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The Goal (더 골)
엘리 골드렛 외 지음, 김일운 외 옮김 / 동양북스(동양문고) / 2002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처음 직장생활을 시작했을 때 저는 많은 어려움에 봉착하게 되었습니다. 대학에서 인문학을 전공한 제가 발령 받은 곳은 지방 소재 대기업 외주관리부였습니다. 본사의 주문을 받아 협력업체에 발주하여 생산에서 출고까지 관리하는 부서였습니다. 어려움이란 우선 공장이나 상품에 대한 지식이 전혀 없었다는 것입니다. 보는 것, 듣는 것, 만지는 것 모든 게 처음 접하는 것들이었습니다. 더구나 사회초년생으로 연고자 한 명 없는 지방 도시에서 자취생을 겸하는 환경이었습니다. 모든 게 생소할 수 밖에 없으니 업무 전반을 파악하는 게 무엇보다 어려웠습니다.
그런데 누구한테 하소연 할 수도 없던 것이, 그 부서는 제가 지원했던 부서였고 제가 하는 업무는 인문계 고졸 사원들도 훌륭하게 해내는 업무였던 것이죠. 발령 후 한 달이 지나자, 거기 가서 일을 배워야 나중에 훌륭한 영업사원이 될 수 있다던 회사선배들의 말이 모두 거짓으로 생각 됐습니다. 입사동기들은 뽀다구 나게 하얀 와이셔츠에 넥타이 매고 에어콘 빵빵한 사무실에 앉아 외국 바이어들과 통화하고 팩스 쓰면서 멋지게 일하는데 저만 폭염 속에 작업복 입고 땀 뻘뻘 흘리며 말 안 듣는 공장들을 돌고 있는 것 같아 억울하기 짝이 없었습니다. 속았다는 생각이 절로 들었습니다.
그 보다도 제가 정작 견디기 힘들었던 건 열악한 환경이 아니었습니다. 그야 처음 그 부서를 지원할 때부터 알고 있었던 일이고 각오했던 바라 신입사원의 패기로 나름대로 즐길만 했습니다. 진짜 문제는 업무가 제 손아귀에 들어오지 않는다는 점이었습니다. 이건 말이 외주관리지 실상은 본사와 협력업체 양쪽에 끼어 늘 깨지는 자리였습니다. 본사 영업사원들의 요구와 협력업체의 상황을 잘 조화시켜 원활한 판매를 돕는 게 외주관리 본연의 업무였는데 항상 본사의 요구와 현장의 현실 사이엔 조화하기 어려운 큰 괴리가 존재했던 것입니다.
당시 제가 가장 힘들었던 건 본사의 영업상황을 모른다는 것이었습니다. 워낙 성수기와 비수기가 뚜렷하게 구분되는 상품이라 비수기엔 공장이 조업을 줄이다가도 성수기에 접어들면 넘쳐나는 주문을 맞추지 못해 난리를 치는 상황이 반복됐는데, 제가 본사의 상황을 정확하게 몰라 미리 대처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사실 안다고 해도 별 뾰족한 방법은 없었겠지만 머리 속에 전체적인 그림이 그려지지 않으니 답답하기 그지 없었습니다.
협력공장들의 사정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비수기엔 주문 더 없냐고 졸라대던 공장들이 성수기만 되면 언제 그랬냐는 듯 태도를 싹 바꿔 말도 안 되는 납기를 제시하며 튕기기 일쑤였습니다. 어차피 외주공장이라 직접 관리할 수도 없지만 본사의 요구와 터무니없이 차이나는 납기를 조정하느라 하루하루가 전쟁통이었습니다.
어떻게 하면 본사와 공장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꽉 막힌 생산의 병목을 뚫을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내가 업무의 주도자가 될 수 있을까?
고민이 머리를 떠나지 않았습니다. 왜 나는 이런 일도 하나 해결하지 못할까? 남들은 다들 나름대로 쉽게 해결하며 사는 것 같은데 왜 나만 이렇게 힘들까? 내가 무능한 걸까? 힘겨운 나날이었습니다. 결국 2년 뒤, 고민을 완벽하게 해결하지 못한 상태에서 본사로 발령이 났고 해외무역을 하게 되었습니다. 본사에서는 외주관리의 경험이 매우 유리하게 작용했습니다. 선배들의 말이 거짓은 아니었던 것이죠. 결과적으로 머리 속에 생산에 대한 그림을 그리고 있던 저는 남들보다 뛰어난 영업실적을 올릴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본사에 와서도 위의 고민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더군요.
외주관리 할 때보다는 전체상황을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었고 업무도 좀 더 주도적으로 진행하게 되었지만 근본적인 문제는 여전히 해결하기 어려운 난제로 남아 있었습니다. 개인적으로야 생산과 영업을 두루 경험한 유리함을 활용해 좋은 실적을 올리고 그 때문에 인정을 받고 있었지만 마음 한 켠이 늘 무거웠습니다. 더구나 업계가 사양산업으로 치부되고 있는데다 실제로 해마다 매출이 급감하는 추세였습니다. 진정으로 그런 상황을 반전시켜 보고 싶었습니다. 하지만 결국 전 회사를 그만 두고 시나리오를 쓰겠다고 충무로로 가고 말았습니다. 여러 가지 제 나름의 필연적인 이유들은 있었지만 아쉬움은 컸습니다. 회사에 남아 있는 것보다 작가가 되어 더 나은 해결책을 찾아 보리라 스스로 위로했지만 마음 속에 짐으로 남았습니다.
아직까지 전 이 숙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습니다만 최근에 어떤 계기로 경영.마케팅 서적을 50여 권 읽게 되었습니다. 그 중 엘리 골드렛의 <더 골>을 읽고 매우 감명을 받았습니다. 엘리 골드렛은 이스라엘 출신 물리학자라고 하는데 TOC(Theory of Constraints :제약 조건 이론)의 제창자라고 합니다. 이 이론을 한마디로 설명하긴 어렵습니다만 세상 모든 것이 제약돼 있기 때문에 모든 갈등이나 문제가 발생하고 어떤 분야든 병목(Bottle Neck)이 생긴다는 걸 전제로 그 갈등과 병목을 해결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이론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책은 이론을 딱딱하게 소개하지 않고 소설 형식으로 풀어 보여주고 있습니다. 책 내용을 소개하긴 어렵고 쉽고 재미있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아쉽습니다. 이 책이 국내에 처음 소개된 게 2001년 이라고 하는데 원래 1984년에 나왔다고 합니다. 제가 그렇게 고민하던 때에 이 책을 알았더라면 하면 아쉬움이 들었습니다. 이 책의 후속편인 <It's Not Luck!>도 정말 유용한 방법들을 알려주는 책입니다. 이 책 역시 단순히 경영상의 문제만이 아닌 인간사 모든 갈등을 해결하는 방법을 알려주고 있어 매우 감동을 주는 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