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임, 교실 안팎의 의사소통 통로
나는 너에게, 너는 나에게 꽃이 되고 싶다
김명희(경북 안동여중 교사)
사람과 사람이 만나 관계를 만들어가는 데에 가장 근본이 되는 것은 의사소통이다. 아이들과의 관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보다 나은 학급운영을 고민하고, 좀 더 괜찮은 수업을 고민하는 교사라면 한 번쯤, 아니 시시때때로 고민해 보았을 아이들과의 의사소통 문제. 아이들과 잘 소통하기 위해 교사인 나는 어떠해야 하는지, 먼저 나로부터 고민해 보자. 나는 과연 아이들에게 잘 다가가고 있는지, 나의 미숙함이 아이들과의 의사소통을 방해하고 있는 건 아닌지 돌아보는 데서부터 보다 원활한 의사소통은 가능해질 것이다. 교사는 훈시자도, 전달자도 아니다. 동등한 인간 대 인간의 만남으로서 의사소통을 고민한다면 나의 언어 방식부터 되돌아보자. 자신을 객관적으로 돌아볼 수 있을 때에 비로소 상대의 모습도 진정 보일 것이다.
그 옛날 나빴던 경험이 지금 가장 좋은 교훈
선생님들은 학생들에게 한 마디 이유라도 물어보면 안 되는 걸까? 선생님들은 자기가 왜 기분이 안 좋은지를 차근차근 말 좀 해 주면 안 되나? 지금의 아이들도 선생님께 불만과 의아심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내 학생 시절의 억울하고 속상했던 경험이 그대로 나의 학생들에게 되돌려져 되풀이되고 있지는 않은지 곰곰이 생각해 볼 일이다.
중학교 1학년, 서울로 유학을 가 낯설게 3월을 보내고 있던 때였다. 영어선생님이 들어오셔서 교과서를 읽는데, 안 그래도 얼굴이 고와 홀려 있는 터에 생전 처음으로 유창한 외국어를 들으니 앞에 서 있는 선생님이 황홀하도록 예쁘고 신기하였다. 그래서 나도 모르게 '헤에~' 하며 웃게 되었다. 그런데 갑자기 선생님께서 책 읽는 것을 멈추고는 "너, 나와!" 하시더니, 나의 뺨을 힘껏 날리는 것이었다. 순식간에 일어난 데다가 변명할 틈도 없이 복도에 나가 서 있으라는 바람에 나는 그저 추운 복도에서 한 시간 동안 수치감 속에 떨기만 했다. 그러나 추위와 수치감보다도 더한 것은 '대체 내가 왜 맞았을까?' 하는 궁금함이었다. 감히 그 이유를 물어볼 수는 없었지만…. 지금 교사가 되어 생각하니 선생님이 그때 "너 왜 웃었니?" 한 마디만 물었어도, 아니 "! 얘, 책을 읽는데 네가 웃으니까 마치 나를 무시하는 것 같아서 기분이 안 좋다"라고 한 마디만 하셨다면, 적어도 변명이나 해명을 할 수 있지 않았을까 싶다. 그랬다면 이후 영어 시간이 얼마나 즐거웠을까!
비언어적 행동을 읽어 내는 마음의 여유와 사랑
오래 전 밤 11시까지 야간 자습을 하던 고등학교 3학년 교실에서 있었던 일이다. 피로와 어두운 침묵으로 가득찬 교실, 이 한 시간만 지나면 드디어 집에 갈 수 있다는 생각에 마지막 힘을 쏟으며 들어선 순간, 이 밤늦은 시간에 유난히 교실이 깨끗하고 교탁 위에는 분필통이 단정하게 놓여 있어 기분이 유쾌해졌다. 게다가 그 안에는 예쁜 껌종이로 옷을 입힌 분필들이 한 상자 가득한 게 아닌가. 낭만도 사랑스러움도 사라져 가던 고3 교실에서 모처럼 따사로운 인간 냄새를 맡아서 기분이 좋아졌다.
그런데 마음과는 달리 무심결에 내 입에서 나온 소리는 "뭐야 이거, 고3이! 시간이 얼마나 걸릴 텐데!" 그리고는 돌아서서 무심히 칠판에 제목을 적고 있는데, 갑자기 뒷자리에서 후다닥 하는 소란스러운 소리가 들린다. 순간 '아차!' 싶었지만, 차마 뒤를 돌아볼 수가 없었다. 뒤를 돌아봤을 때는 이미 늦었다. 저 뒷자리에 앉아 있던 늘 말 없고 공부를 잘하던 한 아이가 그 넓은 교복치마를 한껏 펄럭이면서 쿵쿵 소리를 내며 앞으로 나왔다. 그리고는 휘익 분필통을 집어들고선 다시 쿵쿵 제자리로 돌아가는데, 그런 무례한 모습을 아이들도 처음 보았는지 교실은 죽은 듯 조용하였다. 나는 속으로 생각했다. '수업이 끝날 때까지는 사과해야지.' '교실을 나갈 때까지는 사과해야지.' '스쿨버스를 탈 때까지는 사과해야지.' … '졸업할 때까지는 사과해야지.'
그러나 결국 사과를 못했다. 지금까지도 못했다. 그 아이의 이름조차 모른다. 굵은 테의 안경을 쓰고 말수가 없던, 지금은 엄마가 되고도 남았을 아주 오래된 제자. 지금도 그때의 일을 생각하면 부끄러움과 죄책감으로 마음이 무겁다. 회복이 안 된다. 그런데 찾을 길이 없다. 어떻게 사과하나.
학생의 말없이 바라보는 표정이나 사소한 몸짓 하나, 그리고 목소리에 담긴 빛깔과 냄새, 감정, 분위기… 같은 비언어적인 행동을 섬세하게 읽어 내기에는 교사로서 나이가 너무 어린 27세였다고 하면 자위가 될까? 아니다. 아직 인간을 제대로 사랑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상대방의 말과 행동이 무엇을 담고 있는 것인지를 알아내는 데에는 뛰어난 시각이나 청각이 필요한 게 아니다. 인간에 대한 기본적인 예의와 사랑이 필요할 뿐. '마음'만 있으면 된다. 마음으로 바라보고 다가갈 때 비로소 우리 아이들을 포함하여 모든 인간과의 진정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정답이 없는 대답으로 말하기의 두려움 없애기
요즘 아이들, 흔히 어른을 능가하는 것처럼 굴기도 하고, 또 우습게 여기는 모습도 보이지만, 정작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말할 자리에서는 의외로 부끄러워하며 쑥스러워서 몸을 비틀거나 입을 꼭 다물고 있기가 예사다. 게다가 여전히 사회적 관념이 남아 있어서 '선생님은 어른인데 뭐 이런 게 문제되겠나?' 하며 아직도 선생님과 어른들에 대해 환상에 가까운 믿음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으레 자기들만이 잘못하고 또 용서받는 미숙한 인간들인 양 생각하기도 한다. 그래서 간혹 교사가 아이들 때문에 기분이 상하고 마음의 상처를 받거나 또 행복과 기쁨을 느낀다는 사실을 잘 모르기도 한다. 또한 교사들 역시 '교사는 이러이러해야 한다'는 교육신화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자신이 인간임을 제쳐놓고서 오직 교사로서의 책임을 다하고자 나 아닌 ? 摸?자의 모습으로 아이들 앞에 서곤 한다. 그럴 때면 어쩔 수 없이 거짓이 나오고 자기 기만이 나와 결국 스스로 해방되지 못한 삶을 사는 것이다. 그래서 조․종례 시간이나 교과 시간, 틈만 나면 집단상담을 통해 정답이 따로 없는, 즉 자기 느낌을 정직하게 드러내는 훈련을 하여 자신의 마음을 정직하게 읽고 인정하며 자신감을 키워 볼 일이다.
* 어떤 때 나는 기분이 좋아지는가/나빠지는가?
* 최근에 즐거웠던/속상했던 일은 무엇인가?
* 내가 잘하는/못하는 것은? …
* 전에는 잘/못했는데 지금은 못하는/잘하는 것은?
* 최근에 실천하고 있는 새로운 일이 있다면?
어느 날인가 공교롭게도 들어가는 학급마다 속상한 일이 있어 종일토록 열이 가득 올라 있었다. 종례를 들어갔는데도 아이들이 쳐다보지도 않기에 "선생님이 왔는데 본 척도 안 하고! 나 무시당하는 것 같아 기분 나쁘다. 나는 오늘 아침부터 애들이 말을 안 들어 너무나 화가 나 있고 지금도 기분이 안 좋아. 우리 반에 왔으니 너희들이 나 좀 기분 좋게 해 줘 봐." 그러자 아이들은 한꺼번에 쏟아지듯 말을 내 붓는다.
"할미꽃을 꺾어 드린다." (-평소에 늘 들꽃을 좋아한다고 했다.)
"명희 선생님!" (-나는 '명희 선생님'이라고 불리면 언제나 기분이 좋다고 한 적이 있다.)
"억척이가 참 잘생겼어요!" (-억척이는 내 짚차의 이름으로, 나를 칭찬하려면 억척이를 칭찬하면 된다고 말한 적이 있다.)
"산에 불을 지른다아!"
엉, 뭐라고? 산에 불을 질러? "아니 얘들아, 산에 불은 왜?" "선생님이 나뭇잎 타는 냄새가 좋다고 하셨잖아요! 산에 불을 지르면 하루종일 타니까 선생님 기분이 좋아지실 거잖아요." 아, 세상에! 그로부터 나는 약 5분간 배를 부여잡으며 웃을 수 있었다. 그리곤 언제 기분이 나빴더냐는 듯 날아갈 듯 즐겁고 행복해졌다. 이후에도 오랫동안 아이들이 미워지고 교단이 지겨워질 때면 이 말을 생각하곤 웃음지으며 옷깃을 다시 여민다.
<다음 주에 이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2005년 5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