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토랩소디>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토마토 랩소디
애덤 셸 지음, 문영혜 옮김 / 문예중앙 / 2010년 10월
평점 :
품절


『토마토 랩소디』는 제목만으로도-아니, 탐스럽고 먹음직스러운 표지의 그림까지 더해져서- 상당히 맛있게 보이는 소설이라고 생각했다.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이 책은 생각보다도 훨씬 더 맛있는 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이탈리아 음식과 그들의 문화라는 역사적 사실에 작가의 상상력이 더해지고, 거기에 즐거움까지 더해진 맛있는 소설이 『토마토 랩소디』이다. 이 책을 만나기 전까지는 책을 통해서 어떤 맛을 느낄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조차 해본 적이 없었다. 그것도 그냥 그런 맛의 느낌이 아니라, 직접 어떤 음식을 눈으로 보고, 코로 그 향기를 맡고, 입으로 맛보고 있다는 느낌말이다. 어떤 요리가 좋으면 그 느낌을 그저‘맛있다’는 말로밖에 표현하지 못하는 나지만, 이 책은 다르다. 그 표현 하나하나까지도 참을 수 없을 만큼 맛있을 것이다. 그 맛의 세계로 한 번 빠져보는 것은 어떨까?! 

 『토마토 랩소디』는 16세기 이탈리아의 토스카나의 시골 마을을 배경으로, 남자 주인공 ‘다비도’와 여자 주인공 ‘마리’의 사랑과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많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맛있게 버무려 낸다. 토마토를 재배하며 살아가는 다비도는 유대인의 모든 경제 활동이 자유롭게 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그의 토마토를 팔기위해 마을로 가게 된다. 그곳에서 그는 운명의 여인, 마리를 만나 사랑에 빠지게 된다. 여기에서 몇 가지 문제가 있었는데, 그 중 하나는 다비도는 유대인이고 마리는 가톨릭교도라는 사실이다. 그리고 또 하나의 문제는 토마토가, 가톨릭교도로 이루어진 마을 사람들에게는 금지된-단순한 금지가 아닌, 만지기만 해도 물집이 잡히고 종기가 나고 눈이 멀고 피가 나고 구역질이 나면서 무시무시한 죽음을 맞게 되는- 열매로 여겨진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다비도와 마리의 사랑은 절대 순탄치만은 않을 것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런 그들의 순탄치만은 않은 사랑에 조미료 역할을 하는 다양한 인물들과 다양한 사건들이 더해져 이야기는 점점 맛있어져만 간다. 

  『토마토 랩소디』에는 다양한 사람들이 등장한다. 사랑을 간절히 원하는 사람들, 사랑에는 상처만 받고 오직 욕망에만 사로잡혀 살아가는 사람들, 가슴속에 남겨진 아픔으로 그저 현실에서 벗어나기만을 원하는 사람들,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는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 등. 그리고 다양한 먹을거리가 등장한다. 축제 때 자연적으로 등장하는 포도주를 비롯해, 이야기의 중심이 되는 토마토와 올리브, 그리고 주인공 다비도와 마리의 사랑을 통해서 나오게 되는 토마토소스와 피자 등. 이 모든 사람들과 다양한 먹을거리가 결국에는 마을의 광장에서 모두 모여, 하나의 이야기로 모아지게 되는 것이다. 다양한 음식의 재료들이 정확한 시간으로 정확하게 조리되어 하나의 멋진 요리로 탄생하듯이 말이다. 그리고 그 요리에 웃음과 울음이라는 극단적인 상황을 더해서 우리에게 위로와 어떤 깨달음까지 안겨준다. 또한 지금 우리가 보고, 듣고, 만지며 느끼는 모든 것들과 우리 스스로도 알지 못하는 사이에 저마다의 피부로 스며들어 나타나는 생각과 가치관들에서 벗어나게 만들기도 한다. 지금의 우리에게서 한 발 벗어난 순간들의 기록이라고 해야 할까. 낯설지만 친절하게, 친절하지만 지겹지는 않은 모습으로, 그냥 사람 살아가는 모습을 따뜻하게, 아니 맛있게 담아내는 것이다. 

  주인공들의 간절한 사랑에 따뜻함과 아픔을 함께 느끼면서, 그들의 사랑을 방해하는 탐욕적인 새아버지에게는 나름의 증오를 퍼부으면서, 그리고 때로는 신비하면서도 정말 매력적으로 느껴지는 캐릭터인 굿 파드레의 등장에는 감출 수 없는 흐뭇한 미소를 짓기도 하면서, 이런저런 상황에 따라 내 마음도 이리저리 왔다갔다 감정의 다양한 곡선을 그려나갔다. 해피엔딩을 갈구하는 어린 아이의 마음으로 오랜만에 무슨 동화를 읽는 듯 한 느낌으로 읽어나간 책이었다. 유쾌하면서도 참으로 군침 돌게 만드는 소설, 『토마토 랩소디』. 한 동안 그 향과 맛에 빠져 살 것만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