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2 - 어둠의 시대
이덕일 지음 / 김영사 / 2004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세월을 뛰어 넘는다는 것이 무슨 말인지 확연히 느낄 수 있는 책 읽기 였다. 200년 전에 여기 서울, 그리고 양수리 근처의 그 마을, 또 저 멀리 포항 옆의 장기라는 곳과 전라남도 강진, 玆山이라 이름 지어 불렀던 섬 흑산도... 이 공간 안에 살다간 약용, 약전 두 분의 숨결이 책 읽는 내내 생생하게 따라왔다.
수 년 전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라는 책을 통해, 학교에선 미처 배우지 못했던, '조선 시대' 사회에 형성된 왕과 사대부의 역학관계에 눈 뜰 수 있었기에, 이 책에 나오는 정약용 형제들이 겪은 세월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남인과 노론 벽파, 사도세자, 영조, 정조.....
그리고 그 시대의 이면에 깔려 있던 西學으로서의 천주교는, 우리 조상들과 참으로 기막힌 인연을 맺게 되었다는 것을 실감할 수 있었다. 이벽, 이승훈, 이가환, 권철신 이런 사람들이 어떤 사람들이었는지, 그리고 정약용의 셋째 형 정약종이 어떤 길을 갔는지, 천주교 103위의 성인들이 있기까지 그 앞 세대에서 어떤 희생이 있었는지 비로소 알게 되었다. 험한 시대, 험한 세상을 참으로 깨끗하고 소신 있게 살다간 조상들의 면면을 대할 때마다 가슴이 벅차 오르기도 했다.
옛날에 정문기 교수가 번역해 一志社가 간행한 정약전의 "자산어보"를 갖고 있었던 적이 있다. 그런데 그 책이 어떤 환경에서 만들어 졌는지, 그 저자가 어떤 삶을 살았는지 여태껏 몰랐다. 그 험난한 인생의 격랑 속에서 그런 책을 내고, 16년이나 귀양살이를 하다 그곳에서 세상을 떠난 정약전이란 분의 마음의 크기와, 자신의 삶과 세상을 바라보았던 눈이 놀랍기만 하다.
하지만 역사에 단연 두드러지는 사람은 정약용이라는 인물일 수 밖에 없다. 정조라는 왕과 화답을 하기까지 하며 지근거리에서 군신 관계를 이루어가는 30대를 보낸 이 학자이며 관료였던 실천가는, 18년 동안의 귀양살이를 겪으면서 자신의 삶을 서서히 완성해 갔다. 그 결과물이 바로 一表二書 (경세유표, 목민심서, 흠흠신서)로 대표되는 저술들이었다. 그리고 57세에 유배에서 돌아와서는, 자신과 함께 그 어둡고 아픈 세월을 겪었던 사람들의 행적과 뜻을 '墓誌銘'의 형식으로 정리해 올바르게 후세에 알리려고 했던 그는 영원한 선비이며 실천가였고, 참된 사람이었다.
특히 科擧를 통해 관료의 길로 들어서는 것 만이 유일한 출세의 길이며 인생의 목표이던 그 시대에, 그 기회가 완전히 좌절되어버린 아들을 향해 멀리 유배지에서 편지를 통해 했던 그의 교육은 예사롭게 느껴지지 않았다. 그 편지들을 묶어 놓은 책을 꼭 찾아 읽어야 겠다는 생각이 마음 속에서 무럭무럭 일어났다.
이 책을 통해 정약용이란 이 분의 삶을 좇다 보면 나와 우리도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하는 문제를 참으로 깊이 생각해보게 된다. 누구에게든 험한 세파 속에서도 아름답고 힘있는 인생을 사는 모습이 살아있다면 그것은 아마 정약용 형제들의 모습과 닮아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우리에겐 훌륭한 조상들이 계셨고, 그 분들이 내가 딛고 있는 이 땅 위에서, 불과 200년 전에 살다 가셨음을, 머리 만이 아닌 온 마음과 몸으로 알고 느끼게 된 기쁜 책 읽기 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