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탉 "잎싹"은 양계장의 알 낳는 닭입니다. 철창 속에 갇혀 매일 먹고 알 낳는 게 일이죠. 모든 닭이 의심없이 주어진 임무에만 충실할 때, 잎싹은 엉뚱한 꿈을 꾸었습니다. 마당으로 나가 자신의 알을 품고 싶다는 생각을. 그런 생각을 하자 잎싹은 갇혀 있는 철창이 더욱 답답하게 느껴졌고 낳자마자 빼앗길 알을 낳고 싶은 생각도 없어졌습니다. 모이도 먹지 않고 알도 낳지 않고 시름시름 지내자 주인은 잎싹을 병든 닭으로 알고 죽은 닭을 버리는 구덩이에 버립니다. 잎싹은 살아나 마당의 오리들을 따라다니는 청둥오리의 도움으로 자신을 노리던 족제비를 피해 마당으로 돌아갑니다. 마당의 동물들은 잎싹을 못마땅해 하지만 본래 떠돌이였던 청둥오리만은 암탉을 감싸줍니다. 잎싹은 청둥오리를 따라다니는데 한동안 청둥오리가 보이지 않아 궁금해합니다. 청둥오리는 암오리를 만나 짝짓기 중이었던 것이죠. 어느날 숲으로 간 잎싹은 청둥오리의 비명을 듣고 찾아 간 찔레덤불 속에서 갓 나은 알을 발견합니다. 평소 알을 품고 싶었던 잎싹은 엄마 잃은 그 알을 품습니다. 그러자 어디선가 청둥오리가 나타나 잎싹을 보고 기뻐하며 먹이를 물어다 줍니다. 잎싹은 영문을 몰랐지만 청둥오리는 밤새 족제비로부터 암탉과 알을 지킵니다. 호시탐탐 알과 암탉을 노리는 족제비를 떼 놓기 위해 애쓰던 청둥오리는 마침내 알이 깨어나기 전날 자신의 몸을 족제비에게 줍니다. 이유는 곧 밝혀집니다. 알에서 깨어난 것은 오리새끼였습니다. 잎싹은 청둥오리새끼인 줄 알고 친자식처럼 돌봅니다. 마당으로 돌아갔다가 주인이 자신과 아기오리를 잡아먹으려하는 걸 알고 도망쳐 늪가의 수풀 속으로 숨어듭니다. 잎싹은 남다른 용기로 족제비의 위협을 피하고 아기오리 "초록머리"를 훌륭한 청둥오리로 키워냅니다. 다 자란 초록머리는 엄마와 다른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과 어떤 무리에도 끼지 못하는 외로움을 참지 못하고 마당으로 돌아갑니다. 주인이 제발로 찾아 온 청둥오리를 묶어 두자 잎싹이 도와 도망치게 합니다. 마침내 초록머리는 동족의 무리가 찾아오자 잎싹의 곁을 떠나 먼 여행을 떠납니다. 잎싹은 모든 소망을 이루고 족제비에게 몸을 맡깁니다. 황선미는 독자를 실망시키지 않는 작가입니다. 마당을 나온 암탉은 그냥 평범한 닭이 아닙니다. 잎싹은 꿈꾸는 닭입니다. 용기를 가진 닭입니다. 사랑할 줄 알고 줄 줄 아는 암탉입니다. "마당을 나온 암탉"은 어린이들에게 인생을 일러주는 좋은 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