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카페, 공장 ㅣ 자음과모음 청소년문학 79
이진 지음 / 자음과모음 / 2020년 5월
평점 :

그 시절 소녀들은 서툴지만 진심이었다. 온 마음을 다해.
“뭐 어때. 그냥 노는 건데.” -43쪽
시작은 ‘노는 거’였다. 변함없는 오동면의 자연 안에서 단짝 친구 넷은 일회성 나들이가 아닌 자신들만의 아지트를 갖고 새로운 일상을 꿈꿨다. 꿈은 이루어진다고 했던가. 빈 공장의 아지트가 그들만의 아지트가 아닌 모두의 아지트가 된 것이다. SNS의 위력으로 그들의 ‘카페, 공장’은 여기저기로 팔려나갔다. 한 번도 느껴 볼 수 없던 새로움을 느끼게 된 것이다.
유정, 차영진, 염민서, 최나혜. 넷은 태어난 곳도, 자란 곳도 같은 동갑내기 단짝들이다. 있을 건 다 있는 시골 오동면에서 그들이 즐길 만한 문화는 거의 없었다. 서울의 유명 카페에 놀러 갔다 와도 그때뿐, 오동면으로 돌아오면 평화롭지만 숨 막히는 일상이 되풀이될 뿐이다. 그러던 중, 빈 공장 하나에 그들의 아지트가 탄생했다. 처음엔 믹스커피로 시작해 나중엔 핸드 드립 커피로 발전, 디저트까지 얹어 팔게 되는 진짜 ‘카페, 공장’을 운영하게 된다. 처음엔 좋아서 시작했던 일이 점점 버거워지기 시작한다. 늘어나는 사람들, 끝없는 주문, 잘해도 못해도 어디에나 있기 마련인 불청객까지. 아직 어른이 아닌 그들 넷이 감당하기엔 벅찬 상황까지 파도처럼 밀려든다. 우정이 흔들리고, 평범했던 일상이 위태로워져도 그들은 카페에 나가 일을 한다. 그렇게 계속 이어질 것 같던 꿈도 현실에 부딪히자 사그라지고 만다. 그 시절 소녀들은 그렇게 어른이 되어 가고 있었다.
그 시절을 지나온 사람이라면 한 번쯤은 또라이였던 것 같다. 좋아서 무작정 시작한다. 앞일은 별로 상관없다. 안 해서 모르는 채 살기보다 직접 겪고 ‘그땐 그랬지’ 하는 편이 훨씬 멋진 일 같았으니까. 책과 글에 정신이 나갔던 나 또한 그랬다. 무모하고 겁 없고 서툴러도 재미있었다. 몰입하면 힘들어도 좋아서 계속 책을 읽거나 글을 썼다. 그만큼 보람 있는 일이었기에. 네 소녀도 그래서가 아니었을까. 그래서 진상이 와도 카페에서 일하고, 부모님들이 가지 말라 해도 찾아갔던 게 아닐까.
“우리, 그때 참 재미있었지?” -211쪽
2년 후 만난 그들은 2년 전보다는 덜 무모하고, 덜 서툰 ‘어른’의 느낌을 풍겼다. 손목이 나가게 커피를 만들던 유정은 커피를 놓지 않았고, 브라우니와 치즈케이크를 맛나게 만든 최나혜는 계속 밀가루를 만지고, 메뉴판과 엽서를 예쁘게 만들던 염민서는 미술을 전공하려 부단히 노력하고, 카페 운영에 힘썼던 차영진은 경영을 전공하게 된다. 이제 막 피기 시작한 꿈이다.
꿈은 잠깐 사그라질 수도 있다. 그래도 사람은 계속 꿈을 꾼다. 뭔가가 되고자 하는 마음을 계속 가지며 살아간다. 어른이 되어도 꿈을 꾼다. 어릴 때 꿈을 다시 한번 만나고 싶다면 《카페, 공장》으로!
* 자음과모음에서 도서 증정받아 작성하는 서평입니다. 진심을 담은 지극히 주관적인 생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