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키, 하루키 - 하루키의 인생 하루키의 문학
히라노 요시노부 지음, 조주희 옮김 / 아르볼 / 201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전과 줄거리 [하루키,하루키] 히라노 요시노부, 아르볼, 2012

 

살아있는 사람의 평전을 쓰는 것은 어렵다. 하루키처럼 말을 아끼고, 집필에만 전념하는 작가는 더욱 그렇다. 이러한 어려움과 함께 살아있는 작가는, 우리가 소설 속에서 느끼던 그는 다음 작품에서 전혀 다른 사람으로 변할 수도 있기 때문에 살아있는 작가의 평전은 더 어렵다. 그렇지만 이 책에서 묘사하는 하루키도 다음 작품의 하루키도, 하루키고 하루키일 따름이다.

 

이 책의 저자도 평전 부분을 쓰면서, “무라카미 하루키라는 작가에게 제대로 접근하고 있는지 조금은 불안”함을 느꼈다고 말한다. 그럼에도 이 책은 출판되었고, 만약 이 책을 하루키가 읽는다면 무엇이라고 평가할까? 만약 틀린 부분이 있다고 한다면, 이 책을 읽는 나는 무엇을 읽은 것일까? 이런 생각을 하며 단숨에 이 책을 읽어버렸다. 그리고 하루키를 다시 생각했다. 나는 하루키의 작품을 읽어본 적 없다. 그 유명한 [상실의 시대]와 [1Q84] 3권 모두 책 먼지와 함께 책장 한 귀퉁이를 차지하고 있지만, 내가 왜 그 책을 읽어야 하는지도 모르겠고, 마음처럼 몸도 닿지 않았다. 어쨌든 이 책을 읽으면서, 하루키라는 작가에 대해서 다시 생각하게 되었고, 그 책들을 읽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왜 하루키가 아시아 작가로 노벨문학상에 가장 근접해있다고 말하는지를 느끼고 싶다.

 

“메이지 시대 이후의 작가에 한정해서 말한다면, 외국 문학에 흥미를 갖지 않고 크게 성공한 인물은 하나도 없다.” 영문과 출신의 가와바타 야스나리나 불문과 출신의 오에 겐자부로 같은 작가와 같은 맥락에서 이 책의 저자는 지금도 꾸준히 미국의 무명작가를 발굴해서 번역하는 하루키를 평가하고 있다. 전문 번역가가 번역한 것과 작가의 번역. 어떤 번역이 좋다고 말할 수는 없다. 모두 장단점이 있을 것이다. 문제는 작가의 힘이다. 작가가 자신 존경하는 작가의 작품을 그의 모국어로 읽고 그 작가와 같은 호흡을 할 수 있다는 것은 그만큼 자신의 작품을 집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것은 작가의 힘이다. 이 책에서는, 하루키가 29살이라는 ‘늦은 나이’에 등단을 했다고 하지만, 그는 일 년에 200편 이상의 영화를 봤고, 학창시절 커트 보네거트와 스콧 피치제럴드의 작품을 그들의 모국어로 읽었다고 한다.

 

커트 보네거트도 스콧 피치제럴드도 내가 좋아하는 작가이고, 요즘 짬짬이 듣는 ‘김영하의 책 읽는 시간’에서 소설가 김영하는 말했다. 그도 그들을 좋아하고, 특히 김영하는 [위대한 개츠비]를 번역도 했다. 김영하의 작품도 하루키의 작품도 읽어본 적이 없지만, 보네커트와 피치제럴드의 작품은 읽어본 적이 있기에 그들의 작품 속에 그들이 어떻게 녹아들어 갔을까? 궁금해진다. 작가뿐만이 아니라 보통 사람들도 자신의 감명 깊게 읽은 것에 삶이 녹아들기 마련이다. 어느 인지심리학자를 따르면 우리가 자아라고 느끼는 것은 타인에게 비워진 모습을 거울을 보듯이 보는 것이라고 한다. 우리가 문학 작품을 읽는 이유도 여기에 있는 것 같다. 문학작품에 자신의 모습을 비춰보고, 나를 찾는 것.

 

먼저 읽은 독자로서 이 책을 읽는 독자들에게 첨언을 하자면, 이 책은 평전 부분과 주요작품 줄거리로, 거의 스포일러 수준이지만, 나누어져있다. 나처럼 하루키를 잘 모르는 독자들이라면, 주요작품 줄거리를 먼저 읽어보고, 평전부분을 읽는 것이 도움될 것 같다. 줄거리를 먼저 읽으면, 수없이 등장하는 하루키 작품과 그 작품들의 평가에 조금은 쉽게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2012.10.0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