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에도 매뉴얼이 있다 - 탁석산의 글쓰기 1 탁석산의 글쓰기 1
탁석산 지음 / 김영사 / 2005년 11월
장바구니담기


사람은 살아가면서 자신의 의견이나 주장을 말이나 글로 나타내게 마련인데 수식이나 꾸밈 없이, 상징이나 은유에 의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주장을 드러내는 방법 중 하나가 실용적 글쓰기입니다. -53쪽

더욱이 문제는 <문장강화>,<문장기술>과 같은 책들이 실용적 글쓰기에 대한 개념조차 없이 문학적 글쓰기에 치중하여 문장력만을 강조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글은 하나의 구조물이므로 아무리 문장을 잘 다듬어도 글을 잘 쓸 수는 없습니다. -78쪽

눈술을 확대 실시하면 창의력과 독서력이 늘 것처럼 선전하고 있지만 사실은 암기 과목이 하나 더 늘어난 것에 불과하다는 생각도 들었다. 예상 문제를 열심히 풀고 틀에 박힌 전개 과정과 결론을 반복 연습하여 시험에 임하고 있는 것이 지금의 현실이니까.
그러나 보다 근본적인 문제는 출제하는 사람이나 논술을 가르치는 사람이나 배우는 사람 할 것 없이 모두 논술이 무엇인지, 그리고 실용적인 글쓰기가 무엇인지 모르는데 있다. -105쪽

서론, 본론, 결론이 확연하게 구분되는 패턴화된 글은 읽는 이를 지치게 만든다. 따라서 서론, 본론, 결론이 확연하게 구분되는 글을 쓰지 말고 신문이나 잡지의 칼럼 형식으로 써야한다.

칼럼은 논증의 형식을 따라야 한다. 논증이란 자신의 주장인 결론과 주장을 뒷받침하는 전제로 구성된다. 다시말해서 칼럼은 서론, 본론, 결론의 형식을 따르지 않고 논증형식으로 쓴다는 것이다. -132쪽

독서는 글쓰기에 있어 필수조건이지만 충분조건은 아니다. 즉 글을 잘 쓰는 사람은 책을 많이 읽은 사람이라고 말할 수는 있어도 책을 많이 읽는다고 글을 잘 쓰는 것은 아니다.

좋은 포도를 재료로 하면 더 좋은 포도주를 얻을 수 있는 것 처럼 독서를 많이 하면 좋은 글을 쓸 수 있다. 하지만 좋은 포도만으로 좋은 포도주를 빚을 수 없듯이 독서를 많이 한다고 해서 좋은 글을 쓸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포도가 어떤 과정을 거쳐야 좋은 포도주가 되는지가 중요한 것처럼 아무리 좋은 책을 많이 읽어도 그것만으로는 좋은 글이 되지 않는다.

어찌 보면 생각거리를 어떻게 글로 만들어내느냐가 더 중요하다. -145쪽

실용적 글쓰기의 경우 고상한 인격도야를 목표로 하기보다는 먹고살기에 필요한 실용적 기술이라는 말이 적절하다.
대학에 들어가기 위해 논술을 보고, 학점을 따기 위해 보고서를 쓰고, 회사에서 일하느라 기획안을 쓰고, 학위를 따려고 논문을 쓰고, 푸로젝트를 하기 위해서는 서류를 작성하고...

익히지 않으면 살아갈 수 업는 기술이나 두구로 생각하지 않는 한 실용적 글쓰기를 성공할 수는 없다.-16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