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그네 오늘의 일본문학 2
오쿠다 히데오 지음, 이영미 옮김 / 은행나무 / 200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은 마음이 먼저일까요, 몸이 먼저일까요? 어느 게 먼저인지는 몰라도 몸 없는 마음이 있을 수 없듯 마음 떠난 몸도 이미 사람이 아님은 분명합니다. 마음이 병들면 몸이 말을 듣지 않습니다. 마음의 병은 알지 못하는 사이 슬며시 찾아옵니다. 살다보면 가끔 미처 느끼지도 못하는 사이 어느새 병든 마음을 발견할 때가 있습니다. 병든 마음은 어떻게 알 수 있냐고요? 어느날 몸이 제맘대로 움직이지 않으면 맘에 병이 든 것입니다.

 일본작가 오쿠다 히데오의 <공중그네>는 마음에 병이 든 다섯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날카롭고 뾰족한 것만 보면 무서워 견딜 수 없는 야쿠자, 공중그네를 탈 수 없게 된 곡예사, 자신의 마음을 제어하지 못하는 신경정신과 의사, 똑바로 송구를 할 수 없게 된 프로야구 선수, 자신의 과거 작품을 기억할 수 없는 베스트셀러 작가가 그 주인공입니다.
 
 어느날 갑자기 자신의 직업에 치명적인 결함을 떠안게 된 다섯사람은 우연히 도쿄의 작은 이라부종합병원 신경과를 찾아갑니다. 이 책의 진짜 주인공 이라부가 근무하는 곳입니다. 신경과 의사 이라부가 근무하고 있는 신경과는 종합병원의 어두컴컴한 지하 구석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아마도 병원원장의 아들 쯤 될 것 같은 이라부는 목이 붙어버릴 정도의 이중턱에 100킬로그램이 넘을 듯한 거구의 뚱뚱한 사람인데 생긴 것 이상으로 하는 짓이 엽기적인 의사입니다.
 아무나 찾아오면 일단 주사부터 놓고 봅니다. 마치 주사 놓는 게 취미 같습니다. 아무리 힘센 사람도 이라부의 주사를 피해갈 수 없습니다.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기어이 주사를 놓고야 마는 인물입니다. 이라부의 처방은 단순하기 이를 데 없습니다. 문제를 털어 놓으면 한마디로 그 문제를 제거해 버립니다. 뾰족한 게 눈을 찌를까 두려운 선단공포증의 야쿠자에겐 선그라스를 쓰라고 권하고 일탈하고픈 욕구 때문에 마음의 제어가 안 되는 의사친구에겐 자신이 나서 일탈을 부추기는 식 입니다.
 여기서 그치면 다행인데 이라부는 호기심을 억제하지 못하는 사람입니다. 마치 다섯살 아이처럼 천진난만하고 용감합니다. 야쿠자의 보디가드로 따라가질 않나 뚱뚱한 거구의 몸으로 공중그네를 타질 않나 야구선수를 만나면 야구를 가르쳐 달라고 조르고 소설가를 만나면 소설가가 되겠다고 떼를 씁니다. 도대체 이 사람이 의사인지 환자인지 알 수 없는 사람입니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환자들은 이라부의 매력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이라부가 시키는대로 합니다. 그 과정에서 결국 마음의 병도 고치게 되지요.
 
 사람은 정교한 기계와 같습니다. 아주 정교한 컴퓨터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드웨어가 고장나기도 하고 소프트웨어에 버그가 생기기도 합니다. 사람도 컴퓨터처럼 가끔 새로 포맷해 줄 필요가 있습니다. 그럴 땐 이라부 같은 사람이 곁에 있으면 좋을 겁니다. 이라부를 알게 돼 즐거웠습니다. 저도 가끔 마음에 버그가 생기거든요. 이라부를 만나 다시 마음을 세팅하고나니 세상이 좀 더 밝아 보입니다. 살다보면 또 언젠가 마음에 병이 찾아오겠지요. 그 때에는 다시 이라부를 만나러 가야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