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0년대 캐나다, 카톨릭 학교에 다니는 14살 랄프 워커(아담 버처)는 이른 바 문제아입니다. 성적은 최하위고 끊임없이 말썽을 일으키는 소년입니다. 사실 문제라고 하지만 큰 문제는 아닙니다. 그 또래 아이들이라면 누구나 일으키는 사소한 말썽들이죠. 굳이 랄프가 다른 아이들과 다르다고 한다면 왕성한 호기심을 가지고 있고 선입견과 편견에 구애받지 않는 과감한 실천력(?)을 겸비한 점이라고 할까요. 아무튼 랄프는 고루한 피츠 신부(고든 핀센트)의 요주의 인물입니다. 랄프의 아버지는 2차 대전의 전쟁영웅으로 전사했고 어머니는 입원중입니다. 랄프는 혼자 살고 있습니다. 돈이 없어 가재도구를 팔아가며 살고 있습니다. 그러니 계시지도 않는 할머니의 사인을 위조해 제출하고 사소한 말썽들을 피우는 게 어쩌면 당연하지 싶습니다. 그래도 랄프는 씩씩하고 착한 아이입니다. 늘 웃으며 어머니를 위로하고 용기를 북돋웁니다. 그런데 어머니가 혼수상태에 빠집니다. 어머니가 깨어나기 위해서는 기적이 필요하다는 이야기를 듣습니다. 랄프는 벌로 학교 운동부원들과 운동하다 코치가 보스톤 마라톤에서 우승하는 건 기적이라고 선수들을 질타하는 말을 듣고 자신이 직접 기적을 만들기로 합니다. 바로 자신이 보스톤 마라톤에 참가해 우승하는 기적을 이루는 것이죠. 성공의 비결은 무엇일까요? 랄프는 실패자, 낙오자에서 일약 성공자, 이긴자로 우뚝 섭니다. 성공의 비결은, 첫번째 꼭 해내겠다는 의지입니다. 랄프는 어머니를 살리겠다는 의지로 불가능을 가능하게 만듭니다. 두번째, 좋은 조력자 혹은 스승을 만나는 것입니다. 랄프에겐 좋은 조력자들이 있고 스승도 있습니다. 늘 제 편이 되어주는 친구도 있고 마음을 써 주는 간호사, 함께 기도해주는 여자친구 그리고 올바른 길로 인도해주는 헌신적인 스승 히비트 신부가 있습니다. 세번째, 긍정의 힘입니다. 랄프는 긍정적입니다. 울지 않습니다. 잘 될거라고 스스로 믿습니다. 마지막으로 실천입니다. 이 모든 것이 갖춰지면 실천하면 됩니다. 랄프는 평소에도 적극적입니다. 새로운 일에 도전하길 두려워하지 않습니다. 해 보지 않고 걱정하지 않습니다. 일단 해 봅니다. 그리고 꾸준히 노력했죠. 이것이 랄프의 성공비결입니다. 모처럼 캐나다 영화를 보니 반갑네요. 캐나다 영화는 헐리웃 만큼 자본이 강하지 못해 아기자기한 이야기와 아이디어가 번뜩이는 작품이 많죠. 이 영화도 아가자기하고 따뜻합니다. 비록 실화는 아니지만 감동적입니다. "사랑을 위하여(Dying Young)"에서 줄리아 로버츠와 함께 좋은 연기 보여 주었던 캠벨 스콧과 "바운드"의 개성 만점 여배우 제니퍼 틸리의 수수한 조연 연기는 덤입니다. 혈기왕성한 소년의 일상을 다루다 보니 다소 민망한 장면도 있지만 온가족이 함께 보기 좋은 영화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