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없이 투명에 가까운 블루
무라카미 류 지음, 한성례 옮김 / 동방미디어 / 2002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읽는 내내 솔직히 부러웠다. 마약이나 난잡한 섹스 폭력과 범죄가 부럽다는 말이 아니고 갈 데 까지 가보는 청춘들이 부러웠고, 소설 속 청춘들을 부러워하는 30대 중반의 내가 태어날 무렵의 이야기라는 사실이 부러웠다.

한 사회의 성숙은 긍정적인 면을 통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일본 사회가 한국 사회보다 30년 정도 앞서가고 있다는 증거는 이런 어두운 구석에서도 나타난다. 이런 경험은 안하고 건너 뛰는 것이 가장 좋겠지만 한 편으론 사회의 다양성 확대와 그를 통한 성숙의 차원에선 피치 못할 일 같게도 느낀다. 지금 우리가 겪고 있는 사회의 병폐들을 일본은 이미 30년도 전에 겪었던 것이다.

무라카미 류는 직접 경험해보지 않고는 이야기 할 수 없는 청춘,아름다워서 슬픈 청춘을 담담하게 이야기하고 있다. 나름대로 모든 인생이 다 소중하고 모든 청춘이 다 아름답지만 우리에겐 이런 종류의 소설은 흔하지 않다. 이런 불행한 경험까지 선진국을 추종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그들이 시행착오를 겪고 그것을 어떻게 극복했는지 알기 위해서라도 이 책을 읽고 우리의 반면교사로 삼았으면 좋겠다. 이상하게 쓰다보니 이 글만 읽으면 이 책이 무슨 사회병리를 다룬 보고서 쯤으로 오해할 수도 있겠다. 밝은 청춘도 청춘이고 어두운 청춘도 청춘이다.그 아름다움은 밝고 어두움에 관계없이 찬란하기만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