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는 진짜 답이 없다 탐 청소년 문학 7
장 필립 블롱델 지음, 김주경 엮음 / 탐 / 2012년 10월
평점 :
절판


청소년 소설[아빠는 진짜 답이 없다] 장 필립 블롱델, 탐, 2012

 

소설을 잘 읽는 방법이 없다. 소설은 즐기는 것이다. 어느 소설가의 이 말은 적어도 책에 대한, 문자에 대한 거부감을 없애는 것이 소설의 목적 중 하나가 될 수 있다는 이야기로 받아들일 수 있다.

 

“아빠 엄마가 사랑을 나누는 것까지 다 알게 되어 있는 것이 우리집이다. 거친 숨소리도, 흥분한 소리를 내지 않으려고 아무리 조심해도 어쩔 수 없다.”

 

이렇게 시작하는 이 책은 충분히 아이들의 눈을 사로잡는다. 걱정하는 어른들도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어른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아이들은 더 많이 알고 있다. 포털사이트 검색만 해도 이것보다 더 야하고 더 직접적인 것이 넘쳐난다. 이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이정도의 내용은 조숙한 초등학교 학생이면 다 이해할 것이다. 그렇다면, 17살짜리에게 커피를 권하고, 술을 권하는 아버지 친구와 아빠는 이해할 수 있을까. 아니면 주인공의 사소한 비밀 중의 하나인 대마초를 피웠다는 것은 이해해주어야 하나.

 

프랑스와 한국의 문화적 차이 때문에 빚어지는 일이겠지만, 적어도 이 책을 읽는 나는 그렇게 받아들이지만, 이 책을 아이들에게 권해야 할까? 그만큼 가치가 있을까? 자꾸 이런 의문이 든다.

 

아버지가 자신의 블로그에 들어와서 자신의 글을 모두 읽었다는 이유로 이유만으로 아들은 아버지에게 절교선언을 한다. 학교 선생님인 아버지는 자식과 화해하기 위해서 자신의 일기장을 아들에게 준다. 아들은 아버지의 일기장을 읽으며 아버지의 비밀을 하나씩 알게 되고, 마침내 아버지와 화해를 하게 된다.

 

아버지와 아들의 화해가 문화적 차이를 극복할 수 있을까? 주인공이 아버지를 이해하는 것이 문화적 차이보다 더 극적이지 못하다면, 작가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아이들은 읽어낼 수 없다. 서두에 나오는 자극적이고 감각적인 이야기만이 아이들의 뇌리에 남을 것이다.

 

17살의 아들이 아버지의 17살 적 일기장을 읽으면서 아버지를 이해하게 된다는 이야기이기에 중학생들이 이해하기에는 어려울 것 같다. 최소한 주인공 또래의 친구들이 읽어야 할 것 같다.

 

이 책이 가장 필요한 독자는 부모들이다. 프랑스인들이 느끼는 세대 차보다 한국인들이 느끼는 세대 차가 더 크다. 우리의 문화적 경제적 발전 속도를 감안한다면, 어떤 부모이든지 아이들 눈에는 조선시대의 사람들과 부모는 별반 다를 것이 없을 것이다. 그러니 지금 우리 아이들 머릿속에 무엇이 들어있을까를 알고 싶다면, 이 정도는 읽어야 한다. 2012.11.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