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제아 ㅣ 청소년문학 보물창고 11
제리 스피넬리 지음, 최지현 옮김 / 보물창고 / 2007년 8월
평점 :
절판
"우리는 그 아이와 함께 자란다. 하지만 전혀 깨닫지 못한다. 그 아이는 그냥 그 곳에 있을 뿐이다. 거리에, 운동장에, 가까이 어딘가에...... 주차되어 있는 자동차나 쓰레기 수거 날의 초록색 쓰레기통처럼 흔한 풍경의 한 부분이다.
우리가 1학년, 2학년으로 올라가는 동안 그 아이는 쭉 함께 한다. 친구도 아니고, 적도 아니다. 이따금 마주칠 뿐이다."
그 아이의 이름은 '징코프'.
징코프는 흔히 말하는 '문제아'입니다. 책에서 문제아라고 번역했지만 사실은 우리식대로 하면 "약간 모자란 아이"가 더 가까운 표현이겠죠. 하지만 징코프는 '문제아'도 '약간 모자란 아이'도 아닙니다. 그저 좀 다른 아이일 뿐입니다. 어쩌면 좀 특별한 아이일지도 모릅니다.
이 소설은 징코프가 초등학교에 입학해서 6학년까지 성장해 가는 과정을 담은 이야기입니다. 몸이 약해 잘 토하고 남들만큼 재빠르진 않지만 학교에 가는 걸 좋아하고 잘 웃고 무슨 일이든 적극적인 징코프는 행복하게 학교생활을 시작하지만 학년이 올라가면서 속상한 일, 슬픈 일도 겪습니다. 아이들은 징코프를 놀리고 함께 놀려고 하지 않습니다. 징코프의 특별함을 알아봐 주는 좋은 선생님들을 몇 분 만나기도 하지만 대개 급우들이나 다른 선생님들은 징코프를 문제아 취급합니다. 그런 사람들은 징코프가 매사 느리고 잘 못하면서도 눈치 없이 끼고 전체에 피해를 준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징코프는 문제아가 아닙니다. 좀 다를 뿐이죠. 그들이 피해를 입었다고 느끼는 부분은 순전 오해입니다. 그들 누구도 징코프 때문에 피해를 입은 적이 없습니다. 단지 자신과 좀 다르기 때문에 거북한 겁니다. 그래도 징코프는 자랍니다. 좀 느리고 좀 남다를지는 몰라도 꾸준히 성장합니다. 이 책은 그런 아이, 징코프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작가 제리 스피넬리는 책에서 어떤 해결책도 대안도 제시하지 않습니다. 아주 약간 재미있게 묘사하고 가끔 살짝 비꼬기도 하지만 그저 담담하게 징코프의 성장을 보여 줄 뿐입니다. 최대한 감정을 배제하고 덤덤하게 아이의 일상을 보여 주므로써 징코프도 언제 어디서나 볼 수 있는 그저 한 아이라는 걸 깨닫게 해 줍니다. 백 마디 설명보다 훨씬 분명하게 가슴에 와 닿습니다.
징코프의 엄마,아빠는 매우 현명한 분들입니다. 아이에게 어떤 강요도 방향제시도 금지도 하지 않습니다. 그저 아이의 말에 귀를 기울이고 맞장구치고 격려합니다. 그런 부모가 있기에 징코프는 행복합니다. 좀 달라도 잘 자랍니다. 두 아이의 아빠로서 본받을 점이 많았습니다. 지난 시간이 부끄러웠습니다. 전 그런 아빠가 아니었거든요. 초등고학년을 대상으로 한 책이지만 어른들이 읽으면 더 좋을 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