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를 조작해 난치병을 고칠 수 있다고? - 생명공학 주니어 대학 17
신인철 지음, 소복이 그림 / 비룡소 / 202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전자 조작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요즘처럼 건강에 관심이 많은 때에는 귀가 확 트인다. 나이 많은 할아버지나 할머니께서 어디가 아프다, 하면서 거의 100살 넘게 사시고 엄마, 아빠도 어딘가 아픈 것 같다. 그런데 어린이라고 해서 완전 건강한 건 아니다. 현대인이라면 누구나 달고 다니는 비염, 시력 저하, 충치 등 고치고 싶은 부위가 한 두 군데가 아니다. 유전자 조작으로 혹시 해결할 수 있을까? 이 책은 생명공학을 단순히 안내하는 데 그치지 않고 미래를 알려준다. 생명공학이 더욱 발달한 세상은 지금과 패러다임 자체가 다를 수 있다. 과학자들의 안전한 실험실 안에서는 아마 지금도 유전자 조작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에게 적용되는 건 다른 문제다. 난치병을 고치고 병든 장기 대신 새로운 장기로 갈아끼는 것이 결코 먼 미래가 아니다. 더욱이 우리는 지금의 청소년들이 이런 역할을 하기를 기대한다. 그래서 이 책은 어려운 설명이 아니라 아이들이 나도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마음을 심어준다. 생명공학은 여타 다른 과학보다 더 우리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인류의 건강과 의학, 희망 그리고 아이러니하게 윤리와도 복잡한 관계를 가진다. 이런 과학의 의미를 생각해 보며 이렇게 하는 것이 옳은 일인가를 항상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리고 확적적 발견에 대한 이야기도 나온다. 순간의 재치나 운이 아니라 꾸준함이 그 결과라는 것을 깨달을 수 있다. 현재 학교를 다니는 친구라면 누구에게도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