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으로의 긴 여로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69
유진 오닐 지음, 민승남 옮김 / 민음사 / 200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희곡도 문학의 한 장르이긴 한데 활자로 접하기가 좀처럼 쉽지 않습니다. 왠지 연극으로 봐야만 할 것 같기도 하고. 유진 오닐의 밤으로의 긴 여로는 예전부터 읽고 싶었지만 희곡이란 특성 때문에 선뜻 손이 안 갔었습니다.

처음 이 희곡을 읽었을 때의 느낌은 '노벨 문학상 수상작가의 최고걸작이라더니 겨우 이정도야 ? 이거 거의 우리나라 TV드라마 수준이네.' 였습니다. 특이한 사건도 인상 깊은 대사도 눈에 띄지 않았습니다. 드라마틱한 클라이막스 조차도 없습니다.

하지만 잠자리에 누워 잠들기 전이나 드라마가 강한 영화를 보고 났을 때 이 희곡이 떠올랐습니다. 그것은 이 희곡이 유진 오닐의 진솔한 자기고백이면서 가족에 대한 깊은 연민과 이해와 용서를 담고 있는 진정어란 글이기 때문일 겁니다.

유진 오닐은 서문에서 아내에게 '내 묵은 슬픔을 눈물로, 피로 쓴 이 극의 원고를 당신에게 바치오.'라고 쓰고 있습니다. 실제로 부인 칼로타의 증언에 의하면, 집필 기간 동안 자신과 가족들의 상처를 파헤치는 고통이 너무 커서 '들어갈 때보다 십 년은 늙은 듯한 수척한 모습으로, 때로는 울어서 눈이 빨갛게 부은 채로'작업실에서 나오곤 했다고 합니다.

가족에 대한 추억은 누구에게나 다 특별한 것입니다. 그것이 즐겁고 행복한 추억이든 슬프고 괴로운 추억이든 말입니다. 그런 가족의 얘기를 진솔하게 하기는 무척 어렵습니다. 더구나 그 얘기가 아프고 숨기고 싶은 얘기라면 더욱 그렇겠지요. 유진 오닐의 가족 얘기는 어저면 남들과 비교해서 그다지 특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 정도야 누구든지 겪는 일이 아니냐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이 이 희곡이 위대한 작품이라는 거겠지요. 자신의 아픔을 과장하지 않고 이 만큼 진솔하게 작품으로 승화시킬 수 있었다는 점이 이 평범한 얘기를 걸작으로 만든 이유일 겁니다. 가족과 갈등이 있는 사람들에게 권해주고픈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