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사와 악마 1
댄 브라운 지음, 양선아 옮김 / 북스캔(대교북스캔) / 2004년 9월
평점 :
절판


종교는 과연 우리의 삶과 미래를, 그리고 보이지 않는 다음 세상을 평안하게 해 주는 것일까. 혹은 현세를 사는데 있어서 더 나은 행복을 줄 것인가. 그렇다면 과학이 우리에게 주는 혜택은 무엇인가. 과학이 발전함에 따라 과연 신의 영역을 넘 볼 수 있는 것인가. 종교는 선이고 과학은 악인가. 많은 사람들이 종교를 쫒기 보다 과학을 따르고 믿는 것은 신을 이해하려는 것인가, 신을 모독하는 것인가..

서론 완전 길다. 하지만, 결국 읽는 내내 드는 생각은 저런 답 없는 물음 뿐이다.

다빈치코드가 미술과 오컬트에만 초점을 맞춘 블록버스터급 소설이라면, 오히려 댄브라운이 먼저 집필했던 천사와 악마는 미술사와 오컬트에 그럴 듯한 SF같은 과학에 대한 이야기를 첨가함으로써 오히려 후작보다 탄탄한 느낌을 준다.

정사(正事) 보다 야사(夜事)가 더욱 흥미진진하고 호기심을 자극하듯이, 우리는 음모론을 언젠가부터 즐거워하고 어느덧 익숙해져 있는 듯 보인다. 모든 일에는 분명 정부의 호박씨까기가 있을거라고, 모든 이야기와 결과는 결국에 누군가 거대한 조직과 그 조직의 수장이 만들어낸 서사시라고 믿고 싶어한다. 뭐 결국은 아닌 것으로 판명되었지만, 황우석의 뒷 배경에는 미국이라는 어마어마한 비하인드 스토리가 있을거라고, 미국이 황우석을 죽인거라는 영화에서나 보던 흥미진진한, 우리가 결코 캐내기 어려운 그런 음모가 도사리고 있을 것이라고 믿는 것 처럼. 60년대 박정희가 죽였을지도 모른다는 이휘소 박사의 이야기처럼 말이다.

그래서, 천사와 악마는 그런 우리들의 심연에 자리잡고 있는 '음모론'을 살살 간지럽히는 책이다. 읽는 사람에 따라 각양 각색의 리뷰와 느낌이 나올 수 있겠지만, 어쨌든 매 Chaper마다 액션과 스릴과 '인디아나존스'식의 모험극이 펼쳐지는 이 소설은 머리가 완전 복잡하고, 완전 심심한 주말에, 잠깐이지만 완전 무언가에 미치고 싶을 때 읽기에 더 없이 좋은 오락거리가 되리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