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왜 전쟁을 했을까? - 미국.베트남 적과의 대화
히가시 다이사쿠 지음, 서각수 옮김 / 역사넷 / 2004년 10월
평점 :
절판


월남전(1961-1975)에서 미국인 사망자는 5만8천명, Vietnam 사람들은 무려 3백80만명이 죽은 것으로 추정되고...  

McNamara는 1961년 미 국방장관으로 선임되어 68년까지 이 전쟁을 이끄는 자리에 있었다. 비록 대통령이 최종 결정을 내리지만, 육해공 3군의 모든 군사력을 손에 쥔 그는 이 전쟁 기간동안 말 그대로 막강한 power의 최정상에 서 있었다. 사람들이 월남전을 '맥나마라의 전쟁'으로 불렀듯이...  

그런 그가 4반 세기가 지나서, 1995년 Vietnam Hanoi시를 방문하여 그의 오래된 적장 Vo Nguyen Giap을 만나고, Vietnam전에 대한 교훈을 얻고자 과거 사실들에 대한 일련의 meeting을 두 나라 사람들과 함께 진행한다. Meeting의 제목은 'Missed opportunities?'였다. 곧, '두 나라가 이 전쟁을 좀 더 일찍 평화적으로 끝낼 수 있었던 기회를 놓치지 않았던가?'  하는 것이었다. 이 meeting의 회의록이 나중에 <Argument without End: In search of Answers to the Vietnam Tragedy>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고...

그 회의록의 대화 내용은, 일본의 한 NHK 기자가 썼듯이 '말 그대로 다른 문명간의 대화이자, 전쟁 당사자들이 아니고선 할 수 없는 생생한 고백의 연속'이다. 우리나라에도 이 내용을 다룬 NHKdocumentary  책자가  <우리는 왜 전쟁을 했을까?>란 제목으로 번역되어 소개되어 있다.  
  

그런데 여기서 가장 두드러진 미국과 Vietnam 사람들 간의 인식의 차이가 있다. American들이, 혹은 McNamara가, 도저히 이해하지 못하고 또 이해할 수 없는 부분이...

며칠간 회의가 진행되면서 McNamara는 마침내 당시 Vietnam의 전쟁 지도자들에게 깨어놓고 묻는다.
"당신들은 당신들 국민이 미국의 폭격 앞에 그렇게 무참히 막대한 규모로 죽어 나가는데도, 당시 미국이 제시한 비밀 평화 협상에 응하지 않았습니다. 만약 희생자를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한 마음이 정말있었다면, 그 협상 조건들이 최소한 유리한지 어떤지는 그 때 검토해 보았어야 하지 않았는가요? 나는 이 점을 도저히 이해할 수가 없습니다."


이 질문에 격노한 Vietnam 측의, Tran Quang Co는 여기에 이렇게 대답한다.

"I would like to answer Mr. McNamara's question..... I must say that this question of Mr. McNamara's has allowed us to better understand the issue. During the coffee break, an American colleague asked me if I had learned anything about the U.S. during the decisions of the past few days. And I responded that I have learned quite a lot. However, thanks to this particular question, I believe we have learned still more about the U.S. We understand better now that the U.S. understands very little about Vietnam. Even now - in this conference - the U.S. understands very little about Vietnam."

"When the U.S. bombed the North and brought its troops into the South, well, of course, to us there were very negative moves. However, with regard to Vietnam, U.S. aggression did have some positive use. Never before did the people of Vietnam, from top to bottom, unite as they did during the years that the U.S. was bombing us. Never before had Chairman Ho Chi Min's appeal - that there is nothing more precious than freedom and independence - go straight to the hearts and minds of the Vietnamese people as at the end of 1966." 

그리고, 덧붙인다.

"만약 당신이, 'Vietnam 지도자들은 국민들이 희생을 당하고 고통을 받는 현실에 전혀 관심이 없었기 때문에 아무리 공습을 받아도 전쟁을 계속한 것이다'고 생각한다면 그것은 전혀 잘못된 것입니다.
만약 반대로 미국과 평화를 위한 협상을 시작한다고 하면,  우리는 이와같이 비 오듯 폭탄이 퍼붓는 가운데 왜 협상에 응해야 하는지를 국민들에게 설명해야만 했을 것입니다.

잘 들어십시요. 그 전쟁은 여기 Vietnam에서 일어났다는 사실을 잊지말기를 바랍니다. 전쟁의 아픔을 가장 뼈 아프게 체험한 것은 우리였습니다. .....
Vietnam이 잃은 것은 미국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만큼 커다란 것이었습니다. 우리가 전쟁을 계속하고 싶을 이유가 도대체 어디에 있단 말입니까?

왜, 왜, 우리가 그렇게도 격렬한 폭격을 받으면서도 협상 제안에 응하지 않았는지, 당신은 압니까?

그건 말입니다. 독립과 자유만큼 고귀한 것이 없기 때문입니다.
Vietnam인은 노예의 자유를 받아들이지 않아요."  
 

Vietnam은 협상의 창구는 활짝 열어 놓았지만, 그 쏟아지는 미국의 의도적인 北爆의 환경 아래서는 그 때 도저히 그 협상에 응할 수는 없었던 것이다. 왜냐하면, Vietnam 사람들에게 그 전쟁은 식민지를 만들기 위해 쳐들어 오는 적들을 물리치기 위한 결사적 독립 항전이었던 반면, 미국인들에게 그것은 'domino 효과'의 공포와 '제국'의 오만함에 사로잡혀 불가피하게 치러야 하는 통과의례로서의 전쟁이었던 것이다. 전쟁에 대한 서로의 인식이 이렇게 달랐기에, 전쟁에 임하는 자세가 필연적으로 달랐던 것이다.

McNamara Pentagon은 결국 Vietnam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들을 단지 'costs',  'losses'  또는 'collateral damage'로서만 보았던 것이고, McNamara Vietcong이나 북Vietnam (월맹)에 대응해서 단순히 'cost' 높이면 그 전쟁은 승리할 수 있을 것이라 섣부르게 기대했던 것이다.

30년이 지나서도 그의 뛰어난 분석적인 머리에는, 무엇이 옳았고 무엇이 그릇된 것이었는지에 대한 도덕적 문제는 자리잡고 있지 않아 보인다. 오히려, 어떻게 했으면 그가 했던 일을 더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성공적으로 잘 수행할 수 있었을까만 염두에 두고 아쉬워하고 있는 듯하다.

그는 죽은 자들로부터 어떤 지혜도 얻지 못하는 사람인가?
혹은, 이것이 두렵게도 미국인들이 문제에 접근하는 보편적인 사고의 틀은 아닐런지? 

훗날 Hanoi meeting에서 얻은 교훈이 무엇이냐는 기자의 질문에 McNamara는 그랬다고 한다.
"하나는, 우선 적을 이해하라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비록 적일지라도 최고 지도자 끼리는 대화를 계속해 나가야 한다"는 것이라고...


참고로 McNamara는 소련이 붕괴된 직후인 1992년엔, 과거 'Cuba 위기'의 진실을 규명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개시하여, 구 소련의 지도자와 Cuba Castro 등 과거 가상 적국의 지도자, 당사자들을 만나 새로운 사실들을 확인하는 작업을 하기도 했다.   

McNamara란 사람은 미국의 전형적인 합리적이고 유능한 '성취인'의 모습이라 할 수 있겠지만, 그가 맛 보았을 power의 막강함과는 달리, 과연 가치있고 행복한 삶을 살았을까 하는 의문이 들게하는 인물이기도 하다.  

기록을 남겨 역사적 사실을 보존하고, 또 사후에라도 사실 확인과 진실 규명을 위해 노력 하는 자세는, 개인의 특성이라기 보다는 그 사회의 전반적인 문화와 풍토가 반영된 결과이리라... 우리가 미국이나 일본으로부터 분명히 본받아야 할 점이라 여겨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계의 끝 여자친구
김연수 지음 / 문학동네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이어지다가 끊어지고, 다시 이어지다가 끊어지는 사람들의 목소리가 참 고독하다고 생각했다."

"나는 어느 날 사막에서 실종된 한 남자의 고독을, 그 남자를 이해하기 위해 사막을 향해 달려가는 한 여자의 욕망을, 그리고 그 남자와 그 여자가 보게 될 사막의 빛과 어둠, 열기와 서늘함, 고독과 슬픔을 들었다."

"..... "지금 보이세요?"라고 물었다. 그 목소리는 젖어 있었다."

"..... "지금 보이세요?"라고 물었다."

"나는 규칙적으로 들려오는  바람 소리에 귀를 기울였다. ..... "아, 이건 만월이군요. 맞지요?" 이번에는 눈을 감지도 않은 채, 내가 중얼거렸다. ..... 나는 혼자서 더없이 밝고 환한 보름달을 마주 보고 있었다. 거기에는 나 혼자뿐이었다." 


읽어 가면서 점점 마음이 아려 오는 중편 소설이었다.


읽다가 불현듯 연상 되어 김진섭의 '백설부'를 찾아 읽어 보게 되었고...
거기에 '기적같이 와서는 행복같이 달아나 버리는'으로 되어 있었다. 

이 소설을 읽고 나서, 수잔 손택의 <타인의 고통>을 주문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채식주의자
한강 지음 / 창비 / 2007년 10월
평점 :
절판


'검은 트렌치코트 차림으로 우두망찰 서 있는 아내'

'장모의 목소리는 혼곤했다'

'점점 햇빛이 사위고 있었고'

'손가락 빠는 소리가 어두운 방 가운데 적요했다'

'아내가 돌아오기까지 교교한 집에 있고 싶지 않았고'

'P는 날큰한 턱을 만지작거리며 말을 이었다' 


내겐 그리 익숙하지 않은 우리말 표현들이었다.


소설의 싯점이 [채식주의자]에선 1인칭인 영혜 남편의 눈으로 보는 아내, 처형, 동서로, [몽고반점]에선 3인칭으로 그와, 아내와, 처제로, 또 [나무 불꽃]에선 3인칭인데 그녀와, 영혜와, 그로 바뀐다.


소설을 읽으면서 좀 놀랐다.
작가 한승원 씨의 딸인 한강이란 작가의 이름은 알고 있었지만, 전개되는 소설의 내용이 가벼운 주제가 아니었다.
'일상의 삶'과 '예술'이란 뚜렷이 구별되는 두 세계가 있었고,
선한 사람이 뚜렷한 이유도 없이 받는 '고통'과 그 '소리없는 신음'이 깔려 있었다.


사실 우리의 일상이란 한 겹 벗겨내고 보면, 그 모든 '인간적인 약점'과 '세상의 모순'에서 초래되는 불안과 혼돈이 자리잡고 있지 않은가?
그것이 운명에 따라 사정 없이 극한까지 치닫는 경우는 그리 많지가 않겠지만...
예술가 또는 작가란, 그런 약점과 모순을 예민한 감각과 예리한 이성으로 찾아내어,
그것을 어떤 미적 형상으로 작품 속에 창조하는 사람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 보았다.

  
그리고, 이 작가는 작품을 발표하기 전에 아버지인 선배 작가에게 먼저 보일까 아닐까 하는 속된 궁금증을 가져 보기도 했다.
기회가 있으면 한강 작가의 다른 작품들도 읽어 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의 거짓말
정이현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 읽기가 가져다 주는 쓸모란 것이 여럿 있겠지만,
이 소설집에 나와있는 소설들을 읽으면서 왠지 모르게 어떤 '위안감' 같은 것이 느껴졌다. 
세상이 여전히 밝고 따뜻하게 존재하고 있다는 느낌.
내가 어릴 적 학교 다닐 때 느꼈던, 어떤 그런 평온함 같은 것. 

이 작가가 세상을 보는 눈이 그래서 그런 것일까?
많이 황량하게 느껴진지 오래된 세상 살이에서
모처럼 읽게된 단편 소설 몇몇이 던지는 이 위로를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 


[그 남자의 리허설] 덕분에 'Othello'를 꺼내 읽어 보았다.
그 속에서 Iago를 다시 만났다.
뚜렷한 이유도 없이 의식적으로 타인을 파멸로 몰아가는 인간...

그리고, 그 [삼풍백화점]의 화려했던 첫 모습이,
새파랗던 종이 쇼핑백의 이미지와 함께
저 마음 밑바닥 아래서 떠올라,
잠시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기도 했다. 
그 appearance와 reality의 어긋남...

[오늘의 거짓말]이란 무슨 의미인지 처음엔 이해할 수 없었는데,
곧 쉽사리 알아차렸다.
그런 일상과 그것에서 벗어남도 있을 수 있겠다 싶었다.


그런데, 한편으론 글을 써는 직업을 갖고 산다는 것이 무엇일지
점점 더 오리무중이란 느낌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에브리맨
필립 로스 지음, 정영목 옮김 / 문학동네 / 200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쓸쓸한 말년에 맞는 마음의 풍경이 그대로 내게 다가온다. 현실을 있는 그대로 묘사한 작품이라 그럴 것이다. 

아무리 자유롭고 다채로와 보여도, 결국 직장이라는 것과 '미술교실'이란 것을 매개로 하여 이루어지는 관계와 기억들. 그리고, 유소년 시절의 기억과 가족들과의 관계. 나머지는 질병과 고통과 외로움, 그리고 망상... 

이것이 보통 사람들(에브리맨)의 삶이라고 작가는 얘기하는 듯 싶다. 

한 가지 주인공의 삶 속에 빠진 것이 있다면, 그것은 신과의 교감이었다. 대신, 그는 돌아가신 부모님의 기억 속에서 그것을 찾았다.   

난 앞으로 Philip Roth의 소설을 더 찾아 읽게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