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눈먼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어느 날 갑자기 아무런 이유도 원인도 없이 눈이 멀어 버리는 전염병이 발생합니다. 처음 한 남자가 눈이 먼 후 그와 접촉했던 사람들은 하나 둘 눈이 멀기 시작하고 놀란 정부는 이들을 빈 정신병동에 격리수용합니다. 하지만 이미 전염병은 통제불능의 상태로 번져가고 마침내 세상 모든 사람이 눈멉니다, 단 한 사람만 빼고.
처음 눈먼 남자를 진단했던 의사의 아내는 웬일인지 눈이 멀지 않습니다. 남편을 돕기 위해 눈먼 척 가장하고 격리수용을 자처한 의사의 아내는 눈먼 자들 가운데 유일한 '볼 수 있는' 사람이지만, 자신이 볼 수 있음을 드러낼 수 없는 상황에서 끔찍한 일들을 목격합니다.
무서운 이야기입니다. 끔찍한 이야기입니다. 볼 수 없는 사람들이 만들어 내는 지옥도를 홀로 봐야만 하는 한 여자의 외로움과 고통이 너무나 절절하게 가슴에 와 닿아 벌벌 떨면서 읽었습니다. 한데 정작 더 무서운 건 작가의 냉정하기 이를 데 없는 시선입니다. 겨우 '눈' 하나만 없어도 짐승보다 못한 존재가 돼 버리는 인간을 마치 현미경을 들고 보듯 꼼꼼하게 해부하는 냉정한 작가의 시선이 더 무섭습니다. 이름과 고유명사를 배제하고 따옴표 하나 없이 종횡무진으로 치닫는 냉소적인 문체는 피를 얼어붙게 만드는 엄정함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그러나 이 무서운 작가에게 노벨문학상을 준 이유가 있겠지요. 냉정하기 이를 데 없는 소설을 썼지만, 주제 사라마구는 따뜻한 가슴을 가진 인간에 대한 연민과 희망을 버리지 않았기에 이 책을 쓰지 않았나 싶습니다.
영화로도 만들어져 곧 개봉을 앞두고 있다고 들었습니다만 과연 원작의 심오함을 훼손하지 않고 제대로 살려낼 수 있을 지 의구스럽습니다. 줄 쳐가며 읽어야 할 책처럼 영화를 만든다면 흥행이 안 될 테고, 소설의 기발한 설정만 살려 재미만 추구한다면 원작의 묵직함을 포기해야 할 테니 말입니다. 아무튼 영화도 안 볼 수 없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