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essional 소프트웨어 개발
스티브 맥코넬 지음, 윤준호 외 옮김 / 인사이트 / 200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자는 배우기 위해 개발하지만, 엔지니어는 개발하기 위해 배운다. - 프레드 브룩스-

 

IT 업종에 입문한 이후로 배움의 길은 끝이 없어 보인다.

끝이 없는 코드들과 패턴들.. 이 업종에 종사한지 얼마 안  된 짧은 소견을 말하자면

정말, 현대판 3D노동이라는 말이 절실하게 와 닿을 때도 있다.

소프트웨어 늪지대라는 파트 제목은 이러한 현실을 정확하게 표현하고 있다.

무작정 코드부터 개발하고 나서 뜯어 고치는 행태는 빈번이 일어나지만

마냥 계획을 세우고 실천할 수만은 없다. 고객사는 한시라도 결과물이 도출되길

원하기 때문이다. 또한, 계획이 실패로 돌아갈 시에는 마땅히 고객사에게 얘기할 명분이 없어진다.
철저한 분석과 설계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면서도 화면을 구현한 뒤에나

ERD를 만드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공학과 과학의 차이, 소프트웨어 골드러시 등 SI 업종의 종사자라면

한 번은 집고 넘어가야 할 만한 주제에 대하여 다루고 있어

IT 업종에 발을 들이게 된 사람들에게 '입문서' 라며 던져주고 싶다.


프로젝트 팀을 수술실에 들어가는 팀에 비유한 것은 정말 탁월하다.

수술팀과 같이 세분화된 분야별로 전문가를 두어 양성하는 것은

IT업종의 발전과 개개인의 능력을 배가시키기 위해서도 꼭 필요한 부분이다.

만약, 전문가로 이루어진 팀이 구성된다면 효율성과 효과는 배가 될 것이고,

프로그램이 돌아가기만 하면 그 뿐이라는 생각을 가진 채,

유지및 보수를 맡은 사람에 대한 고려가 전혀없이 무책임한 행동을 하는

사람들도 줄어들 것이다.

몇몇 이러한 사람들 때문에, 오죽하면 프로젝트 투입에서 가장 좋은 케이스가

처음에 들어가서 중간에 빠지는 것이라는 소리까지 나올까...

소프트웨어 개발에 있어서 어떠한 마음가짐을 가지고 일하면 좋을지,

IT라는 분야에 대하여 개괄적으로 생각하게 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