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하게 흥행작은 남들보다 늦게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람 몰리는 곳을 싫어하는 성격 때문입니다. 남들이 다 좋다면 일단 의심부터 하고 면밀하게 따져보는 성격이기도 하고요.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른 후 감상평들이 좀 더 객관성을 띌 때가 제가 영화를 볼 때입니다. 그러다가 극장상영을 놓친 경우도 많긴 하지만. "의형제"도 그런 이유로 관람을 좀 미루어 왔는데 그저께 드디어 극장을 찾았습니다. 흥행가도를 달리고 있다는 애긴 들었지만 언제 갑자기 간판을 내릴 지 알 수 없어 더 늦기 전에 보기로 했죠. 시간이 꽤 흘렀는데도 워낙 평들이 좋고 송강호와 강동원의 조합이 호기심을 자극해 평소보다 서둔 감이 있습니다.
보고난 결과 좀 실망스럽습니다. 이 정도 영화에 그렇게 호들갑을 떨었단 말인가? 요즘 영화평론가들의 평론을 못 믿겠습니다. 아바타 등 헐리웃 작품들의 약진에 상대적으로 한국영화의 흥행부진이 이어지면서 평론가들이 냉정하게 평론을 못 하는 듯합니다. 한국영화면 무조건 좋게 봐 주는 풍조가 만연합니다. 관객들도 마찬가지입니다. 뭐 팔이 안으로 굽는 것이야 어쩔 수 없다고 해도 좀 지나치지 않나 싶습니다.
물론 "의형제"가 졸작은 아닙니다. 이 정도면 상당히 완성도 있는 작품임엔 틀림없습니다. 다만 수작이라고 하기엔 여러 모로 부족한 영화라는 생각입니다. 우선, 진부한 설정과 진부한 장면들이 너무 많습니다. 스토리가 뻔해 처음만 보면 어떻게 풀려 나갈지 훤히 보입니다. 끝까지 반전도 없습니다. 굳이 마지막에 해피엔딩으로 끝난 걸 반전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엔딩은 오히려 반전이 아니라 유치함의 극치입니다. 두번째, 화면이 눈을 몹시 피곤하게 합니다. 클로즈업이 지나치게 많고 들고찍기가 남발돼 답답하고 어지럽습니다. 세번째, 감정선이 살아나지 않습니다. 강동원이 호연을 펼치지만 영화 상으론 이한규(송강호)가 송지원(강동원)에게 형제의 감정을 느끼게 되는 동기가 불분명 혹은 부족합니다. 이한규가 송지원과 좀 더 인간적인 에피소드를 더 겪어야 가능한 감정의 비약을 느닷없이 송지원에 대한 정보를 듣는 장면으로 끝내버리는 바람에 공감이 잘 안 됩니다. 영화 내용상으론 이한규가 목숨을 내던지며 송지원을 감쌀만큼 정이 쌓인 것 같진 않습니다. 그건 물론 송지원의 입장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송강호의 연기도 좀 아쉽습니다. 연기 잘하기로 소문난 배우라서 기대가 컸을까요? 평소 송강호답지 않습니다. 지나치게 개인기를 부려서 자연스럽지 못했습니다. 늘 자기만의 독특한 해석으로 똑같은 대사를 해도 남다르게 보이는 송강호는 사실 애드립이 강한 배우가 아니라고 하더군요. 언젠가 인터뷰에서 사전에 철저하게 계산해 여러 가지 상황에 따라 다양한 설정들을 준비해 촬영에 임하는 게 비결이라고 털어놓은 걸 본 적 있습니다. 이 영화에선 그런 철저한 계산이 느껴지지 않고 상당 부분 애드립에 의존한 듯한 인상을 받았습니다. 이건 아마도 감독의 주문이었겠지요. 결과적으로 진부한 개인기만 늘어 놓은 꼴이 됐습니다. 반면, 강동원의 연기는 칭찬할 만합니다. 어려운 캐릭터를 절제하며 잘 표현했습니다.
한국영화에 대한 애정이 무조건적인 한국영화사랑으로 표현되어선 안 되겠지요. 비판할 것은 비판해 줘야 더 단단해지고 경쟁력을 갖추지 않겠습니까. 물론 열심히 봐 주어야 겠죠. 다음엔 좀 더 나은 한국영화를 만나길 기대하면서 몇 자 적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