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고 뭉치 아인슈타인, 빛을 뒤쫓다 - 사고실험으로 따라가 보는 상대성이론
송은영 지음 / 에피소드 / 2003년 4월
평점 :
절판
누구나 과학에 대한 호기심은 있다. 이미 수 많은 SF영화들로 인해서 제기된 다양한 가설과 학설들은 이미 과학계에 정설 또는 가설들로 남아있는 자료임에는 틀림이 없다. 나와 유전자 형질이 100% 똑같은 또 다른 나를 만들어 내는 유전공학, 빛의 속도보다 훨씬 빨리 이동하여 시간을 거스르는 타임머신을 만들 수 있다는 낭설 아닌 가설의 물리학, 지구상의 모든 물질을 쪼개고 쪼개어 아주 작은 입자로 분해하여 우주의 입자까지도 내다 볼 수 있다는 양자역학 등, 이미 과거에 믿었던, 하지만 입증되지 않았던 또는, 과거에 생각지도 못했던, 하지만 입증되었던 수 많은 다양한 이론들은 그저 일반 사람들과는 너무 먼 이야기로 치부되기는 이제 어려운 실정이다.
여전히 TV, 신문지 상에는 인간의 DNA가 98%까지 분석이 되었다는 이야기, 같은 유전자를 지닌 양을 복제하였다는 이야기, 혜성의 움직임으로 우주의 나이를 헤아려 볼 수 있다는 이야기. 정말 흥미진진한 호기심거리가 아닌가.
가까운 친구 중에 한때 과학에 몸을 담았던 친구가 있어, 중학교 때부터 그에게 어깨너머로 들었던 아인슈타인, 그리고 상대성 이론. 거의 3~4시간 만에 훌쩍 읽어버린 이 책은 ‘E=mc²’의 내용보다는 조금은 덜 무겁다. 그렇다고 해서 그냥 쭈욱쭈욱 읽어내려만 가기에는 너무 아쉬운 부분이 많다. 아니 너무 가슴 벅차다! 카메론 디아즈가 어느 잡지 인터뷰에선가 이런 질문을 했다고 한다. 도대체 E=mc²이 뭐냐고… 카메론 디아즈에게 이 책을 선물해 주고 싶다. 아니, 상대성이론에 조금이라도 호기심이 있는 사람들이 있다면 꼭 추천해 주고픈 책이다.
책을 읽는 내내 내 얄팍한 지적 호기심이 책에서 손을 놓지 못하게 만들었고, 과학이라는 그것도 물리학이라는 분야에 대해 너무도 미비하지만 그래도 조금이나마 가까워졌다는 사실이 즐겁다. 아인슈타인의 특수 상대성이론과 일반 상대성 이론을 통하여 빛, 타임머신, 시간, 4차원 등등의 결코 가볍지 않은 주제를 유쾌한 지적 만족감으로 채웠다는 것 말이다. (사실 이 리뷰를 자세히, 길게 써내려 가고 싶었으나 – 실제로 이 거대한 이론들을 내 리뷰에 포함시키고 싶어서 요약까지 했었다! – 단순한 이해의 차원에서, 다시 말해 호기심의 충족 정도만으로 만족해야 할 것만 같다. 왜냐. 더 깊게 알고 싶다는 또 다른 호기심이 발동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