록 자신을 잘 지키는 사람이었기에 이렇게 책을 낼 수 있구나.

'상담 심리학' 전공으로 학사 학위도 받고 첫거절 메일 받고 4년 째에 다시

- 다시 쓰기

쓰고 싶은 마음 때문에 쓰는 것이 쓰는 사람의 실체

- 나는 왜 쓰는가

인정욕구의 화신, 진심을 담을 것

소설가 A의 칼럼을 둘러싼 페이스북월드의 전투

SNS글쓰기에서의 인정욕구들. 입바른 소리 하고 싶은 욕구

함부로 남에게 입바른 소리 하지 말자.

타인을 깎아내려 자신을 내세우려 드는 것처럼 유치한 행동은 없다.

'잘'인정받고 싶다..

그 누구와도 다른 특별하고 멋있는 사람이라는 인정 받고 싶은 욕구 모두에게 있겠지.

'자본주의에 지지 않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어렵다고도.돈을 우습게 보지 않되 돈에 점령당하지 않는 것.

04. 작가를 둘러싼 사람들

- 편집자

공무원, 직장상사 혹은 선생님; 작가가 꼮 잘 지내야 하는 사람

초기에 만난 편집자들은 문학적인 것 선호. 정아은 작가는 현실적인 것 선호했단다.

편집자 K 

천년의 상상 대표 찾아봤다는. 좋은 사람이네 하다가 혹시 그 책이 <조국흑서>인가...아...그럼 중립기어. 읽어봐야겠다. 비자본주의적 동기와 자본주의적 동기

편집자W

문학적 조예가 깊고 글도 잘 쓰는...신뢰감. 작가 정아은과 관점이 비슷한

편집자S

이 책의 편집자들을 궁금해하게 된다. 그래서 찾아봤다.<사이드웨이> 출판사. 책들을 읽어보고 싶다. 궁금하다. 편집자.

독자란 무엇인가.

작가란 누구인가(상품성과 무상성 동시에 가진 존재)

- 혹평러와 대결하는 법

이름을 걸고 글을 쓰는데 익명의 무한한 이들의 평가에 노출되는게 작가구나.

결국 혹평러에 대해서도 나와 다른 사람이니까 하고 넘기게 되기. 거기서도 배움이 존재한다.

- 기자

사람의 마음을 움직여 힘을 형성한다.질문할 수 있는 권한, 공사구분 능력

- 동료작가

동료작가를 통해 내 인지도 확인하는 경우. 동료작가와의 비교 그치만 같은 입장의 동료

- 작가의 말

'거절'이 정체성인 작가

어쩌면 이 시대는 작가 뿐 아니라 먹고 살기 위해 발버둥치는 꿈을 이루려 노력하는 모두에게 거절이 난무하는...

작가의 뜻대로 한조각 웃음, 위로, 정보, 심정적 지지가 느껴지는 책이었다.

실용서와 에세이 둘다로 읽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