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디버블링 - 신빈곤 시대의 정치경제학 ㅣ 생태경제학 시리즈 3
우석훈 지음 / 개마고원 / 2011년 2월
평점 :
절판
정부에서 "우리는 가난하지 않다" 혹은 "우리는 복지를 정말 잘하고 있다"고 말하는 것은 별 의미가 없다. 진짜로 한국에 사는 사람들이 "과연 그래"라고 생각하면서, 다시 연애를 시작하고, 결혼을 계획하고, 그런 활동이 자연스럽게 출산으로까지 이어지는 순간, 그때 우리는 이 어두웠던 순간들을 빠져나왔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사랑한다, 그 말을 잃어버린 경제, 그건 경제도 아니고 아무것도 아니다. 존 롤스의 <정의론>의 표현을 빌리자면, 아직 태어나지 않은 태아들의 영혼이 어떤 세상을 만들 것인지 합의한 내용, 그것이 정의다. 한국의 경우는 "우리 저기에서 태어나지 말자"라고 태아의 영혼들이 합의한 땅이 된 것이 아닌가? 경제를 어렵게 생각할 것 없다. 생식이 사라지고, 섹스가 사라진 경제, 그건 태아들에게도 바람직하지 않은 경제이지만, 동시에 어른들에게도 바람직하지 않은 경제다. 아파트를 사기 위해서 섹스를 잃어버리고, 재생산이 정지된 사회, 그건 경제의 기본 얼개 자체가 잘못되었다는 것이다. (우석훈, <디버블링>, 개마고원(2010), 538~539쪽 인용)
고단한 일상에 인생의 피로는 깊어만 간다. 대한민국이 어딘가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직감하지만, 생각은 잘 정리되지 않는다. MB, 대운하, 재개발, 전세난, 실업난, 사교육, 출산율 저하, 결혼 연령대 상승 등. 동시대에 목격되는 이런 (불편한) 현상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우석훈은 <디버블링>을 통해 종합적이고 거시적인 설명을 제공한다. 작금의 비정한 현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면서도, 특유의 경쾌함을 잃지 않는다. (그래서 한편으로는 슬프다) 구체적 현실을 복잡한 경제학설을 동원하지 않고 간단한 개념과 상식적 추론에 따라 분석하기 때문에, 이해가 어렵지 않다. 특히, 설명에 활용되는 예시와 비유가 우리가 일상적으로 접하는 상황(혹은 명제)들이라 에세이처럼 잘 읽힌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우리는 '(생태/경제적) 제 살 깎아먹기'의 파국적 결과를 '리얼타임'으로 체험하고 있다. 마땅한 출구가 없다는 점에서 상황은 절망적이다. 물론, 우석훈은 대안을 제시한다. 하지만 우리네 현실을 돌아보면 다분히 이상적인 느낌이라, 공허하게 들린다. 이성의 비관을 의지의 낙관으로 극복해야겠지만, 요즘처럼 우울한 세상에는 쉽지 않은 일이다.
우리는 술자리의 자조섞인 농담처럼 영원히 도시빈민의 처지에서 벗어날 수 없을지도 모른다. 그리고 이것이 우석훈이 분석하고, 나 또한 동감하는 '내가 결혼을 주저하는 이유'이다.
(필자의 동일한 블로그에도 같은 글을 게시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