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드저널 bold journal Issue 14 : 대안교육 Let Children Grow up 볼드저널
볼드피리어드 편집부 지음 / 볼드피리어드 / 2019년 9월
평점 :
절판


질문
프로젝트의 리뷰를 위한 보고서 작성에 일주일을 올곧이 썼다. 무엇을 했고, 무엇이 부족했으며 ‘다음’에는 무엇을 보완해야 할지에 대한 보고서. 물론 하루 하루 오늘의 일들이 모여서 내일, 내년의 성장에 대한 자양분이 되는 것은 충분히 알고 있고 그래서 필요한 것임을 자각하고 있지만, 그래도 오늘은 하루가 무척이나 아쉽다. 누군가의 보고를 위한 보고서를 쓰는 일이, 물론 내가 하는 일의 전부는 아니지만, 이 일이 나는 재미있는가? 어떤 가치를 담는 일일까라는 생각으로 말이다.

아이가 자라고 이제 제법 자신의 생각을 똑똑히 말할 수 있는 나이가 되자 덜컥 앞으로의 변화들이 걱정이 되었다. 열심히 학교 교육과 학원을 다니고, 좋은 대학교에 입학하고, 또 이름있는 대기업에 입사해서 누군가에게 보고하기 위한 보고서를 쓰면서 하루, 일년을 사는 삶은 녀석에게 행복한 일이 될까? 2019년 현재를 기준으로 약 20년도 훨씬 뒤의 일을 예단하는 것은 말도 안되지만, 그 때 녀석은 하고 싶었던 일을, 가슴이 뛰는 일을 하면서 살고 또 행복해하고 있을까? 녀석에게 있어 가치있게 사는 것이 무엇인지를 먼저 알려주어야 하는게 아닐까?


대안교육
볼드 저널의 대안교육을 집어들고 책을 덮기까지 그렇게 긴 시간은 필요하지 않았다. 근래 줄곳 생각해 오던 마음의 불안감이 책을 읽는 내내 작은 떨림으로 바뀌는데도 긴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읽는 내내 머릿속을 맴돌던 단어는 그렇게 많지 않았고, 그 단어들이 주는 힘이 나에게는 떨림으로 다가왔기 때문이다. ‘왜, 지금, 행복, 가치’ 이런 단어들. 주체적으로 살아간다는 생각을 품은 사람들의 인터뷰에서 울림을 주는 말들이 홍수처럼 나에게 쏟아져 내렸기 때문이다.

대안학교, 대안교육의 시스템에 대한 이야기 보다는 그 안에서 대학을 위한 배움이 아닌, 하나의 인격으로써 배움이 필요한 것들에 대한 접근과 그 접근방식을 경험했던 사람들의 이야기는 내가 생각하고 있던 가치관과 맞아떨어지기도 했다. (물론 와이프는 반응하지 않았다…) 적어도 같은 반의 모든 친구들이 모두가 생각하는 똑같은 정답을 맞추고, 등 수 별로 줄을 서지 않아도 사회구성원으로써 또는 독립된 인격을 가진 주체로서 아이가 자랄 수 있다는 작은 믿음을 발견했달까. 나에게는 충분히 의미있는 독서경험이었다.

우리는 어디에 있는가? 아니, 어디로 가고 싶은가?
나는 현재 공교육의 시스템을 잘 알지 못한다. 아예 모른다고 봐야 한다. 변명을 하자면, 아직 우리 아이가 그 시스템 언저리에 머물고 있을 뿐이지 안쪽 깊숙히 들어가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다. 하지만, 획일적이기 보다는 그래도 도시 안에서 그나마 뛰어 놀 수 있는 곳을 택했고 그래서, 나와 우리 와이프는 그 시스템 언저리에 가기 위해서 커다란 댓가(비용)를 치르고 있다. 우리가 선택(와이프는 100% 찬성은 아니었지만)하는데 중요한 것은 교육과 놀이였다. 아니 놀이를 통한 교육이기를 바랬다. 유치원을 갈 수 없는 상황 때문이기도 했고, 녀석이 초등학교 가기 전까지는 많이 움직이고, 뛰어 놀기를 바랬으니까. 

하지만, 녀석은 작년의 4살이 아니었고, 우리의 기대 혹은 바램 보다 훨씬 더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생각하고, 말하고 있다. 점점 더 ‘교육’이라는 의미를 우리가 주체적으로 정할 필요가 생기고 있었다. 어떤 사람으로 키울까? 아니 더 옳은 질문은 ‘녀석이 어떤 사람으로 살고 싶은가’가 더 맞을거다. 우리는 녀석에게 하나의 길만 보여줘서는 안되고, 수 많은 길을 다 보여주지는 못한다 하더라도, 최소한의 길은 경험하게 해주어야 한다. 그리고, 해가 거듭될 수록 그 선택에 있어서 기여도는 점차 녀석의 몫으로 남겨야 한다. 와이프와 나의 기대로 살아가는 삶이 아니라, 녀석의 기대와 희망으로 살아가는 삶을 지지하고 싶으니까. 

이런 생각들이 실타래처럼 꼬이고 있을 때 즈음에 볼드저널의 대안교육을 통해서 만난 아이들 혹은 아이의 유년 시절을 조금은 다르게 보낸 청년과 성인들의 인터뷰를 읽어내려가면서 어쩌면 무모할만큼 단언해 버렸던 교육에 대한 철학 같은 것들을 정의내려야 한다고 생각했고 최근 우리의 대화에는 이런 생각들이 공유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좋은 대학, 좋은 기업으로’가 아닌 가치있는 삶
지금 내가 가치있게 살고 있는지는 사실 나는 알지 못한다. 하지만, 그 가치를 녀석에게 알려주는 것 보다 온전히 본인의 생각과 방식으로 단단하게 익기 전까지는 그 가치를 찾는 길에 함께 걷고 싶다. 사람과 세상 그리고,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세계에 대한 끊임없는 질문과 생각들. 그렇게 얻어진 좋아하는 것에 대한 탐닉. 그게 꼭 모든 것을 잘해야 하는 공교육의 시스템에 맞추어서 점수 또는 서열로 높고 낮음을 결정짓지 않고, 현재 머무르고 있는 삶 자체가 가치있다고 느끼고 그걸 행복하다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이 되는.

녀석에게 붙여준 이름처럼, 세상 사람들과 세상을 여행하면서 사는 사람이 되길 기대하며 더 많은 질문을 던져주고, 그 질문에 대한 많은 길을 함께 찾아볼 수 있기를 바래본다.

“함께한다는 것은 나의 불완정성을 인정하는 일이다. 함께한다는 것은 너 역시 완벽하지 않아도 됨을 이야기해주는 것이다. 서로가 서로의 빈틈을 여유롭게 채워주는 일, 하여 서로가 서로를 주체로 세워주는 일, 그것이 바로 또한 함께 사는 일이 아닐까 싶다. 교사도, 학부모도, 아이들도 서로가 서로의 빈틈을 채워주며 함께 살아가고, 그 가운데 성장해갈 수 있는 곳이 학교라면 참 좋겠다.”
– 심은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